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11.24 16:59:59
  • 최종수정2020.11.24 17:00:24
[충북일보] 충북이 예·체능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는 이유는 자치단체 담당부서에 전문가가 없어서다. 전문가가 있다 해도 그들의 재능을 알아보지 못하는 정책결정권자들의 고정관념 때문이다. 이처럼 비전문가들이 예·체능 분야를 다루다보니 정치화되고, 희화화된다. 타 지역들은 올림픽이다, 세계선수권대회다, 월드컵대회 등을 유치하며 세계화의 중심으로 들어가는데 우리만 아직 다양성이 결여된 회색빛 도농복합도시에서 살고 있다.

예체능 가치 여전히 몰라

충북도가 분석한 최근 6년간 도내 11개 시·군에 조성된 산업단지 현황에 따르면 2014년 105개소 6천421만3천㎡(1천942만평)이었던 것이 올해 10월 말 기준 126개소 8천346만3천㎡로 늘어났다. 이 기간 예·체능 시설은 2017년 98회 전국체육대회가 열린 충주의 종합운동장 신설을 제외하고 전무했다. 충북지역 자치단체들이 얼마나 예·체능 분야에 소홀한지를 보여주는 대목이다. 충주종합운동장이 거론돼서 얘기지만 이 곳 역시 전국체전이 끝난 뒤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돈(관리비) 먹는 하마'가 돼버렸다. 이 역시 전국체전 유치만을 염두에 둔 비전문가적인 시각에서 비롯됐다고 할 수 있다.

필자가 기자생활을 하며 가장 후회하는 일 중 하나가 98회 전국체육대회 통합청주시 개최 불발이다. 2014년 통합청주시 출범에 앞서 기자는 당시 이종윤 청원군수와 한범덕 청주시장을 번갈아 만나며 98회 전국체전을 통합청주시 출범을 기념하는 행사로 유치하자고 제안했다.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당시에도 청주, 청원은 오송역세권 개발에 골머리를 썩고 있을 때였다. 통합청주시 출범 기념 전국체전을 오송에서 개최한다면 오송역세권 개발도 좀 더 앞당길 수 있는 기회로 생각했다. 행정구역 통합의 명분은 타 시·도와의 전국체전 유치전에서도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다고 확신했다. 그도 그럴 것이 당시만 해도 전국체전 유치에 성공하면 체육시설 구축을 위해 정부 특별예산이 투입된다. 이 돈이면 스포츠콤플렉스 조성과 함께 오송역세권 개발도 도모할 수 있었다. 체육계에서도 이 같은 계획에 힘을 실어주었다. 그러나 양 자치단체장 의지 부족과 이시종 충북지사가 전국체전 충주 유치에 힘을 실어주면서 힘을 받지 못했다.

현재 충북도는 대전, 충남, 세종과 힘을 합쳐 아시안게임 유치를 추진하고 있다. 동아시아대회도 희망하고 있다. 유일하게 충청권만이 국제대회를 유치하지 못했다는 명분을 담았다. 여기에 노후된 지역 체육시설을 새 옷으로 갈아입히자는 목적도 담겼다. 그러나 이 같은 바람은 중앙정부를 설득하지 못했다. 이미 유치전에 뛰어든 타 지역은 만반의 준비가 돼 있는 상황이었기 때문이다. 현대화된 체육시설은 물론 숙박, 관광 인프라까지 모든 면에서 우리보다 앞서 있었다. 반면 충북은 체육의 불모지, 관광의 불모지로 인식돼 있다. 우리 스스로 국제대회를 유치할 수 있는 능력이 없다. 누구를 원망하겠는가.

체육시설 생활권에 만들어야

필자는 과거 체육부기자 시절 전국체전이 열리는 16개 시·도를 모두 다니며 현장을 취재했다. 좋은 운동장을 건설하고도 제대로 이용하지 못해 매년 적자를 보는 지자체가 대부분이었다. 관리비 적자를 보는 지역의 공통점은 시민생활권과 체육시설이 너무 떨어져 있다는 점이다.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는 거리에 체육시설을 건설해야 한다. 대구 수성구와 경기도 고양시가 대표적인 모범지역이다. 체육시설과 주거시설을 함께 담는 지구단위 도시개발을 추진했다.

때문에 경기도 '고양스포츠타운'의 경우 △종합운동장 4만3천910명 △체육관 84만8천 명 △인공암벽장 4천191명 △파크골프장 2만5천759명 △테니스장 2만9천945명 등 집계된 인원만 95만1천805명에 달한다. 충북도 오송 일대에 체육 종합시설을 계획하고 있다. 경기도 고양시와 대구 수성구의 사례를 잘 검토했으면 한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 선도"

[충북일보] "대한민국 바이오 산업의 인프라 역할을 해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김동일(56) ㈜키프라임리서치 대표는 준공 이후 한 달도 지나지 않았지만 국내외 관계자들의 방문으로 바쁜 나날을 보내고 있다고 담담히 말했다. 오송캠퍼스에 관심을 갖고 찾아온 미국, 태국, 벨기에, 네덜란드 스위스 등의 신약·백신 개발 관계자들의 견학이 줄을 잇고 있다. 김동일 키프라임리서치 대표가 청주와 바이오업계에 자리를 잡게 된 것은 지난 2020년 7월이다. 바이오톡스텍의 창립멤버인 김 대표는 당시 국내 산업환경에 대해 "이미 성숙단계에 접어든 제조업이 아닌 대한민국에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되는 산업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한다. 그는 "당시 BT(바이오테크놀로지)와 IT(인포메이션 테크놀로지)라는 두 개의 큰 축이 보였다"며 "이가운데 BT가 글로벌 산업 경쟁력이나 발전 정도·세계 시장 진출 정도로 봤을 때 타 산업 대비 훨씬 경쟁력이 부족했다. 그래서 오히려 기회가 더 많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으로 BT를 선택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가 업계에 뛰어들었을 당시만 하더라도 국내에는 실제로 신약을 개발하는 제약·바이오 분야의 회사들은 국내시장·제네릭 분야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