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4.6℃
  • 맑음강릉 10.6℃
  • 박무서울 6.5℃
  • 맑음충주 3.2℃
  • 맑음서산 6.3℃
  • 박무청주 6.5℃
  • 박무대전 5.3℃
  • 맑음추풍령 6.5℃
  • 맑음대구 6.1℃
  • 맑음울산 9.1℃
  • 맑음광주 6.7℃
  • 맑음부산 10.3℃
  • 맑음고창 3.7℃
  • 박무홍성(예) 4.8℃
  • 맑음제주 11.2℃
  • 구름조금고산 10.1℃
  • 구름많음강화 5.4℃
  • 맑음제천 2.4℃
  • 맑음보은 3.2℃
  • 맑음천안 2.9℃
  • 구름조금보령 5.3℃
  • 맑음부여 3.5℃
  • 맑음금산 2.8℃
  • 맑음강진군 4.7℃
  • 맑음경주시 7.6℃
  • 맑음거제 9.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김규완

전 충청북도 중앙도서관장

독방에 갇힌 수인(囚人)처럼 책 보는 것 말고는 딱히 할 일이 없는 사람에게도 가끔씩 요산요수(樂山樂水)의 산수벽(山水癖)이 찾아든다. 불현듯 가을이 보고 싶어 불원천리 38선을 넘나들며 강원도의 이 산 저산을 돌아다녔다.

울울창창 전나무 숲길을 지나 '월정사 8각 9층 석탑'을 보고, 천년 옛길 '오대산 선재길'을 걸어 올라 현존하는 국내 최고(最古)의 종인 '상원사 동종'까지 만났다. 이로써 국보로 지정된 세 개의 동종(상원사 동종, 성덕대왕신종, 용주사 동종)을 늦게나마 다 보게 된 것이다.

예전에 청도 운문사에서 비구니가 치는 범종 소리를 듣고 가슴이 울컥한 적이 있었는데, 보호각에 갇혀 울지 않는 동종을 뒤로하고 절집을 나서려니, 산문(山門) 앞에 도로를 가로질러 걸려있던 커다란 안내판('오대산일대는 월정사 사유지입니다')이 떠오르고 연이어

연암 박지원의 글이 생각났다.

"금강산에 사람들이 자신의 이름을 바위에 써 놓은 게 보였는데 큼지막한 글씨로 깊이들 새겨 놓아 작은 틈도 없었으니, 마치 장 보러 나온 사람들이 북적거리며 어깨가 부딪는 것 같기도 하고 교외의 묘지에 빽빽이 들어선 무덤 같기도 했다."

해 지기 전 '비밀의 정원'에 도착하려고 '인제 가면 언제 오나 원통해서 못살겠네'의 인제로 서둘렀다.

"아침노을은 진사(辰砂)처럼 붉고, 저녁노을은 석류꽃처럼 붉다." 한 청장관 이덕무의 표현처럼, 저녁노을 아래 빛나는 천연의 정원은 정말 아름다웠다.

울산에서 인제까지 천 리를 넘게 달려온 부부가 새벽의 정원을 담아가려고 차박(車泊)을 준비하고 있었다. 어진 사람은 산을 좋아하고 슬기로운 사람은 물을 좋아한다더니 두 내외의 인정이 남다르다.

우리는 인근 면 소재지에서 하룻밤을 묵고 새벽에 다시 오기로 했다. 원산이 고향인 할머니가 홀로 운영하는 여관에 짐을 풀고 나와 저녁도 먹고 밤길도 걸으니 학창 시절 수학여행을 온 기분이었다.

어스름 새벽에 도착했음에도 엊저녁부터 설치한 진사들의 삼각대가 빽빽해 우리같이 휴대폰을 든 사람은 얼씬하기도 어려웠다. 간신히 비집고 들어가 상고대가 눈처럼 내려앉은 몽환적인 '비밀의 정원'을 사진에 담았다. 자연 그대로여서 더욱 신비하고 군사지역 안에 있어 더더욱 비밀스러운 산속 정원은 요정들의 놀이터 같았다.

오지의 산 방태산 가는 길에, 이른 아침 트럭을 타고 훈련 나가는 군인들을 보니 가슴이 싸하다. 조선 후기 무관 백동수가, 길이 워낙 험해 송아지를 몰고 갈 수 없어 등에 업고 들어간 기린협(인제군 기린면) 계곡을, 우리는 세월의 골짜기를 따라 차를 몰고 올라갔다.

구중심처 안개 속에 드리웠던 방태산 이단폭포가 소리 내어 반긴다. 위쪽 폭포수는 베틀의 하얀 비단 같고 아래쪽 폭포수는 국수틀에서 나오는 백국수 같다. 햇살 받은 포말은 은쟁반에 떨어지는 옥구슬처럼 톡톡 튀어 오른다. 용소(龍沼)에는 벼랑의 단풍이 어리비치고, 떨어진 붉은 잎들은 미끄럼 타러 아래 폭포로 몰려간다. 아! 금강산 구룡폭포에 몸을 날렸던 화가 최북의 가슴도 이처럼 뛰었으리라.

네비 양의 안내에 따라 조침령(鳥寢嶺)을 넘어서 가기로 했다. 높고 험해 새가 하루에 넘지 못하고 잠을 자고 넘었다는 구절양장 고갯길이다. 하늘을 나는 자유로운 새들이 힘들어 그랬을까? 새들도 보는 눈이 있고 머리가 있고 가슴이 있는데. 이 숨막히는 단풍 구경을 1박 2일로 하기 위해서였을 것이다.

천상의 화공이 산마루에다 쏟아부은 색색의 물감이 산등성이를 타고 산허리로 내려와 산굽이와 산모롱이를 돌고 산골짜기, 산기슭까지 줄줄 흘러내린다. "산을 보고 물을 보고 사람을 보고 세상을 보다(간산간수 간인간세·看山看水 看人看世)" 유학자 남명 조식이 지리산을 내려오면서 했던 말이다.

잎이 진다고 해서 가을을 원망하지 않는 나무들을 바라보다 가만히 나를 되돌아 보니(看我), 새가슴(겁 많고 도량 좁은)에 새대가리(아둔한)인 자가 운전대를 잡고 있다. 앞 차창에 뭔가 툭 하고 떨어진다.

'날아가던 새가 웃고 갔구나!'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공동 대선주자 릴레이인터뷰 ①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충북일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열리는 '6·3조기대선'에 여야 후보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은 조기에 치러지는 탓에 후보검증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본보와 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방식은 서면질의서를 보내 답변서를 받고, 후보 일정을 조율해 순서대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번째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김두관 전 의원을 만나 출마 배경과 비전을 들었다. 본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s://www.inews365.com/)에서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다. ◇대선에 출마하게 된 계기와 희망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에서 '12·3 계엄'으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다시한번 대한민국을 뛰게 만들고 싶다. 12·3 계엄 그리고 파면 이 과정을 '87체제'의 종식이라고 본다. 새로운 7공화국을 여는 그런 중대한 시기에 시대에 맞는 법령과 제도를 만드는 게 개헌이라고 생각한다. 권력 구조만 본다면 4년 중임제 분권형 개헌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고 있고, 또 개헌을 통해서 새로운 공화국의 비전을 보여줘야만 중도층이 우리 민주당을 지지하고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