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2.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10.05 16:36:07
  • 최종수정2023.10.05 16:36:07
어머니가 그리운 날이면 촛불을 켜고 싶다. 나는 철없는 딸이었다. 속내를 드러내지도 않고 무심하게만 보이는 어머니가 야속하여, 불평불만이 많았다. 얼마나 걱정이 되셨으면 혼수를 장만하시면서 내게 좋은 촛대를 꼭 사주고 싶다고 하셨을까. 불현듯 어머니의 촛대에 촛불을 밝히고 싶었다.

첫날밤을 밝혔던 촛대를 꺼내 닦아 선홍빛 초를 꽂고 불을 당겼다. 백합꽃을 좋아하셨던 어머니의 온화한 미소가 어른거리고 "잘 살아라" 하시던 음성이 귓가를 맴돈다.

결혼식을 하고 바로 시댁으로 들어가 폐백을 올리고 새댁 노릇으로 하루를 보내고 처음으로 생긴 내 방문을 열고 들어섰다. 자그마한 화장대 위에 선 삼단 은빛 촛대에 꽂힌 선홍 촛불이 방안을 환하게 밝히고 있었다. "어서 오렴. 힘들었지!" 나는 그만 '어머니!' 하고 털석 주저앉았다. 멍하니 촛불을 바라보며 흐르는 눈물을 감당할 수가 없었다. "시집가면 친정에 올 생각을 하지 말아라" 하시던 말씀이 서럽고 야속했다.

어머니는 내게 집안의 빛이 되라고 딸의 신방을 촛불로 밝혀 주고 싶으셨나 보다. 촛불은 소원을 담고 근심 걱정을 해소하며 축하와 행운의 뜻이 있다고 했다. 모두가 잠든 이 밤, 어머니는 지금 무얼하고 계실까. 손을 모으고 기도를 하실까. 딸 걱정에 잠 못 이루고 뒤척이고 계실까. 신혼의 달콤한 꿈에 빠진 큰딸의 첫날밤을 상상하며 행복해 하실까.

단정하고 흐트러짐이 없으신 어머니는 짧은 옛이야기나 속담, 수수께끼를 즐겨 들려주시는 지혜로움으로 우리를 가르치셨다. 딸이 많으니 항상 조심스럽고 걱정스러움에 노심초사하신 속 깊은 어머니의 사랑을 어찌 다 헤아릴 수가 있을까. 어머니는 하루를 항상 기도로 여셨다.

너희도 아버지 같은 신랑을 만나면 좋겠다고 늘 말씀하시던 어머니. 금실이 좋으신 부모님의 모습은 우리 모두를 행복하게 했다. 아버지께서 갑자기 심장마비로 소천하시자 어머니는 건강을 잃고 외롭고 허약한 심신의 고통으로 병원을 전전하며 10여 년을 고생하셨다. 집은 허술해도 병원이 가깝고 교통도 편리하여 편해하시는 어머니를 모셨지만, 겨울이 오면 외풍이 심한 허름한 집이라 새로 짓기 전까지, 여건이 좋은 인천의 여동생이 모시기로 했다.

어머니를 배웅하고 돌아와 나는 그만 터지는 울음을 참을 수가 없었다. 전화 받침 아래 살짝 넣어두고 가신 하얀 봉투 '집 잘 짓고 너의 내외 만수무강하여라. 엄마 두 손 모아 빈다.' 가슴이 뭉클했다. "어머니!" 송수기를 들고 울먹이는 내게 "나는 좋기만 한데 애처럼 왜 울어. 돈은 필요한 사람이 쓰는 거여. 난 이제 돈이 소용없어. 울지 말아" 다독이며 어루시는 모정이 나를 더욱 슬프게 했다.

새집을 마련했을 때 어머니는 "참 잘했다. 축하한다"는 말씀뿐 오실 수가 없었다. 위독하시다는 전화에 달려간 병실에서 산소마스크를 쓰신 얼굴에 "엄마아!" 얼굴을 맞대고 불러도 대답이 없으시다. 자애로우신 눈빛을 단 한 번이라도 뵈었으면 원이 없을 것만 같았다. "외롭다. 사람이 그립다. 너의 집에 가고 싶다" 하시던 말씀이 귀에 쟁쟁하다. 마음을 진정하고 어머니 가슴에 손을 얹고 흐느끼며 성가를 조용히 부르던 날이 회상된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피할 수 없는 길이다. 장례미사와 촛불 고별예식으로 어머니가 하늘나라에서 참 평화와 행복을 누리시기를 간절히 기도할 수밖에는 없었다. 한 생의 무거운 짐을 벗어놓고 불길을 따라 하늘로 오르시는 어머니의 초연한 모습이 서러움보다 편안함으로 다가왔다.

촛불은 어머니의 기도를 담았나 보다. 어려움도 근심 걱정도 잊게 하는 치유의 신비가 나를 다독인다. 어머니와 함께하던 말놀이며, 윷놀이, 전통 꽃 맞추기로 환하게 웃으며 즐거워하시던 고우신 모습이 불빛에 어른거린다.

"어머니! 어머니처럼 기도하고 사랑하고 보듬으며 잘 살겠습니다. 하느님 나라에서 참 평화와 영원한 복락을 끝없이 누리소서" 가만히 손을 모은다.

권명자

푸른솔문학 수필 등단

푸른솔문인협회 회원

천주교 청주교구 주보 '깊은골짝 옹달샘' 집필

충북여성문인협회 작품공모 최우수상

저서 '그분 마음에 들었으면'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네티즌의견 0

Guest
0 / 300 자
선택된 파일 없음 파일 선택
등록하기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