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6.9℃
  • 맑음강릉 11.3℃
  • 맑음서울 8.9℃
  • 맑음충주 5.5℃
  • 맑음서산 5.0℃
  • 맑음청주 9.3℃
  • 맑음대전 7.6℃
  • 구름많음추풍령 8.2℃
  • 구름많음대구 12.6℃
  • 흐림울산 12.8℃
  • 구름많음광주 9.9℃
  • 흐림부산 13.8℃
  • 구름많음고창 6.9℃
  • 맑음홍성(예) 6.1℃
  • 흐림제주 12.9℃
  • 흐림고산 12.3℃
  • 맑음강화 7.9℃
  • 맑음제천 6.5℃
  • 맑음보은 4.6℃
  • 맑음천안 5.6℃
  • 맑음보령 5.4℃
  • 맑음부여 4.1℃
  • 구름많음금산 5.4℃
  • 흐림강진군 11.3℃
  • 흐림경주시 13.0℃
  • 흐림거제 13.8℃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김혜경

시인

며칠 동안 비가 내렸다. 삼복더위를 피해갈 수 있다는 얕은 생각에 내심 소나기를 반기기도 했다. 더 큰 이유는 조용하기 때문일 것이다. 아파트의 저층인 우리 집은 베란다 바로 밑에 놀이터가 있고 그 옆에 담장을 사이에 두고 초등학교가 있다. 지하주차장으로 통하는 출입구도 있다. 매일 소음에 시달리고 있는 셈이다. 창밑 나무에서 매미라도 울어대는 날이면 귀에 솜뭉치라도 틀어막고 싶어진다. 비 오는 날이면 이 모든 소음이 빗속에 녹아내린다. 이런 날 창가에서 마시는 차 한 잔은 더할 나위 없는 명품의 삶을 선사한다. 바람에 베란다 구석에 세워 둔 나무판자가 넘어가 화분과 내 머리를 덮쳤지만 매일 시달리는 소음에 비한다면 넉넉히 참아줄만 했다.

우기의 날씨는 참으로 변덕스러워 거세게 빗줄기가 퍼붓다가도 금세 해가 들곤 했다. 이제 곧 무섭게 매미가 목청을 높일 것이다. 우리가 쉽게 버리는 빵 한 조각이나 쌀 한 줌이 누군가에겐 절실할 수도 있는 것처럼 매미의 삶에서 한줄기 햇살은 절박한 삶의 양분이 될지도 모른다. 빗속에서 폐지를 줍는 할머니를 만났다. 폐지를 수집하여 생계를 유지해 나가는 할머니의 고단한 삶이 울컥 목이 메게 한다. 내가 같잖게 여기던 햇살 한 줄이 그들에게 소중한 양식이 될지도 모른다. 폐지를 주워 모아야만 쌀 한 줌을 살 수 있고 어린 손자의 학비를 낼 수 있는 할머니에게 매일 퍼붓는 비는 얼마나 야속했겠는가.

신께 허락 받은 여름의 몇 날 안에 삶의 마지막 소임을 마쳐야 하는 매미의 다급함. 삶의 마지막 에필로그를 완성해야 하는데 젖은 날개가 마를 틈이 없는 절박함.

햇살에 열매를 붉게 영글려야하는 과일 나무와 촘촘히 알곡을 채워야하는 곡식의 애타는 심정을 내가 모르고 지냈나보다.

비 오는 날을 손뼉 쳐 반기던 좁은 이기심이 뚝 끊긴 매미의 울음에 미안해지고 푹푹 삶아대는 날엔 매미가 극성스레 울어대는 나무에 돌이라도 던지고 싶은 짜증스러움의 교차. 나 좋은 대로 세상일이 펼쳐진다면 얼마나 좋을까 만은 나 좋은 만큼 가슴 아픈 사람도 있는 것이 세상 이치인 모양이다. 자연의 조화를 우리가 어찌 알 수 있겠는가. 날씨를 마음대로 조정 할 능력이 없으니 자연을 믿어보는 수밖에 없지 않은가. 매일 하늘을 보며 짚신과 우산을 파는 두 아들을 걱정하던 어머니의 마음이 내 속에서 오간다. 햇살을 피하고자 하는 마음과 해를 기다리는 마음들을 요즘 하늘은 용케도 하루에 몇 차례씩 알아주셨다. 더위를 가시게 해주는 빗소리를 소나타 연주쯤으로 여기던 나는 대박 터진 우산 장수였는지도 모르겠다. 빗물에 흠씬 젖어 물꼬를 보는 맨발의 농심은 땅이 꺼질 듯한 한숨의 짚신장수였으리라. 오늘은 환한 햇살이 번졌으면 좋겠다. 여물어 가는 고추에 약이 오르고 탱탱하게 포도알이 여물도록 따가운 빛살이 습하고 여린 곳곳에 고루 스몄으면 좋겠다. 하염없이 젖은 그네만 바라보는 아이의 눈이 햇살에 밝게 빛났으면 좋겠다. '남극의 햇살을 일주일만 더 내려주소서' 라는 시구가 절로 새어 나온다. 한여름 내 드세게 울어댈 매미소리도 구수하게 꺾어 넘어가는 유행가로 기꺼이 들어주리라.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 ④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충북일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는 첫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정책·이념을 넘어 서로 감옥 보내려고 하는 정치는 이제 멈쳐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세계 추세인 글로벌 마인드·이공계 출신의 대통령이 대한민국에서도 탄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인이 당선돼야 하는 이유는. "이번 탄핵을 겪으면서 대한민국 정치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최근 3~4년 동안의 기간을 보면 여야는 정책이나 이념의 대립보다는 서로를 감옥 보내려고 하고 방탄하려고 하는, 정치가 교착 상태에 빠지는 상황이다. 최근 트럼프발 경제 위기, 중국의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부상 등에 대처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국제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된 이후에 자라온 세대의 입장에서 완전히 다른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된다. 그래서 글로벌 마인드가 있고 이공계 출신인 저 이준석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양극화 문제와 지역균형발전의 해법은. "윤석열 정부 들어 재정이 굉장히 안 좋아진 건 사실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100조원대 재정 적자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이 문제가 고착화됐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