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간밤에 비가 내렸나보다. 밤새 내린 가을 찬비에 낙엽이 우수수 지고 말았다. 그래서 아침에는 나무 밑에 쌓인 낙엽을 쓸면서 시간을 보냈다. 비에 젖은 낙엽을 치우고 정갈해진 뜰을 바라보면서 가을이 시나브로 깊어진 것을 알았다.

서정주 시인의 표현처럼 초록이 지쳐 단풍드는 것일까. 바야흐로 지금 산사는 가을 잔치가 한창이다. 뒷산의 상수리들은 도토리를 떨구고 난 뒤 가지마다 단풍색이 돌기 시작했으며, 삼성각 옆 산벚나무도 울긋불긋 색깔을 바꾸고 가을을 노래하고 있다. 또한 법당 앞의 배롱나무도, 담장 옆의 감나무도 의연히 가을 산색(山色)에 동참하고 있고, 올해에는 마당의 느티나무는 일찍 가을을 맞이한 탓인지 벌써 절반 이상 낙엽이 지고 빈가지가 드러났다. 이렇게 산중의 나무들은 차근차근 낙엽귀근(落葉歸根)을 준비하고 있는 것이다.

어찌 나무들뿐이겠는가. 여름 날 지천으로 피던 야생화도 저마다 꽃대를 접고 수액을 뿌리로 모으고 있다. 이 가을, 오로지 화단을 지키는 꽃은 국화이다. 아마도 가을에 국화가 없었다면 정원은 일찍 폐장하였을지도 모른다. 그만큼 국화는 가을에도 꽃향기를 전해주는 고마운 존재다.

그래서일까, 옛사람은 ‘꽃 중에서 유달리 국화를 좋아하는 것은 아니나, 이 꽃이 다 피고 나면 더는 꽃이 없기 때문이네’ 라고 읊었다. 국화가 지고 나면 더 이상 꽃을 볼 수 없는 겨울이 오는 까닭에 가을 국화는 더욱 아쉽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초가을에 구절초가 한창 피고 지더니, 요즘은 해변국화가 그 자태를 뽐내고 있는데 저 꽃마저 지고 나면 겨울을 알리는 찬서리가 내릴 것이다.

비단 이 가을에는 풀과 나무들만 단풍 드는 게 아니다. 사찰생태연구소 김재일 대표의 말을 빌리면, 곤충들도 서서히 단풍 색깔을 닮아간다고 한다. 들녘을 뛰놀던 메뚜기들의 잔등도 단풍처럼 붉게 물들고, 늦털매미 울음소리도 불꽃처럼 잦아든다고 한다. 또한 낙엽이 질 때 쯤 초록빛 풀무치의 날개도 서서히 흙빛으로 변하고, 청개구리 등짝도 흙빛으로 바뀐다고 하니까 목숨 지닌 모든 것들은 그저 망설임 없이 무위(無爲)의 자리로 돌아간다.

저마다의 생명들은 이처럼 사시사철을 알고 그 순리에 순응하며 살아간다. 그러므로 자연의 순리를 깨닫는 것은 세상의 이치를 아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래서 자연이 알려주는 도리를 모르는 어리석은 사람을 일러 ‘철부지(不知)’라고 했다. 즉, 사철의 계절 변화를 읽을 줄 모르는 불쌍한 인생이란 뜻이다. 그러므로 철부지가 되지 않으려면 계절의 질서에 역행하는 삶을 살아서는 안 된다.

봄 여름 가을 겨울이 주는 메시지는 공(空)의 가르침은 아닐까. 인간을 포함한 모든 사물은 고정되어 있는 실재가 없다는 뜻인데 불교에서는 이를 제행무상이라고도 하며 연기(緣起)라고도 표현한다. 지금처럼 가을은 왔지만 정지되어 있는 화면은 아니다. 그렇지만 가을은 순간순간 변화해가면서 우리 곁에 머문다. 이와 같이 현상이면서 본질이며, 본질이면서 현상으로 존재하는 연속성을 말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공(空)은 무(無)라기보다는 모든 현상의 운동 · 변화하는 존재의 실상을 의미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영원하지 않는 것이다. 살펴보면 세상에는 영원한 것은 아무 것도 없다. 사랑, 명예, 권력, 재산 등 우리가 소중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영원하지 않고 인연 속에 있을 뿐이다. 나에게 주어졌지만 계절이 변화하듯 인연 따라서 오고 가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영원한 ‘나의 것’이라고 고집하거나 집착할 필요가 없는 대상이라는 뜻.

결국 이 가을이 우리에게 던지는 의미는 영원하지 않는 것을 영원한 것으로 착각하고 살지 말지 말라는 가르침이다. 물거품과 같고, 아침이슬과 같은 허명(虛名)에 목숨 걸지 말고 삶의 본질을 향해 눈과 귀를 열어 놓아야 한다. 이 교훈을 알았을 때 비로소 ‘철모르는 사람’이 아닌 ‘철이 든 사람’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요즘 철부지 사람들이 너무 많은 것 같다. 가을이 어디쯤 와 있는지 모르고 지내는 이웃들이 대부분이다. 하루에 한번은 가을 하늘을 올려다보아야 하는데 모두들 바쁜 일상을 살고 있는 까닭에 더욱 그렇다. 이처럼 계절의 변화를 인식하지 못하니까 자신과 마주하는 사색과 명상의 시간이 사라지고 인성도 더불어 메말라 가는 것이다.

이 가을 아침, 나 스스로 철부지 인생이 아닌지 점검해 본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충북기업 돋보기 1. 이을성 SSG에너텍 대표

[충북일보] 건물에 발생하는 화재는 곧 인명 피해로 이어진다. 최근 대전 한국타이어 공장의 대형 화재가 발생했다. 대량의 타이어가 타며 가연 물질이 나온 것도 화재 진압 어려움의 원인이었지만 공장의 조립식 샌드위치 패널 구조도 한몫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같은 대형 화재 발생 시 피해를 키우는 요인으로 꼽혀 온 가연성 건축자재 사용 제한 건축법 개정안이 지난해 2월 11일 본격 시행됐다. 개정안에 따라 건축물 내·외부의 마감재와 단열재, 복합자재 심재 모두 화재 안전성 확보가 의무화됐다. 강화된 법 개정으로 준불연·불연 건축자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충북도내 선도적인 제품 개발로 앞서나가는 기업이 있다.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에 위치한 ㈜SSG에너텍은 안전하고 친환경적인 고효율의 건축자재를 개발·제조하는 종합건축자재 전문기업이다. 특히 주력 제품인 'IP패널(Insulation Panel: 동적내진설계용 준불연단열일체형 패널)'은 마감재와 단열재를 일체화한 외단열 마감 패널이다. 이을성(59) SSG에너텍 대표는 "단열·내진·준불연 세 가지 성능을 충족하면서 일체화된 단열·마감재는 SSG에너텍이 유일하다고 말할 수 있다"고 자신있게 말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