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송준호

우석대 문예창작과 교수

낮술 환영! 어느 재래시장 골목을 지나다가 낡은 유리문에 적어 붙인 이 네 글자를 보고 걸음을 잠깐 멈추었다. 그걸 바라보며 빙긋 웃다가 발걸음을 옮기는데 어린 시절에 가끔 불렀던 <리자로 끝나는 말은>이라는 동요가 뜬금없이 떠오르는 것이었다.

"리리리자로 끝나는 말은 괴나리, 보따리, 댑싸리, 소쿠리, 유리항아리…리리리자로 끝나는 말은 꾀꼬리, 목소리, 개나리, 울타리, 오리 한 마리…." 그렇다면 '낮'자로 시작되는 말은 뭐가 있을까. '낮술'과 더불어 쉽게 떠올릴 수 있는 것들로는 이런 게 있다. 낮잠, 낮달, 낮도깨비, 낮거리….

잠은 밤에 자야 제맛일 것이다. 달도 밤하늘에 떠오른 것이어야 고운 자태에 흠뻑 빠져들 수 있지 않을까. 벌건 대낮에 출몰하는 '낮도깨비'는 함부로 행동하는 사람을 비유적으로 일컬을 때 쓰는 말이다. 술꾼들이 주로 활동하는 시간대도 밤 아니던가. 그것과 구분하려고 굳이 '낮'을 앞에 덧댄 것이다. 마치 숫처녀, 숫총각처럼….

그럼 낮거리는 뭐지? 이 말의 정확한 뜻이 견딜 수 없을 만큼 궁금하거든 짬이 나는 대로 각자 스마트폰의 자판을 두들겨볼 일이다.

술은 참맛은 낮술에 있다는 술꾼들이 적지 않다. 기원을 따지자면 그건 새참과 함께 논두렁이나 밭두렁에 내온 '농주(農酒)'에서 비롯되었을 것이다. 꼭두새벽부터 들일 하느라 고단해진 몸과 마음을 시원한 탁배기 한두 사발로 풀어내기 시작했던 게 바로 오늘날 일부 술꾼들이 찬양해 마지않는 '낮술'의 시초였으리.

낮술은 반드시 점심식사와 더불어 시작해서 어두워지기 전에 끝내는 것이 원칙이라고 강력하게 주장하는 술꾼이 의외로 많다. 적어도 초저녁까지 이어져야 한다고 굳게 믿는 이들도 더러 있다.

낮에 마시는 술이라고 모두 낮술일까. '술시'에 마시는 것과 달리 낮술은 낯가림이 좀 심하다. 날씨와 때와 장소와 주종을 퍽도 가리는 게 낮술이라는 말이다. 하늘이 천장 높이로 낮게 내려앉아야 한다. 천둥 번개가 야단법석을 떨면서 굵은 빗줄기를 퍼부어대는 날은 낮술에 오히려 적합하지 않다. 아침부터, 혹은 점심 무렵부터 가랑비나 이슬비나 보슬비가 거리를 초작초작 적시는 날이어야 제격이다.

그런 날이 오면 열일 작파하고 근처 시장 골목으로 은근슬쩍 발걸음이 가는 데서 낮술은 시작된다. 재래식 유리문을 열고 들어가 후덕해 보이는 주인아주머니가 즉석에서 부쳐내는 해물파전에 막걸리를 들이켠 다음 손등으로 입가를 쓰윽 문질러 닦을 줄 알아야 낮술의 참맛을 아는 술꾼 대접을 받는다. 물론 돼지 머리 고기나 순댓국을 안주 삼아 소주를 곁들여도 손색이 없다.

낮술은 모름지기 왁자하게 웃고 떠들거나 젓가락 장단을 두드려가며 마시지는 말 일이다. 정겨운 이와 마주 앉아 희미한 옛사랑의 그림자를 나눠 밟으며 조용히 술잔을 비울 줄 알아야 한다. 술잔이 몇 순배 돌아서 얼굴이 불콰해질 무렵까지도 허공을 긋는 빗줄기가 처마에서 흘러내리고 있다면 금상첨화다. 그리하여 술집 창유리를 타고 흘러내리는 빗물이 실연의 아픔을 삭이는 여인의 눈물처럼 애잔해 보여야 낮술은 비로소 온몸에 젖어드는 법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임호선

◇22대 총선 당선인 인터뷰 - 증평·진천·음성 더불어민주당 임호선 "부족한 사람에게 다시 한번 중임을 맡겨주신 군민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번 총선 승리는 개인의 승리가 아니라 약속드린 미래 비전을 군민들께서 선택하신 것이라 생각합니다" 재선에 성공한 임호선(61) 더불어민주당 당선인(증평·진천·음성)은 겸손한 자세로 소통하며 어려운 민생부터 확실히 챙겨 나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번 총선은 윤석열 정부에 대한 강력한 경고"라며 "서민경제를 살피지 못하고 국정운영을 독단적으로 하며 과거로 퇴행하려는 정부에 브레이크를 잡으라는 민심이다. 제1야당으로서 총선에서 드러난 민심을 적극 따르며 민생해결과 지역발전에 책임감을 갖고 임하겠다"고 앞으로의 의정활동에 대해 설명했다. 22대 국회에서는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활동을 원하고 있다. 임 당선인은 "저는 농촌에서 태어나 자라왔고 현재도 농촌에 살고 있다"며 "지역적으로도 증평·진천·음성군이 농촌이기에 누구보다 농업농촌의 현실을 잘 이해하고 농민의 어려움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농촌의 현실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임 당선인은 "농촌이 어렵지 않은 적이 없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