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4.8℃
  • 흐림강릉 15.6℃
  • 구름많음서울 16.7℃
  • 구름많음충주 17.7℃
  • 구름많음서산 18.5℃
  • 구름많음청주 17.2℃
  • 구름조금대전 17.9℃
  • 구름조금추풍령 15.8℃
  • 구름많음대구 14.4℃
  • 박무울산 13.6℃
  • 구름많음광주 18.1℃
  • 흐림부산 14.2℃
  • 구름많음고창 17.8℃
  • 구름조금홍성(예) 16.8℃
  • 흐림제주 16.2℃
  • 흐림고산 17.3℃
  • 구름많음강화 15.0℃
  • 흐림제천 14.9℃
  • 구름조금보은 16.3℃
  • 구름많음천안 16.9℃
  • 구름많음보령 20.8℃
  • 구름조금부여 16.1℃
  • 맑음금산 16.0℃
  • 구름많음강진군 15.7℃
  • 구름조금경주시 13.3℃
  • 흐림거제 14.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청광역철도 청주도심 통과 반영된 것"

춘추관 이러쿵저러쿵 - 30일 발표 4차 계획 살펴보니
오송~청주공항 노선 유보에 일각서 갸우뚱
B/C 안되면 포기 아닌 둘 중 1개 노선 선택
도심 0.87은 곧 1.0 도달… 사실상 요구 반영

  • 웹출고시간2021.06.30 18:44:00
  • 최종수정2021.06.30 18:44:00
[충북일보]제4차 철도계획 심의를 앞둔 지난 주말 국토교통부는 보안유지에 각별히 신경을 쓰는 눈치였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와 청와대 등을 통해 취재를 시도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대부분 "모르겠다"는 분위기였다.

국가철도공단 쪽으로 시선을 돌렸다. 공단 관계자 역시 "국토부에서 결정해야 하고, 우리는 자세한 내용을 알지 못한다"고 했다. 여권의 한 관계자는 "GTX D 노선이 가장 먼저 논의되지 않겠느냐"고 했고, 야권의 한 의원은 "GTX D 노선은 물론이고, 충청광역철도 청주도심 통과, 달빛내륙철도 등 3건 모두 원안대로 추진할 것 같다"며 "국토부가 특정 노선을 반영할 경우 엄청난 후폭풍에 시달릴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는 것 같다"고 귀띔했다.

◇도당위원장의 확신

지난주 국회에서 만난 민주당 이장섭(청주 서원) 의원은 청주도심 통과 철도에 대해 "반영될 가능성이 높다"면서도 "어떤 형태로 반영될지는 기다려봐야 한다"고 말했다.

집권여당의 충북도당위원장인 그는 청주도심 철도 반영을 위해 청와대와 기획재정부, 국토교통부, 중앙당 지도부 등을 가리지 않고 찾아갔다. 청와대 유명민 비서실장과도 만나 이 문제를 논의했다고 한다.

지역에서는 시민단체를 중심으로 미반영시 내년 3월 대선과 6월 지방선거에서 집권 여당을 심판하겠다는 목소리가 쏟아져 나왔다. 이 상황에서 이 의원은 직전 비서실장이었던 노영민 실장만 계속 청와대에 있었다면 쉽게 해결될 수도 있는 문제였다는 생각을 갖고 있는 듯 했다.

발표 전날 문자메시지를 통해 최종 결과를 다시 물었다. 아예 반영될 가능성이 있느냐는 질문까지 못박아 메시지를 보냈고, 답변은 '그럴 것 같다'였다.

다시 국토부와 국가철도공단 쪽으로 전화를 돌렸다. 여전히 보안은 엄중했고, 일부 인사들은 '후폭풍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찾는 듯하다'고 했다.

불과 1주일 전만 해도 원안고수 입장이 확고했던 상황에서 극적인 반전 가능성이 나타난 셈이다.

국토부는 지난 29일 대전~세종~청주로 이어지는 충청광역철도망 노선과 관련해 대전~오송까지 노선은 확정하고, 나머지 오송~청주공항 노선은 2개 안을 놓고 사전타당성 조사를 거쳐 확정하겠다고 발표했다.

그러자 이장섭 의원은 보도자료를 통해 '대안반영'이라고 했다. 여기서 '대안반영'은 최종 반영이다. '대안검토'가 아니기 때문이다.

특히 행정중심복합도시청이 지난 2020년 9월 발표한 비용대비편익(B/C) 결과를 보면 도심통과 노선은 0.87인 반면, 기존 충북선 0.49에 그쳤다.

결국 충청광역철도가 청주도심을 통과하는 계획은 확정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다만, 예비타당성조사 면제 대상이 아니기 때문에 B/C 결과는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설령 B/C가 다소 낮게 나온다고 하더라도 대전~세종~청주공항으로 이어지는 광역철도 사업은 어떤 형태로든 추진될 가능성이 높다. 또 지난해 0.87까지 도달한 B/C는 최근 1년 동안 변화는 개발수요만 따져도 쉽게 1.0 이상에 도달할 수 있어 보인다.

◇지역 내 여론 중심 잡아야

인구 100만 명 미만의 중소도시에 지하철이 건설된 사례는 지금까지 단 한 번도 없었다. 광역철도 역시 광역지자체를 연결하는 기능은 있었지만, 지하철은 쉽게 결정되기 어려운 문제였다.

그럼에도 청주는 이제 지하철 시대가 열릴 수 있다. 전국 유일의 KTX 오송분기역, 중부권 허브를 꿈꾸는 청주국제공항을 도심으로 연결하는 지하철은 청주시민의 삶을 크게 바꿔놓을 가능성이 높다.

이 같은 꿈은 확신을 바탕으로 이뤄질 수 있다. 지역 민·관·정 차원의 중단 없는 노력과 끊임없는 요구를 통해 조속한 사업추진이 이뤄지도록 해야 한다. 그래도 10년 이상 걸릴 수 있는 사업이다.

일부에서 주장하는 '유보'라는 비판적 시각은 조속한 사업추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이제부터 160만 도민의 지혜가 '조속한 사업추진'으로 모아져야 한다. 서울 / 김동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