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4.8℃
  • 흐림강릉 15.6℃
  • 구름많음서울 16.7℃
  • 구름많음충주 17.7℃
  • 구름많음서산 18.5℃
  • 구름많음청주 17.2℃
  • 구름조금대전 17.9℃
  • 구름조금추풍령 15.8℃
  • 구름많음대구 14.4℃
  • 박무울산 13.6℃
  • 구름많음광주 18.1℃
  • 흐림부산 14.2℃
  • 구름많음고창 17.8℃
  • 구름조금홍성(예) 16.8℃
  • 흐림제주 16.2℃
  • 흐림고산 17.3℃
  • 구름많음강화 15.0℃
  • 흐림제천 14.9℃
  • 구름조금보은 16.3℃
  • 구름많음천안 16.9℃
  • 구름많음보령 20.8℃
  • 구름조금부여 16.1℃
  • 맑음금산 16.0℃
  • 구름많음강진군 15.7℃
  • 구름조금경주시 13.3℃
  • 흐림거제 14.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청권 광역철도 청주 도심 통과 ‘커지는 기대감’

행정수도 완성·국가균형발전 상징성에
여야 대선후보 4명 정책공약 채택

  • 웹출고시간2021.12.08 19:54:58
  • 최종수정2021.12.08 19:54:57

대전~세종~충북 광역철도 노선안.

[충북일보] 여야 대통령 선거 예비후보들이 대전~세종~충북(충청권) 광역철도의 청주 도심 통과를 잇따라 공약하며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대전 반석~세종청사~조치원~오송~청주공항을 잇는 충청권 광역철도는 '4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2021~2030년)'에 반영됐으나 '오송~청주공항' 구간 구체적 노선은 정해지지 않았다.

국토부와 국가철도공단은 △기존 충북선 활용 △청주 도심 경유라는 두 가지 대안 중 최적안을 정하기 위해 사전타당성 조사를 진행 중이다.

지난달 착수된 사전타당성 조사 결과는 내년 말 나올 예정이나 대선 후보들이 '청주 도심 경유'에 공감하고 정책공약으로 채택한 만큼 '경제성'과 함께 '지역발전 영향'이 노선 결정에 크게 작용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충청권 광역철도를 행정수도 완성과 충청권 특화 도시 구축을 위해 지역 내 주요 거점(대전 반석역, 정부세종청사, 조치원역, 오송역, 청주공항 등)을 연계하는 광역철도 노선이다.

이 철도를 건설할 때 드는 사업비는 △기존 충북선 활용 시 2조1천22억 원 △청주 도심 경유 시 3조4천404억 원으로 추산된다.

주요 도시 간 통행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청주-대전 120→50분, 청주-세종 80→30분)하고, KTX오송역·청주공항 이용 편의를 제고하는 등 지역 내 인적·물적 교류 활성화를 통한 하나의 생활권 형성에 기여할 것으로 전망돼 행정수도 완성, 국가균형발전을 위한 상징성도 갖고 있다.

충청권 광역철도와 관련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 무소속 김동연 후보는 '청주 도심 연결' 필요성에 크게 공감하고 있다.

이들은 충북 민관정으로 구성된 '청주도심통과 광역철도 쟁취 범시민비상대책위원회'와 '행정수도 완성과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청주 도심을 연결하는 충청권 광역철도를 반드시 추진할 것을 약속한다'는 내용이 담긴 문서에 서명하고 정책공약을 잇따라 채택하기도 했다.

사전타당성 결과로 최적안이 결정되지만 대통령 공약으로 채택될 경우 노선 반영 뿐아니라 관련 예산 확보 등 '청주 도심 통과' 실현 가능성은 한층 높아진다.

'충북선 철도 고속화 사업'은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가 가장 큰 걸림돌이었는데 지난 대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으로 채택된 뒤 '2019 균형발전 프로젝트'에 포함되며 예비타당성 조사를 면제받은 바 있다.

비대위는 "광역철도는 광역시·도간 일상적인 대량 교통수요를 신속하게 처리해야 하므로 도심을 연결해 대량교통수요를 담당할 필요가 있다"며 "충청권에서 두 번째로 큰 도시인 청주시민(85만 명)의 교통권이 배제될 경우 광역철도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특별취재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