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송보영

수필가

소금이 맛이 들었다. 짠 맛이 단맛을 머금었다. 후 입맛이 달다. 소금에 섞여 있는 불순물들이 모두 사라지고 소금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맛이 더욱 깊어졌다. 색깔 또한 맑고 투명하다. 정제된 하얀 알갱이들이 햇살아래 빛난다. 손끝에 닿는 감촉이 산뜻하다. 보슬보슬하다. 손바닥에 놓고 비벼보니 바스스 부스러진다. 짠맛에 쓴맛마저 감돌던 눅눅한 것이 순도 100퍼센트의 잘 정제된 소금으로 다시 빚어진 것이다. 오랜 시간을 햇살과 바람에 몸을 맡긴 채 숱한 날들을 견뎌낸 뒤에 온 결과다. 소금도 숙성의 과정을 거치다보면 맛이 드는가보다.

순전한 맛으로 다시 빚어진 소금이라야 그를 필요로 하는 곳에 녹아들어 맛을 완성할 수 있다. 단맛을 내는데 첨가하면 더욱 감칠맛 나는 단맛을 내고 신맛에 녹아들면 아주 맛깔스러운 신맛이 된다. 어느 곳에 들어가든 재료의 맛을 살려냄으로 제 몫을 온전히 감당한다. 간을 주관하는 소금이 온전한 맛을 낼 수 있을 때 비로소 맛의 절정에 이른다. 그래서인가"소금이 제 맛을 잃으면 길가에 버려져 뭇 사람들의 발에 발필 뿐이라" 하는지도 모른다.

요즈음 들어 "시거든 떫지나 말지"란 말에 자주 부딪치곤 한다. 재능기부란 이름아래 작은 모임을 만들고 나서부터다. 오래 전부터 교우들의 권유가 있었지만 선뜻 응하지 못했었는데 우연한 계기로 시작을 하게 되었다. 대단한 일을 하고자 함도 아니고 내가 아는 만큼을 지인들과 나누고 싶다는 작은 소망에서 비롯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세울만한 재능도 없으면서 부끄러운 줄도 모르고 시작을 하고보니 마음이 영 편치가 않다. 막상 시작을 하고보니 책임이 따르고 지식이 부족한 탓에 바른 길잡이로서의 책임을 다하지 못하는 것은 아닌가싶어 염려스럽다. 스스로를 돌아보는 일이 많아졌다. 내가 이대로 좋은가. 살구의 반열에 들지도 못하면서 살구인체 하는 개살구 꼴은 아닌가 싶어서다.

사람에게 있어 맛 듦이란 무엇인가. 춤을 추는 이들이나 연주를 하는 이들, 그림을 그리는 이들, 글을 쓰는 작가나 학문을 하는 이들, 이들 모두는 모진 고통을 견뎌내며 맛 듦의 과정을 거처 깊은 맛을 우려 낼 수 있을 때 비로소 꾼이 되고 장이가 된다. 춤을 추는 사람은 춤꾼이 되고 그림을 그리는 이들은 진정한 환쟁이가 되고 연주가들은 풍각쟁이가 되고 글을 쓰는 이들은 글쟁이가 된다.

발레리나 '강수진'의 발을 화면을 통해 본적이 있다. 슈즈를 벗은 그의 발은 상처의 흔적들로 가득했다. 발가락이 휘고 도드라진 것도 모자라 발가락 윗부분 마디마다 밖인 티눈을 보며 그의 일상을 짐작 할 수 있었다. 진정한 춤꾼이 되기 위해 여인의 고운 발이기를 포기한 훈장 같은 상처들은 안쓰러움을 지나 경이로웠다.

"사람들은 내가 발레를 하기 위해 태어난 사람이라고 말한다. 하지만 당신이 나와 같은 하루를 보내기 전에는 나에 대한 판단을 하지 않기를 바란다. 그대가 편안하게 길을 걸으며 풍경을 감상 할 때 나는 발가락으로 온 몸을 지탱하며 하루를 보냈다. 발레를 하기 위해 태어난 몸은 없다. 하루를 그냥 보내지 않는 치열함이 있을 뿐이다", " 아침에 눈을 뜨면 늘 어딘가 아프고 아프지 않은 날은 내가 연습을 게을리 했구나 하는 반성을 하게 된다" '나는 내일을 기다리지 않는다'라는 그의 저서에 이렇게 피력하고 있다.

그렇다. 어느 분야에서건 깊은 맛을 내는 경지에 이르기 위해서는 그만한 대가를 지불하지 않으면 안 된다. 소금이 단 맛을 포함한 맛깔스러운 맛으로 다시 빚어지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동안 숙성이라는 과정을 견뎌내야 가능하다. 발레리나 '강수진'도 천상의 춤을 추는 춤꾼이 되기 위해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기에 그 경지에 오를 수 있었다. 하물며 나 같은 필부이랴. '시거든 떫지나 말지' 란 말이 딱 어울리는 오늘의 내가 새로운 나로 탈바꿈하기 위해서는 뜻하는 바를 위해 온전히 녹아듦으로 진정한 맛 듦의 과정을 온전히 견뎌 내야 할게다.
배너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신년> 나경원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부위원장 인터뷰

[충북일보] ◇취임 두 달이 지났다. 그동안의 소회 말씀해 달라 2016년 국회 저출산고령사화특귀 위원장을 하면서 출산율 제고와 고령화 정책에 집중했다. 지난 6년간 대한민국 인구구조는 역피라미드로 갈 수밖에 없는 흐름이다. 2025년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른 인구 위기를 기회로 만들기 위해서는 큰 틀에서의 인구미래전략이 필요하다. 취임 후 위원회가 해온 일을 살펴보고 관계부처, 관련 전문가, 지자체, 종교계, 경제단체 등 각계각층과 의견을 나눴는데 아직 연계와 협력이 부족하다. 위원회가 정책을 사전에 제안하고 부처 간 조정 역할을 강화해 인구정책 추진에 매진할 계획이다. ◇인구정책 컨트롤타워로서 위원회의 인구미래전략 비전과 방향은 현재 극심한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구구조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위원회는 피할 수 없는 초고령사회를 대비하는 '미래 100년 준비'를 시작한다. 인구구조에 영향을 받는 산업, 교육, 국방, 지역 등 전 분야의 준비를 통해 사회구성원 모두 행복하게 살 수 있는 탄탄한 미래를 설계하고자 한다. 인구구조 변화를 완화하기 위해 출산율 제고는 반드시 필요하다. 새해에는 '2023년 응애! 응애! 응애!' 구호를 펼친다. 젊은 세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