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3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7.16 17:39:49
  • 최종수정2015.07.16 17:39:49
[충북일보] 각종 지표로만 보면 대한민국은 분명히 선진국이다. 하지만 위기 대응능력은 언제나 후진국 수준이다. 세월호 참사와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사태에서 참혹하게 확인됐다.

청주시가 신수도권 핵심도시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극적인 위기관리(Crisis Management)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이재은 충북대 행정학과 교수가 엊그제 열린 '통합 청주시 1주년 기념 정책토론회'에서 이같이 주장했다.

우리는 이 교수의 주장에 동의한다. 물론 가장 먼저 재난안전에 대한 시민인식이 바뀌어야 한다. 그 다음 재난관리를 전담하는 청주시 공무원들의 자세가 바뀌어야 한다. 그래야 재난과 관련된 제도와 관습 등을 바꿔나갈 수 있다.

청주시의 전문인력 확보 역시 가장 기본적인 절차다. 기업 등 관계시설과 협력적 연계 관계를 맺는 것도 중요하다. 그래야 청주시와 시민, 공무원, 기업이 참여하는 안전 거버넌스 구축이 가능하다. 그 때 비로소 안전 위협 요소들도 제거된다.

위기관리는 조직의 위기에 대처해 바람직하지 못한 결과를 최소화 하는 일이다. 궁극적으로 신속한 조치를 취하는 일련의 행위다. 위험요소 확인과 측정, 통제를 통해 최소 비용으로 불이익을 극소화하는 활동 전반을 말한다.

위기관리엔 몇 가지 순서가 있다. 조직구조의 재편성과 위기관리팀 선정 및 교육개발, 위기 가능성 평가, 비상계획 마련, 위기관리 실행의 순이다. 위기관리는 그런 순서를 통해 최악의 상황을 피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현실을 빼놓으면 되레 그게 위기다.

청주시의 위기관리 능력 배가 노력은 매우 바람직하다. 우선 뿔뿔이 흩어진 매뉴얼을 일관된 지휘·감독체계 아래 둘 수 있도록 하는 통일된 매뉴얼이 필요하다. 이번 기회에 위기관리의 개념과 지휘원칙이 재정립 됐으면 한다.

이번 메르스 사태는 우리 사회에 엄청나게 비싼 '수업료'를 치르게 했다. 정부는 언제나처럼 사태가 일단락되면 언제 그런 일이 있었냐는 식으로 대처하곤 했다. 그러다 보니 지방정부도 그대로 닮아갔다. 위기가 닥칠 때마다 우왕좌왕했다.

메르스와 유사한 위기를 또다시 겪지 말라는 보장은 없다. 크고 작은 위기는 언제나 올 수 있다. 그 순간 중요한 것은 어떻게 대응할지에 관한 현명한 판단이다. 청주시라고 예외는 아니다.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봉사의 달인, 김문식 대한적십자사 봉사회 전국협의회장

[충북일보] "남 돕는 일이 좋아 시작했는데 벌써 봉사시간만 1만 시간이 넘었네요." 대한적십자사봉사회 전국협의회 김문식(63·사진) 회장은 "봉사활동을 이어나가는 것은 말보단 행동으로 옮기는 자신의 마음가짐이 가장 컸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지난달 5일 대한적십자사봉사회 19대 전국협의회장에 취임했다. 김 회장은 '봉사의 달인'으로 불린다. 그는 지난 2000년 대한적십자사 충북지사 남들봉사회원을 시작으로 23년간 재난 및 취약계층 구호, 이산가족 지원, 위기가정 구호 등의 분야에서 약 1만100시간 이상의 봉사활동을 해 왔다. 그간 봉사활동을 인정받아 충북도지사 표창, 적십자 봉사원 대장,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수상했고 대한적십자사 충북협의회 회장, 전국협의회 사무총장 등을 역임했다. 김 회장이 봉사활동을 수십년간 이어온 계기는 부모님의 영향이 컸다. 김 회장은 "시계방을 운영하며 열심히 일하시던 아버지의 뒷모습과 남을 돕고 사는 선한 사람이 되길 바라는 어머니의 기도를 들으며 자랐다"며 "부모님의 영향을 받아 오늘날의 자신이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낮에는 금은방을 운영하며 밤과 주말에는 봉사활동에 구슬땀을 흘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