• 맑음동두천 2.1℃
  • 구름많음강릉 5.6℃
  • 맑음서울 4.2℃
  • 구름많음충주 4.6℃
  • 맑음서산 4.9℃
  • 흐림청주 5.4℃
  • 흐림대전 4.7℃
  • 흐림추풍령 3.4℃
  • 흐림대구 5.5℃
  • 구름많음울산 4.5℃
  • 흐림광주 6.2℃
  • 구름조금부산 6.7℃
  • 흐림고창 5.5℃
  • 구름많음홍성(예) 6.2℃
  • 흐림제주 9.1℃
  • 구름조금고산 8.7℃
  • 맑음강화 5.2℃
  • 구름조금제천 1.5℃
  • 흐림보은 4.6℃
  • 구름많음천안 5.2℃
  • 구름많음보령 5.8℃
  • 구름많음부여 5.5℃
  • 흐림금산 4.6℃
  • 흐림강진군 7.0℃
  • 구름많음경주시 5.4℃
  • 구름조금거제 6.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2.08.04 16:29:03
  • 최종수정2022.08.04 16:29:02

김혜식

수필가

송나라의 명 문장가인 구양수(歐陽修)다. 그는 평생 창작한 자신의 글들이 거의가 삼상(三上)에서 발상 되었다는 일화가 있다. 그 삼상이란 마상(馬上), 침상(枕上), 측상(厠上)으로 기억한다. 이중 측상(厠上)은 즉 측간(厠間)에서 구양수의 작품 구상 및 창작이 이루어졌다는 의미다.

필자의 어린 시절 측간 환경은 매우 열악했다. 대문 옆, 혹은 마당가 한구석 후미진 곳에 자리했다. 캄캄한 밤엔 이곳 출입하기가 왠지 겁이 났다. 농촌에선 둥근 시멘트 통을 땅 속에 깊이 묻은 후, 나무로 만든 발판을 그 위에 얹어 사용 했다. 이 때 용변을 볼 시엔 인분이 얼굴에 튀기도 하여 매우 불쾌하고 한편 난감했던 기억이 새롭다. 뿐만 아니라 지독한 암모니아 냄새는 절로 코를 막게 했다. 그 당시엔 화장지가 귀했다. 휴지 대용으로 주로 신문지를 오려 철사 줄에 꿰어놓고 사용하기도 했다.

어린 날 뒷간에서 쪼그리고 앉아 볼일을 보는 동안 일이다. 지독한 냄새에 코를 막으며 용변을 보는 짧은 시간에 조각 난 신문을 읽곤 했다. 이 일은 측간의 불편한 상황을 잠시나마 벗어날 수 있는 유일한 수단이 되어주었다. 책이 귀했던 그 시절이었다. 독서에 대한 갈증을 잠시나마 그곳 철사 줄에 꿰인 신문지를 통하여 충족시키는 순간이었다고나 할까. 그곳에서 신문 읽기에 흥미를 느낀 나머지 초등학교 3학년 때 어머니를 졸라 신문 구독을 하였다. 오늘날 필자가 글쟁이가 된 것도 아마 어린 날 뒷간에서 즐겨 읽은 신문지 쪼가리가 일조 했을지도 모른다.

이렇듯 화장실은 사고(思考)의 산실(産室)이기도 하다. 우리 땅에 화장실이란 말이 생긴 것은 1940년대이다. 1950년대부터 세면기와 변기, 욕조로 이루어진 화장실이 설치됐다. 이때는 몸을 닦는 곳과 배설 공간이 따로 분리되어 있었다. 변소(便所)라는 말은 일제 강점기 때부터 수세식 화장실이 들어오기 전까지 쓰인 일본 식 표현이다. 그 이전에는 측간(厠間) 혹은 뒷간이라고 흔히 불렀잖은가.

"예술인은 영혼을 어루만지는 수리공"이라는 말이 있다. 이런 예술작품을 측간에서 구상하고 꾸린 것은 구양수만이 아니었다. 로댕의 '생각하는 사람'도 측상(厠上) 사고의 자세란 설도 있다. 루소 작 '고백'을 읽어보면 그는 젊은 시절 책방에서 책을 빌려오면 주로 화장실에서 읽었다고 한다.

프랑스 가정집처럼 필자 역시 화장실에 작은 책꽂이를 마련, 몇 권의 책을 비치했다. 이곳에서 볼일을 보는 동안 자투리 시간을 이용하여 책장을 펼치기 위해서다. 이렇게 하면 마치 가랑비에 옷 젖듯이, 지루한 내용의 책도 마지막 장까지 읽을 수 있어서다.

20여 년 전, 중국 여행 때 일이다. 그곳 관광지 화장실은 차마 출입이 망설여질 정도로 비위생적이었다. 아무리 중국 땅 풍광(風光)이 산자수명(山紫水明) 한들, 생리 해결 장소가 지저분하고 불결하면 관광 효과는 반감半減되기 마련이다. 로마 시대 때는 화장실 칸막이에 구멍을 뚫어 서로 모습을 보이게 함으로써 공중도덕을 지키게 하였다.

우리나라도 한 때는 화장실 위생 상태가 엉망이었다. 그러나 현대는 어떤가. 우리나라 화장실 청결 지수가 매우 높다. 지난날 불결한 이미지를 지녔던 우리네 화장실이 이젠 아니다. 산뜻한 인테리어는 물론이려니와 감미로운 선율의 음악도 흘러나온다. 내부 곳곳엔 꽃병도 놓였다. 또한 여성들의 화장을 고치는 공간도 있다. 아름다운 그림도 걸렸다. 외진 곳엔 보안 시스템도 갖췄다. 위급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 비상벨을 누르는 장치가 마련 된 '안심 화장실'이 그것이다. 이런 화장실 환경 개선이 우리나라 국민 의식 수준 및 가치관을 가늠할 수 있는 초석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에 우리나라 국격(國格)이 가일층 높아져서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기쁘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공동 대선주자 릴레이인터뷰 ①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충북일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열리는 '6·3조기대선'에 여야 후보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은 조기에 치러지는 탓에 후보검증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본보와 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방식은 서면질의서를 보내 답변서를 받고, 후보 일정을 조율해 순서대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번째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김두관 전 의원을 만나 출마 배경과 비전을 들었다. 본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s://www.inews365.com/)에서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다. ◇대선에 출마하게 된 계기와 희망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에서 '12·3 계엄'으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다시한번 대한민국을 뛰게 만들고 싶다. 12·3 계엄 그리고 파면 이 과정을 '87체제'의 종식이라고 본다. 새로운 7공화국을 여는 그런 중대한 시기에 시대에 맞는 법령과 제도를 만드는 게 개헌이라고 생각한다. 권력 구조만 본다면 4년 중임제 분권형 개헌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고 있고, 또 개헌을 통해서 새로운 공화국의 비전을 보여줘야만 중도층이 우리 민주당을 지지하고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