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1.6℃
  • 구름많음강릉 20.1℃
  • 맑음서울 19.7℃
  • 구름조금충주 20.3℃
  • 맑음서산 19.0℃
  • 맑음청주 21.2℃
  • 구름조금대전 22.3℃
  • 맑음추풍령 21.0℃
  • 맑음대구 23.9℃
  • 맑음울산 21.0℃
  • 맑음광주 20.8℃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7℃
  • 맑음홍성(예) 20.7℃
  • 구름많음제주 18.4℃
  • 구름많음고산 14.5℃
  • 맑음강화 17.6℃
  • 구름조금제천 18.7℃
  • 구름조금보은 21.0℃
  • 맑음천안 20.2℃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21.3℃
  • 구름조금금산 20.8℃
  • 맑음강진군 22.0℃
  • 구름조금경주시 23.7℃
  • 맑음거제 20.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12.09 15:52:30
  • 최종수정2020.12.09 15:52:30

이재준

역사칼럼니스트

요즈음 창극(唱劇)이 인기가 고공행진이다. 국립극장의 창극공연은 코로나 19에도 일찍부터 매진 사례다. 그만큼 수도 서울에 창극 인구가 많다는 증거다.

필자는 초등학교 시절 여성 국극에 매료되어 공연이 있는 날은 학교도 가지 않고 구경을 했다가 정학 위기를 맞기도 했다. 극장 앞에만 가면 기도를 보는 아저씨가 꼬마 손님이 왔다고 무료로 입장시켜 제일 앞자리에 앉혀주곤 했다.

특별히 아쟁의 선율이 좋았다. 가슴을 후벼 파는 비감의 음악이다. 막이 올라갈 때 울려 퍼지는 징소리, 고막을 찢는 태평소. 비록 어리지만 이 소리가 들려오면 극장으로 달려갔다. 몰래 숨어들어가 보기도 했다.

또 공연자들의 슬픈 아리아가 가슴에 닿았다. 어린 시절 어머니가 노동요로 부른 육자배기의 여운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국악인이 안 된 것이 이상하다.

지난 11월 중순 국립극장에서 공연 된 '아비방연'은 어린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 수양대군을 배경으로 권력의 야욕에 무너지는 한 가정의 비극을 그린 작품이다. 필자는 이 공연을 보고 막이 내리는 순간 까지 비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렇게 아름다운 소리, 아름다운 공연이 있을까. 방탄 소년단이 세계의 1억 명이 넘는 열광적 팬들 앞에서 불렀던 아리랑의 감동이 와 닿는 순간이었다. 필자만의 감회로 그친 것은 아니었다. 옆자리에서 수건을 꺼내 연신 눈물을 훔치는 여성관객도 있었다.

창극은 대사를 창으로 부른다. 판소리, 단가, 육자배기, 흥타령 등 많은 소리 가락이 어울린다. 우리 소리의 종합 예술이라고 할 수 있다.

충북은 두 분의 악성을 배출한 국악의 고장이다. 충주는 가야금을 일으킨 악성 우륵이 산 곳이고 영동은 아악을 정리한 박연 선생을 배출한 고장이다.

망국의 한을 안고 가야금 하나만을 들고 충주에 온 우륵, 치열한 전장 속에서 젊은 진흥왕을 만나 특별히 비호를 받았다. 심천강변에서 퉁소를 불며 만년을 보낸 박연선생의 사연도 창극의 소재로 삼을 만하다.

어디 그뿐인가. 선조 때 낭만시인 백호 임제(白湖 林悌)의 사연이 있는 곳이다. 그가 풍류를 쫓다 벼슬에서 물러나 한때 은거한 이 바로 보은 종곡. 훌륭한 인품을 지닌 학자 성운(成運)의 제자가 되기 위해 찾아온 것이다.

숱한 기생들과 염문을 뿌렸던 장안의 호남 임제가 성운의 제자가 된 것은 학문을 하고 싶었기 때문 이었을까. 이 시인은 풍류행로를 그만두고 마음을 잡다가 일찍 세상을 떠났다.

그를 너무나 사랑했던 평양기생 한우(寒雨)는 소식을 듣고 얼마나 가슴이 아팠을까. 한우가 처음 임제를 만났을 때 은밀히 유혹한 시에 답한 절구가 처연하게 와 닿는다.

어이 얼어 자리 무슨 일로 얼어 자리 / 원앙침(鴛鴦枕) 비취금(翡翠衾)을 어디 두고 얼어 자리 / 오늘은 찬비 맞았으니 녹아 잘까 하노라

단양 관기 두향은 퇴계 이황이 군수로 부임해 오자 그만 사랑에 빠진다. 퇴계도 그녀가 선물한 매화를 소중히 간직한 채 임종하는 순간에도 화분에 물을 주라고 유언했다. 끝내 두향을 향한 애틋한 정을 숨기지 못했다.

두향도 퇴계가 얼마나 자신을 사랑했는가를 알고 있었다. 퇴계가 세상을 떠나자 강선대에서 몸을 날려 저승길에서 임을 따라갔다.

충북은 창극 소재가 될 만한 아름답고 슬픈 역사적 사연들이 많다. 전국의 창극 팬들을 불러오는 국악의 본 고장 다운 사업을 구상할 시기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 ④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충북일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는 첫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정책·이념을 넘어 서로 감옥 보내려고 하는 정치는 이제 멈쳐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세계 추세인 글로벌 마인드·이공계 출신의 대통령이 대한민국에서도 탄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인이 당선돼야 하는 이유는. "이번 탄핵을 겪으면서 대한민국 정치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최근 3~4년 동안의 기간을 보면 여야는 정책이나 이념의 대립보다는 서로를 감옥 보내려고 하고 방탄하려고 하는, 정치가 교착 상태에 빠지는 상황이다. 최근 트럼프발 경제 위기, 중국의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부상 등에 대처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국제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된 이후에 자라온 세대의 입장에서 완전히 다른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된다. 그래서 글로벌 마인드가 있고 이공계 출신인 저 이준석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양극화 문제와 지역균형발전의 해법은. "윤석열 정부 들어 재정이 굉장히 안 좋아진 건 사실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100조원대 재정 적자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이 문제가 고착화됐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