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4.0℃
  • 흐림강릉 5.8℃
  • 맑음서울 5.0℃
  • 흐림충주 4.5℃
  • 구름많음서산 4.8℃
  • 청주 5.4℃
  • 대전 4.1℃
  • 흐림추풍령 3.4℃
  • 대구 6.3℃
  • 울산 5.5℃
  • 광주 6.0℃
  • 구름조금부산 8.2℃
  • 흐림고창 6.1℃
  • 구름많음홍성(예) 5.1℃
  • 구름조금제주 9.3℃
  • 구름많음고산 9.5℃
  • 구름많음강화 5.6℃
  • 흐림제천 3.7℃
  • 구름많음보은 4.0℃
  • 구름많음천안 4.8℃
  • 구름많음보령 5.1℃
  • 맑음부여 4.4℃
  • 흐림금산 4.1℃
  • 맑음강진군 6.9℃
  • 흐림경주시 6.2℃
  • 맑음거제 6.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07.28 16:04:19
  • 최종수정2021.07.28 16:04:19

김혜식

수필가

집안 곳곳에 책들이 널브러져 있다. 요즘 칩거 하는 시간은 늘었지만 왠지 전보다 게을러져서인지 집안 꼴이 엉망이다. 이불장의 이불들이 대충 개켜져 있다. 현관에도 가족들이 벗어놓은 신발이 뒤죽박죽 엉켜 놓였다. 그러고 보니 지난날 이 모든 것들이 질서정연하게 제자릴 찾았던 것은 모두 나의 손길에 의해서였다. 이즈막은 전과 달리 집안 정리엔 뜻이 없어진 듯하다. 평소 무엇이든 제 모양을 잃는 것을 경계해 왔다. 이는 병적이리만치 다소 심한 편이었다. 서재에 책도 제 키 높이에 따라 꽂혀있어야 안심했다. 자고난 후 침대 위의이불도 주름살 하나 없이 쫙 펼쳐져 정돈돼 있어야 했다. 거실의 커튼도 열었을 때 접힌 주름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한 것을 확인 한 후 끈으로 묶곤 했다. 이런 나름대로 사물에 대해 정해놓은 규칙이 언제부터인가 조금씩 허물어지기 시작했다. 수년전 건강을 잃은 후, 실은 내 몸 하나 간수하기도 벅찼다는 게 이유라면 궁색한 변명일까?

지난날 스스로 정한 삶의 규칙을 논하노라니 갑자기 가슴에 손을 얹게 된다. 삶 속에서 사물에 대한 여느 규칙을 정해 일상을 영위했던 것처럼 '나의 마음 속 고갱이도 그토록 반듯한가?'에 대한 성찰 때문이다. 무엇보다 '인격의 절차탁마에도 힘쓴 적 있던가?' 되돌아본다. 내면이 무르익으려면 마음의 규각(圭角)인 날선 각을 둥글려야 해서다. 그러기 위해선 오로지 눈앞의 잇속이나 물질의 신기루만 좇던 허공에 들떠있는 마음을 되찾아야 할 것이다. 나 같은 경우 요즘 코로나19에 시달려서인지 마음자락이 여유롭지 못하다. 가끔 심연이 향방을 잃고 갈팡질팡 헤매기 예사다.

어느 날 외출을 하다가 횡단보도에서 신호를 기다릴 때다. 그 옆에 세워진 전봇대에 '강아지를 찾습니다'라는 문구와 함께 온몸이 털로 뒤덮은 귀여운 강아지 사진이 인쇄된 게시물이 눈에 들어왔다. 그 게시물엔 5년을 자식처럼 키워온 강아지인데 잃어버려 밤잠을 못 이룬다며 찾아주는 분께는 사례하겠다는 견주의 간절함도 구구절절 적혀 있다.

이 게시물을 읽은 후 ' 집 나간 강아지를 애타게 찾는 것처럼 평소 견주 자신의 잃어버린 마음을 저토록 찾아보려 애써 봤을까?'라는 엉뚱한 생각을 해봤다. 이 생각에 이르자 언젠가 읽은 부천 대 김광식 교수가 펴낸, '춘성-무애도인 삶의 이야기'라는 책 속의 춘성 스님에 관한 내용이 문득 떠올랐다. 지난날 야간 통금이 있던 시절의 일화로도 유명한 스님이다. 그 시절 방범 순찰중인 경관과 맞닥뜨린 스님은 경찰관이 "누구냐?"고 자신에게 묻자, " 나는 중(僧)대장이다" 라는 말을 했다. 경찰관이 이 말에 플래시로 그의 얼굴을 자세히 비춰보니 행색이 스님이었다. 그 경찰관이 " 당신 스님 아니시오?" 라고 묻자 춘성 스님은 " 그래 내가 스님의 대장이다"라고 되받아쳤다.

춘성 스님( 1891-1977)은 평소 법문 때에도 거침없이 육두문자를 발설하는 등 기행(奇行)을 일삼았다. 또한 중생을 향한 사랑도 깊어 헐벗은 이를 보면 그냥 지나치지 못하고 자신이 입었던 옷도 선뜻 벗어주곤 했다. 그는 만해가 3·1 운동으로 서대문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를 때 제자 된 도리로서 스승이 차디찬 감옥 바닥에서 고생하는데 자신만 따뜻한 아랫목에 지낼 수 없다며 스스로 냉방을 자처했다고 한다. 무엇보다 그가 열반에 들을 때 사리가 안 나오면 신도들이 실망할 거라는 제자들의 우려에, "시X놈의 자식! 넌 신도 위해 사냐?" 라고 일갈했다고 한다. 자신이 입적해도 절대 사리를 찾지 말고 비석도 세우지 말라고 당부했다는 춘성 스님이다. "갈 때도 무(無)! 올 때도 무(無)! 똥 쌀 때도 무(無) 하세요." 라며 강조하던 그의 간화선(看話禪) 수행이 요즘 따라 못내 그립다. 이는 그동안 물질의 집착과 과욕의 노예였던 잃어버린 마음을 되찾고 싶어서다. 마음이야 말로 제대로 갈고 닦음 강철보다 강하고 보석보다 귀하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공동 대선주자 릴레이인터뷰 ①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충북일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열리는 '6·3조기대선'에 여야 후보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은 조기에 치러지는 탓에 후보검증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본보와 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방식은 서면질의서를 보내 답변서를 받고, 후보 일정을 조율해 순서대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번째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김두관 전 의원을 만나 출마 배경과 비전을 들었다. 본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s://www.inews365.com/)에서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다. ◇대선에 출마하게 된 계기와 희망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에서 '12·3 계엄'으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다시한번 대한민국을 뛰게 만들고 싶다. 12·3 계엄 그리고 파면 이 과정을 '87체제'의 종식이라고 본다. 새로운 7공화국을 여는 그런 중대한 시기에 시대에 맞는 법령과 제도를 만드는 게 개헌이라고 생각한다. 권력 구조만 본다면 4년 중임제 분권형 개헌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고 있고, 또 개헌을 통해서 새로운 공화국의 비전을 보여줘야만 중도층이 우리 민주당을 지지하고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