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2.3℃
  • 구름많음강릉 10.6℃
  • 천둥번개서울 12.8℃
  • 흐림충주 21.2℃
  • 구름많음서산 13.0℃
  • 청주 21.8℃
  • 흐림대전 23.0℃
  • 흐림추풍령 23.5℃
  • 구름많음대구 23.1℃
  • 구름많음울산 20.9℃
  • 흐림광주 20.7℃
  • 흐림부산 18.3℃
  • 구름많음고창 20.3℃
  • 홍성(예) 15.4℃
  • 흐림제주 21.7℃
  • 흐림고산 15.9℃
  • 구름많음강화 10.9℃
  • 흐림제천 21.8℃
  • 흐림보은 22.4℃
  • 흐림천안 18.7℃
  • 구름많음보령 14.1℃
  • 흐림부여 20.8℃
  • 흐림금산 22.6℃
  • 흐림강진군 20.0℃
  • 구름많음경주시 24.1℃
  • 구름많음거제 18.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춘추관 이러쿵 저러쿵 - 전화위복(轉禍爲福)

박 정부 출범 후 최대 이슈 '정윤회 스캔들' 강타
박모 경정 동향보고서 놓고 진실 공방전 '블랙홀'
집권 3년차 앞두고 '대탕평인사 위한 찬스' 중론

  • 웹출고시간2014.11.30 19:29:17
  • 최종수정2014.11.30 18:34:18
화(禍)를 부축이는 축이 있다. 외부의 힘이 그렇고, 내부에도 적지 않은 세력이 동조하고 있는 모양새다. 화(禍)를 잘못 다스리면 독(毒)이 된다. 독은 박근혜 대통령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적인 불행의 시초가 된다. 화가 바뀌어 오히려 복이 된다는 '전화위복(轉禍爲福)'이라는 사자성어의 의미를 되새겨야 한다. 지금 청와대 안팎에서 벌어지고 있는 '정윤회 스캔들'은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니다.

◇'정윤회 스캔들'의 개요

박근혜 대통령의 입법보조원 출신의 정윤회(59)씨가 청와대 내 문고리 3인방과 함께 대통령 비서실장 인사 등 국정을 논의했다는 세계일보 보도 후 후폭풍이 수그러들지 않고 있다.

정윤회씨의 국정농단 의혹을 뒷받침할 수 있는 공직기강비서관실의 동향 보고 문건이 언론을 통해 공개되자 청와대와 국회는 물론, 온 국민들의 사태의 전개과정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청와대는 일단 언론에 공개된 동향 보고 문건이 찌라시를 통해 시중에 떠돌고 있는 내용을 모아 놓은 자료에 불과하고, 김기춘 비서실장도 이 내용을 보고받았지만 사실이 아닌 것으로 판단해 특별한 조치를 하지 않았다고 항변하고 있다.

그러면서 동향 보고 문건을 마치 '감찰 보고서'로 둔갑시킨 언론사에 대해 출판물에 의한 명예훼손 혐의로 고소하고, 문건을 유출한 의혹을 받고 있는 박모 경정에 대해서도 수사를 의뢰했다.

이후 청와대와 새누리당의 공식 반응은 '풍설을 모아 놓은 찌라시 수준의 내용'이라는 것이고, 야당과 대다수 언론은 '공직기강비서관실 특성상 상당 부분 감찰이 이뤄진 내용으로 볼 수 있다'는 입장이다.

◇연말 정국 '블랙홀' 시작

당초 개헌과 공무원연금, 야당의 'VIP 자원외교' 등을 둘러싼 문제가 연말연초 정국을 뜨겁게 달굴 것으로 예상됐다. 하지만, 아주 비생산적인 '정윤회 스캔들'이 벌써 이를 대체하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이미 '비선실세 국정농단 국정조사'에 당력을 집중하고 있다. 새누리당 역시 문건에 등장한 내용 뿐만 아니라 유출경위까지 명명백백하게 가려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다.

이 과정에서 상당수 언론은 청와대의 반응이 이상한 방향을 향하고 있음을 감지하고 있다. 사실이 아닌 내용이 부풀려 졌고, 누군가가 대통령의 최측근 인사들의 겨냥해 정권 무력화를 시도하고 있다는 내용으로 요약된다. 그러면서 문건이 유출된 문제에 대해서만 책임을 묻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것 같다는 얘기가 곳곳에서 나오고 있다.

반면, 박 대통령이 이번 사태를 엄중하게 받아들이면서 집권 3년차를 앞두고 대대적인 인적쇄신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다수 의견이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대탕평 인사'를 줄기차게 약속했다. 그러나 인사위원장을 맡고 있는 비서실장은 그동안 "우리는 인재를 채용할 때 출신 지역을 따지지 않는다"며 대통령의 철학과 어긋난 발언으로 일관해 왔다.

◇영남을 넘어 호남과 충청으로

'정윤회 스캔들'에 대한 진실은 검찰에서 가려내면 된다. 훨씬 심각한 문제는 청와대가 이 문제에 매달려 집권 3년차 국정성과를 내지 못할 수 있다는 점이다. 집권 3년차 국정성과를 위해서는 진실 여부를 떠나 인적쇄신이 필요하다. 그동안 국가와 민족을 위해 헌신했다는 생각을 가진 비서진이라면 자신을 버려 국가를 구하는 일에 나서야 한다.

당사자들이 스스로 결단하고, 박 대통령은 2012년 대선 과정에서 약속했던 대탕평 인사를 단행해야 한다. 5대 사정기관 영남 독식과 부산·경남(PK)과 대구·경북(TK)의 연합군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인사에서 벗어나 호남권과 충청권, 강원권, 제주권 등으로 범위를 넓혀야 한다. 그래야 '100% 대한민국'을 만들 수 있다.

특정 지역 독식 인사의 말로는 그동안 수차례에 걸쳐 확인됐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가 바로 노무현 정부 시절 청맥회를 중심으로 하는 PK의 독식이었다.

이 때문에 호남권의 반발이 확산됐고, 노 전 대통령이 당시 박근혜 한나라당 대표에게 '연정(聯政)'을 제안했다가 거절을 당한 사례가 있다. 이를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집권 3년차를 앞두고 있는 박 대통령에게 어쩌면 마지막 기회다.

소위 십상시(十常侍)와 문고리 권력으로 간주되는 인사들과 이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한 김기춘 비서실장 등도 스스로 자신의 몸을 베어 국가와 민족을 위한 마지막 충정을 보여줘야 한다.

서울 / 김동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③김동연 경기도지사

[충북일보] 김동연 경기지사는 "'당당한 경제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이 기울어진 경선 룰을 확정했지만 국민과 당원만 바라보고 당당히 경쟁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아닌 '어대국'(어차피 대통령은 국민)을 강조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국회·입법·사법부를 세종·충청으로 이전하고 대통령 임기 단축의 지방분권형 개헌과 50조 슈퍼 추경을 통해 국민통합을 이뤄야 한다고도 했다. ◇6·3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는. "지금 국민들이 요구하는 시대정신은 '경제'와 '통합'이라고 생각한다. 민생경제의 위기에 더해 정치권에서 촉발된 분열과 적대의 골은 점차 깊어지고 있다. 내란과 탄핵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다. 이념에 휘둘리지 않는 정책과 확고한 비전, 실행력으로 경제위기 속에서 중심을 잡고 재도약을 이룰 리더십이 절실하다. 국민통합을 위해서는 정치개혁이 필수다. 다음 대통령은 임기 단축이라는 희생을 결단하고, 동시에 일관된 비전과 정책으로 대통령직을 수행해 국민통합의 마중물이 되고, 새로운 대한민국의 문을 열어야 한다." ◇김동연 후보의 강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