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1℃
  • 구름많음강릉 5.6℃
  • 맑음서울 4.2℃
  • 구름많음충주 4.6℃
  • 맑음서산 4.9℃
  • 흐림청주 5.4℃
  • 흐림대전 4.7℃
  • 흐림추풍령 3.4℃
  • 흐림대구 5.5℃
  • 구름많음울산 4.5℃
  • 흐림광주 6.2℃
  • 구름조금부산 6.7℃
  • 흐림고창 5.5℃
  • 구름많음홍성(예) 6.2℃
  • 흐림제주 9.1℃
  • 구름조금고산 8.7℃
  • 맑음강화 5.2℃
  • 구름조금제천 1.5℃
  • 흐림보은 4.6℃
  • 구름많음천안 5.2℃
  • 구름많음보령 5.8℃
  • 구름많음부여 5.5℃
  • 흐림금산 4.6℃
  • 흐림강진군 7.0℃
  • 구름많음경주시 5.4℃
  • 구름조금거제 6.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1.13 17:07:26
  • 최종수정2021.01.13 17:07:25

김혜식

수필가

어젯밤에 소리 없이 눈발이 흩날렸다. 커피를 마시며 하릴없이 아파트 정원수마다 소복이 쌓인 흰 눈을 바라본다. 이 때 문득 감명 깊게 보았던 영화 '실비아'의 한 장면이 떠올랐다.

새하얗게 펼쳐진 설경 위로 선홍색 천이 뒤덮인 시신이 실려 나온다. 카메라는 이어서 실비아의 생전 모습인 전날 밤 행적을 담담하게 훑었다. 우유와 말랑한 빵을 잠든 아이들 머리맡에 조심스레 놓아두는 실비아의 모습은 왠지 눈빛이 애절하다. 이어서 자신의 방으로 들어가 창틈과 문틈을 잿빛 테이프로 꼼꼼히 틀어막고 가스 밸브를 연다. 그리곤 그토록 남편의 재능을 질투하고 사랑에 대한 상실감을 느꼈던 실비아는 가스 오븐에 머리를 집어넣는다.

가스 오븐에 자신의 머리를 집어넣어 스스로 목숨을 끊은 미국 여류 시인 실비아 플라스(1932~1963)다. 그녀는 결국 가스에 중독돼 비참한 최후를 맞이했다. 실비아는 당시 계관 시인이었던 영국 시인 테드 휴즈와 열렬한 사랑 끝에 결혼했으나 남편의 바람기로 말미암아 파경을 맞이했다. 테드 휴즈의 외도가 그녀를 한껏 나락 끝으로 몰아세웠던 것이다. 남편이 실비아 자신보다 월등하리만치 얻은 문학적 성취에 의한 열등감 및 사랑에 대한 배신감은 훗날 대중들에게 실비아의 전설을 재생산하게 하였으며 그것을 추인追認케 하는데 일조 했다.

이 영화 인트로(intro)부분에 나오는 서시가 그녀의 짧은 생을 한껏 압축 시켜 인상 깊다. '가끔씩 나는 나무를 꿈꾼다/ 내 인생의 나뭇가지 하나는 결혼 할 남자/ 거기 달린 잎들은 아이들이다/ 다른 가지는 작가로서의 내 미래/ 거기 달린 잎은 나의 시다< 중략>'라는 그녀의 시어를 떠올리노라니 나 역시 지난날 삶 속에 '목적'이라는 한그루 나무를 심었던 게 상기된다. 그 나무는 마치 하늘의 별과 같았다. 매일이다시피 그 나무만을 정면으로 바라보며 나는 그동안 예까지 달려왔다 해도 지나치지 않다.

봄이면 연두색 새순을 터뜨리고, 여름이면 푸른 잎을 활짝 피워 시원한 그늘을 드리우며, 가을이면 탐스러운 열매를 자랑하는 한 그루 내 마음의 나무다. 이 마음의 나뭇가지에 부와 명예라는 탐스러운 열매를 비롯, 삶의 평안과 행복이라는 결실을 소망하기도 했다. 또한 문인으로서 불멸의 명작을 단 한 편이라도 창작하여 그 나무에 자랑스레 매달아두고 싶은 욕심이 전부이기도 했다. 그러고 보니 오로지 내 가슴 속에 깊이 뿌리내린 마음의 나무를 가꾸는 일에 지난 시간 전력을 다한 듯하다.

여류 시인 실비아도 자신에게 닥친 불운과 삶의 고통을 조금만 인내하고 맞서 싸우는 의지와 용기를 지녔더라면 젊은 나이에 생을 마감하는 불행한 일은 없었을 터, 그의 타고난 재능과 청춘이 참으로 아깝다. 그녀가 관점을 돌려 눈앞에 놓인 삶의 진흙탕을 바라보지 말고 하늘을 올려다보아 자신만의 별을 찾는 여유를 지녔더라면 오늘날 실비아는 어찌됐을까· 아마도 대중들은 그의 천재성에서 우러나온 명작을 수없이 대할 수 있었을지도 모를 일이다.

그러고 보니 오늘날 내 마음의 나무가 뿌리를 굳건히 내리기까지 나의 지난 삶은 유대인들의 상징인 '사브라'와 흡사했다. 건조하여 물 한 방울 머금을 수 없는 뙤약볕이 작렬하는 사막에서 피워 올린 선인장 꽃 사브라가 아니던가. 남편의 세 번 사업 실패, 갑자기 잃은 건강, 이보다 더 힘든 상황이 어디 있으랴. 그러나 이러한 삶의 역경 앞에 결코 무릎 꿇지 않았다. 마치 선인장 꽃 사브라처럼 온갖 악조건을 꿋꿋이 이겨냈다. 그리곤 나의 별이 된 마음의 나무를 튼실하게 자라도록 물과 거름을 주는 일에 충실했다. 이제 삶의 장애물을 물리치고 허리 좀 펼만하니 코로나19가 족쇄로 등장했다. 하지만 강인한 정신력으로 이것이 안겨주는 두려움도 이겨내련다. 내 마음의 나무를 풍요롭게 성장시키기 위해 다시금 뜨거운 열정으로 불꽃같은 삶을 꽃피울까 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공동 대선주자 릴레이인터뷰 ①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충북일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열리는 '6·3조기대선'에 여야 후보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은 조기에 치러지는 탓에 후보검증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본보와 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방식은 서면질의서를 보내 답변서를 받고, 후보 일정을 조율해 순서대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번째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김두관 전 의원을 만나 출마 배경과 비전을 들었다. 본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s://www.inews365.com/)에서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다. ◇대선에 출마하게 된 계기와 희망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에서 '12·3 계엄'으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다시한번 대한민국을 뛰게 만들고 싶다. 12·3 계엄 그리고 파면 이 과정을 '87체제'의 종식이라고 본다. 새로운 7공화국을 여는 그런 중대한 시기에 시대에 맞는 법령과 제도를 만드는 게 개헌이라고 생각한다. 권력 구조만 본다면 4년 중임제 분권형 개헌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고 있고, 또 개헌을 통해서 새로운 공화국의 비전을 보여줘야만 중도층이 우리 민주당을 지지하고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