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9.8℃
  • 맑음강릉 14.2℃
  • 맑음서울 9.9℃
  • 맑음충주 10.8℃
  • 맑음서산 8.6℃
  • 맑음청주 11.8℃
  • 맑음대전 10.2℃
  • 맑음추풍령 10.0℃
  • 맑음대구 13.7℃
  • 맑음울산 13.7℃
  • 맑음광주 11.6℃
  • 맑음부산 11.9℃
  • 맑음고창 9.1℃
  • 맑음홍성(예) 8.9℃
  • 맑음제주 14.2℃
  • 맑음고산 12.5℃
  • 맑음강화 7.5℃
  • 구름조금제천 9.6℃
  • 맑음보은 10.9℃
  • 맑음천안 10.4℃
  • 맑음보령 8.3℃
  • 맑음부여 9.3℃
  • 맑음금산 9.7℃
  • 맑음강진군 12.4℃
  • 맑음경주시 13.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2.08.16 16:37:24
  • 최종수정2022.08.16 16:37:24

김규완

전 충북도 중앙도서관장

해변의 풀들이 바닷바람에 몸을 맡기듯 나도 여름 태양에 순응키로 했다. 태양-달-지구 순서로 배열되어 달이 태양을 완전히 가리는 개기일식이 일어나기 전에야, 물이고 그늘이고 작열하는 태양을 온전히 피할 곳은 어디에도 없을 것이기 때문이다.

몸은 후텁지근하고 마음까지 답답한 2022년 여름에는 책과 놀며 더위도 세상사도 잊기로 했다. 일어사전에 '놀다'를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면서 즐기다'로 풀이하고 있어 인용하였다.

적어도 하루에 한 권 이상씩의 책을 보기로 마음먹고, 책상 위에는 읽어야 할 책이 대여섯 권 놓이도록 하였다. 어지간한 책은 다음과 같이 읽으면 하루 한두 권은 볼 수 있다.

1. 먼저 머리말과 맺음말을 분명하게 읽는다.

2. 목차를 죽 훑어본다.

3. 단락의 첫 문장만 읽어 나간다. (필요에 따라 끝 문장도 읽는다)

4. 장이나 절의 작은 제목도 읽고 도표도 본다.

5. 눈에 들어오는 문장은 전체를 읽는다.

6. 아래쪽에 있는 각주는 선별해서 읽는다.

올 여름에는 유난히 비가 자주 내렸다. 비 오기 전에 부는 바람은 산 위에서 부는 바람처럼 아주 시원하다. 몽골 사람들은 예로부터 비에 대해 경외심을 갖고 있다는데, 비오는 날에는 고전(古典)이 운치도 있고 제격이다. 《톰소여의 모험》을 쓴 마크 트웨인은 "고전이란 모두가 읽고 싶어 하지만 아무도 안 읽는 책"이라 했고, 종교학자 정진홍은 "고전은 모두가 읽어야 하는데 아무도 읽지 않는 책"이라 했다.

저널리스트이자 독서가였고 '고양이 빌딩'으로 유명한 다치바나 다카시는 "시대를 초월하여 독자층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서적, 적어도 500년이나 1천 년 정도의 시간 속에서 검증을 받고 후세에 남겨진 책이라야 고전이라 할 수 있다"고 평했다. 다치바나가 어떤 글을 쓸 때에는 사전에 50~100여 권의 관련 서적을 읽었다고 한다. 집 근처 공공도서관에 있는 그의 책을 모두 빌려다 봤다. 믿음도 가고 얻을 것도 많은 지(知)의 보고(寶庫)라 할 수 있었다. 우리나라의 어느 저명한 학자도 그와 같은 책을 쓰고 싶다고 했다. 그동안 1천500자 내외의 졸필을 쓰기 전에 관계 책자를 채 10권도 읽지 않았던 졸렬함이 엄습하여 얼굴이 화끈거렸다.

복중(伏中) 독서를 하며 가끔은 아르키메데스의 유레카와 같은 기쁨을 맛보았는데,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논리철학논고》가 한 예이다.

그 명저는 "세계는 일어나는 일들의 총체이다"로 시작하여 "말할 수 없는 것에 관해서는 침묵해야 한다"로 끝을 맺고 있었다.

"올바른 부모 밑에서 자라는 아이는 올바른 원칙을 배운다. 그는 사랑이 보호와 배려와 충성과 희생을 의미한다는 것을 배운다. 그것은 부모로부터 그렇게 해야 한다고 이야기를 들어서가 아니라 그의 뇌가 무의식적인 작용으로 복잡하고 혼란스러운 정보를 몇 가지 규칙적인 원형으로 압축시키기 때문이다."

토머스 루이스 등 세 명의 정신과 의사들이 쓴 《사랑을 위한 과학》에서 만난 문장은, 톨스토이의 《안나 카레니나》 첫 구절과 겹치면서 감동의 긴 여운을 남겼다.

"행복한 가정은 살아가는 모습이 서로 엇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 다른 모양으로 괴로워하는 법이다."

이번에 읽은 것 중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독립투사 장건상 선생의 '국회의원 출마의 변'이었다.

"나를 국회로 보내주시오. 거기에 가서 앉아 있을랍니다. 경로당에 가서 앉아 있기엔 아직 나이가 이르고 막노동을 하기엔 나이를 너무 먹었소. 아무리 생각해도 내가 앉아 있을 곳은 국회밖에 없을 것 같아 이렇게 출마를 한 것입니다."

소크라테스의 '이성의 법칙', 부처의 '무애', 공자의 '중도', 장자의 '진정한 자유', 빅토르 위고의 '인도주의', 월트 휘트먼의 '자연주의', 헨리 소로의 '간소한 생활'을 다시 한번 천천히 새겨본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공동 대선주자 릴레이인터뷰 ①김두관 더불어민주당 전 의원

[충북일보] '윤석열 전 대통령 파면'으로 열리는 '6·3조기대선'에 여야 후보들이 대거 출사표를 던졌다. 이번 대선은 조기에 치러지는 탓에 후보검증에 한계가 있는 게 사실이다. 이에 본보와 한국지역언론인클럽(KLJC)은 유권자의 올바른 선택을 위해 대선 주자 릴레이 인터뷰를 공동으로 진행했다. 방식은 서면질의서를 보내 답변서를 받고, 후보 일정을 조율해 순서대로 인터뷰를 진행했다. 첫번째로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경선에 나선 김두관 전 의원을 만나 출마 배경과 비전을 들었다. 본보 인터넷 홈페이지(https://www.inews365.com/)에서 인터뷰 영상을 볼 수 있다. ◇대선에 출마하게 된 계기와 희망은. "대한민국이 세계 최고의 선진국에서 '12·3 계엄'으로 나락으로 떨어졌다. 다시한번 대한민국을 뛰게 만들고 싶다. 12·3 계엄 그리고 파면 이 과정을 '87체제'의 종식이라고 본다. 새로운 7공화국을 여는 그런 중대한 시기에 시대에 맞는 법령과 제도를 만드는 게 개헌이라고 생각한다. 권력 구조만 본다면 4년 중임제 분권형 개헌을 강력하게 주장을 하고 있고, 또 개헌을 통해서 새로운 공화국의 비전을 보여줘야만 중도층이 우리 민주당을 지지하고 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