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5.0℃
  • 구름많음강릉 9.3℃
  • 서울 5.5℃
  • 흐림충주 5.4℃
  • 흐림서산 5.3℃
  • 청주 6.0℃
  • 대전 5.4℃
  • 흐림추풍령 5.1℃
  • 대구 8.3℃
  • 울산 8.4℃
  • 광주 6.4℃
  • 구름많음부산 13.3℃
  • 흐림고창 6.3℃
  • 홍성(예) 4.8℃
  • 구름많음제주 13.1℃
  • 구름많음고산 12.4℃
  • 흐림강화 5.0℃
  • 흐림제천 3.1℃
  • 흐림보은 5.4℃
  • 흐림천안 5.5℃
  • 흐림보령 5.3℃
  • 흐림부여 5.0℃
  • 흐림금산 5.3℃
  • 흐림강진군 7.8℃
  • 흐림경주시 7.8℃
  • 구름많음거제 12.8℃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김규완

전 충북도 중앙도서관장

"아마 나는 아직은 어린가봐 그런가봐…. 엄마야 나는 왜 갑자기 보고 싶지…."

정오의 라디오에서 조용필의 '고추잠자리'가 흘러나온다. 부지런히 움직이던 와이퍼도 그치고 적색 신호등에 차를 멈추자, 고추잠자리 한 마리 날아와 앞 유리에 앉는다. 세찬 비바람이 아스팔트를 식히니, 더위 피해 산으로 올라갔던 천둥벌거숭이가 내려온 것이다.

고추잠자리는 머리부터 배끝까지 전체가 빨개서 붙은 이름이지만 실은 성숙한 수컷에만 붉은 색이 나타나고 미성숙한 수컷이나 암컷은 노란색을 띤다. 고추잠자리에 대한 어린아이들의 예쁜 말은 '고추짱아'다. 옛사람들은 강추(絳·: 진홍색 천), 적변장인(赤弁丈人: 붉은 고깔을 쓴 노인), 적졸(赤卒: 붉은 빛을 띤 무리) 등으로도 표현했다. 익어가는 들녘의 곡식, 하늘거리는 코스모스와 함께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이 사랑받는 '가을빨간잠자리'다.

'천둥벌거숭이'는 '천둥'과, 잠자리의 비표준어인 '벌거숭이'의 합성어로 천둥치는 날씨에도 돌아다니는 고추잠자리를 이르는 말인데, 사전적 의미로는 '철없이 두려운 줄 모르고 함부로 덤벙거리거나 날뛰는 사람'을 뜻한다.

천둥 번개가 칠 때 다른 벌레들은 나무 밑에 숨어서 비가 그치기를 기다리지만 고추잠자리는 겁도 없이 하늘을 날아다닌다고 해서 그렇게 불리는데, 고추(좀)잠자리의 경우 활동 최적 기온이 15~20도로 평지의 기온이 30도를 넘게 되면 활동을 하지 못하고 죽게된다. 천둥 번개를 따라 생명수 같은 비바람이 오고 있는데 어찌 가만히 있을 수 있겠는가?

잠자리는 지구상에서 날개를 가진 곤충으로 진화한 무리 가운데 최초의 곤충이며 해충을 잡아먹는 익충(益蟲)이다. 하루에 평균 200여 마리의 모기를 사냥해 서양에서는 모기매(mosquito hawk)라 부르기도 한다.

잠자리가 사냥률 95% 이상을 자랑하며 세계에서 가장 실력있는 포식자로 인정받고 있는 것은 좋은 시력과 빠른 비행속도(시속 30~60km), 공중에서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능력 때문이다. 머리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공 모양의 눈으로는 360도 어느 방향이나 볼 수 있고, 날개 네 개를 모두 따로 움직여 뒤로나 거꾸로도 날 수 있다. 공중에서 정지 상태로 있다가 순식간에 시속 50㎞로 속도를 올릴 수도 있다. 헬리콥터를 가리켜 '잠자리비행기'라 하는데 실제로 잠자리는 미 육군의 드론 모델이 되기도 했다.

놀라운 비행술과 사냥솜씨를 가지고 있는 잠자리에게도 천적은 있다. 사마귀와 거미다. 예전에 잠자리채 구하기가 쉽지 않았던 시골에서는, 철사를 동그랗게 구부려 대나무 등 긴 막대기에 묶은 후 거미줄을 동그랗게 구부린 철사에 여러 겹 붙여서 잠자리 채집을 했다.

모든 식물의 고향이 물속이듯 잠자리의 고향도 물속이다. 잠자리는 한여름에 더위를 피해 높은 산 위로 피서를 떠났다가 무더위가 지나면서 논과 밭으로 내려온다. 그리고 여름철엔 물가에서, 가을날엔 하늘에서 사랑을 나눈다. 청낭자(靑娘子)로도 불리는 잠자리들은 짝짓기를 할 때 서로의 긴 배를 휘어지게 하여 특유의 하트 모양을 만들어낸다. 밉지않은 질투심 유발자들이다.

가끔 잠자리 두 마리가 몸이 붙은 상태로 날아가는 모습을 볼 수 있는데, 자신이 모처럼 건네준 정자를 다른 수컷이 긁어내지 않도록 수컷이 짝짓기 후에 암컷의 머리를 붙잡고 날고 있는 것이다. 이것을 '교미 후 경호'라고 한다.

잠자리는 다른 곤충에게는 없다고 알려진 일종의 선별적 주의력을 타고났지만, 가로등 아래 주차된 차에 비친 불빛을 햇빛이 수면에 반사된 것으로 여겨 알을 낳기도 한다.

여름이면 순백의 연꽃 위에서 두 쌍의 날개를 활짝 펴고 배를 곧게 세워 하늘로 향하고 있는, 우아한 발레리나 모습의 고추잠자리를 볼 수 있는데, 이는 햇볕을 조금이라도 덜 받아 몸의 체온이 올라가는 것을 줄이려고 하는 삶의 몸짓이다.

고추잠자리를 보면 고향이 생각나고 친구들이 보고싶고 어머님이 그리워진다. 천둥벌거숭이 시절엔 '엄마'라 부르고, 곱게 늙어가실 때에는 '어머니'로 불렀는데, 지금은 '어머님!'으로 쓰기만 한다….

저녁노을 속 잠자리 한 마리가 창가에 앉는다. 오늘 밤에는 잠자리 날개 같이 고운 모시옷을 입으시고 환하게 웃으시는 어머님을 뵈올 수 있을 것 같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공동 대선주자 릴레이인터뷰 ①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충북일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열리는 '6·3조기대선'에 여야 후보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은 조기에 치러지는 탓에 후보검증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본보와 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방식은 서면질의서를 보내 답변서를 받고, 후보 일정을 조율해 순서대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번째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김두관 전 의원을 만나 출마 배경과 비전을 들었다. 본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s://www.inews365.com/)에서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다. ◇대선에 출마하게 된 계기와 희망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에서 '12·3 계엄'으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다시한번 대한민국을 뛰게 만들고 싶다. 12·3 계엄 그리고 파면 이 과정을 '87체제'의 종식이라고 본다. 새로운 7공화국을 여는 그런 중대한 시기에 시대에 맞는 법령과 제도를 만드는 게 개헌이라고 생각한다. 권력 구조만 본다면 4년 중임제 분권형 개헌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고 있고, 또 개헌을 통해서 새로운 공화국의 비전을 보여줘야만 중도층이 우리 민주당을 지지하고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