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1.6℃
  • 구름많음강릉 20.1℃
  • 맑음서울 19.7℃
  • 구름조금충주 20.3℃
  • 맑음서산 19.0℃
  • 맑음청주 21.2℃
  • 구름조금대전 22.3℃
  • 맑음추풍령 21.0℃
  • 맑음대구 23.9℃
  • 맑음울산 21.0℃
  • 맑음광주 20.8℃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17.7℃
  • 맑음홍성(예) 20.7℃
  • 구름많음제주 18.4℃
  • 구름많음고산 14.5℃
  • 맑음강화 17.6℃
  • 구름조금제천 18.7℃
  • 구름조금보은 21.0℃
  • 맑음천안 20.2℃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21.3℃
  • 구름조금금산 20.8℃
  • 맑음강진군 22.0℃
  • 구름조금경주시 23.7℃
  • 맑음거제 20.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1.11.17 15:17:36
  • 최종수정2021.11.17 15:17:36

이재준

역사칼럼니스트

조선 태종 때 춘추관 사관(史官) 중에 민인생(閔麟生)이란 사람이 있었다. 태종이 편전에서 공신들과 비밀 얘기를 하고 싶었는데 눈치를 채지 못하고 붓을 들고 들어와 구석에 앉았다.

임금이 '편전에는 들어오지 마라.'라고 했다. 그때 민인생은 '편전이라 해도 대신들이 정사를 아뢰고, 경연이 열리는 곳인데 사관이 들어오지 않으면 누가 제대로 기록한단 말입니까' 태종은 '편전은 내가 편히 쉬는 곳이다. 들어오지 않는 것이 옳다. 그리고 사필은 곧게 써야 하는 것인데 비록 편전 밖에 있더라도 어찌 내 말을 듣지 못하겠는가'

이때 민인생이 결연하게 한마디 한다.

'신이 만일 곧게 쓰지 않으면, 사관 위에 하늘이 있습니다(臣如不直 上有皇天).'

민인생은 당시 정5품의 벼슬이었던 것 같다. 임금 앞에 감히 이런 당돌한 주장을 펼 수 있었을까. 목이 잘릴지언정 올바르게 역사를 기록해야한다는 대쪽 같았던 춘추정신의 발로였던 것이었다. 바로 사관의식(史官意識)이다.

'춘추'는 공자가 기록한 노나라 역사서 '춘추(春秋)'에서 기원을 찾아야 한다. 이 역사서는 242년간의 기록이다.

공자가 살던 시대는 기원전 5세기 춘추전국시대 말기였다. 공자는 이 역사서를 쓰며 우리에게 위대한 역사 기록정신을 가르치고 있다. 즉 춘추필법(春秋筆法)이다.

노나라 역사를 기년체로 간결하게 적고, 선악을 논하며 대의명분을 밝혔다. 후세 존경받는 치자(治者)의 길을 가르쳐 국가 질서를 유지하려 했다. 오로지 객관적인 사실만을 기록했으며 판단은 후세에 맡겼다.

조선 후기 실학자 이긍익은 공자의 춘추필법 정신을 철저하게 따르려 했다. 즉 '기술은 하되 창작하지 않는다'는 술이부작(述而不作)정신을 실천한 것이다.

그가 지은 연려실기술은 이런 정신을 보여주고 있다. 여러 기사의 끝에는 근거 사료나 출전(出典)을 반드시 기록하고 있다.

대통령 선거가 본격화 되어 여야 후보들의 움직임도 활발하다. 포탈의 인기 검색어 순위도 대통령 후보들의 언행에 맞춰지고 있다. 홍수처럼 쏟아내는 후보들의 정책이나 말을 따라가는 포털 화면도 이들의 기사만 도배 되어 있다.

그러나 일부 언론이나 포털의 행태를 보면 너무 지나치다는 생각을 한다. 특정 후보의 말이나 합리화를 위해 평형감각을 잃고 있다. 없는 사실을 지어내는 경우도 있고, 세상의 뜬소문을 침소봉대하여 무책임하게 기사화한다. '춘추필법정신'을 살려 사실을 기록하는 언론인이 얼마나 될까.

조선 후기 실학자 이익(李瀷)은 언론의 자세를 다음과 같이 주문한다.

'언론은 옳은 것을 옳다고 하고, 그른 것을 그르다고 하는 것이다. 그런데 옳은 것을 옳다고 말하는 자만 있고, 그른 것을 그르다고 말하는 자가 없다면 멸망이 임박한 것이다'. (성호사설 직언극간)

악을 옹호하고 진실을 호도하는 야유구용(阿諛苟容 : 힘 있는 사람에게 잘 보이려고 구차하게 아부하다) 하는 언론은 이미 생명력을 잃은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 ④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

[충북일보] 이준석 개혁신당 대선 후보는 "새로운 시대를 만들어 가는 첫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정책·이념을 넘어 서로 감옥 보내려고 하는 정치는 이제 멈쳐야 한다고도 했다. 그러면서 세계 추세인 글로벌 마인드·이공계 출신의 대통령이 대한민국에서도 탄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본인이 당선돼야 하는 이유는. "이번 탄핵을 겪으면서 대한민국 정치가 근본적으로 바뀌어야 된다고 생각을 하시는 분들이 많다. 최근 3~4년 동안의 기간을 보면 여야는 정책이나 이념의 대립보다는 서로를 감옥 보내려고 하고 방탄하려고 하는, 정치가 교착 상태에 빠지는 상황이다. 최근 트럼프발 경제 위기, 중국의 과학기술 강국으로의 부상 등에 대처하지 않으면 대한민국은 국제 경쟁에서 도태될 수 있다. 대한민국이 선진국이 된 이후에 자라온 세대의 입장에서 완전히 다른 대한민국을 만들어야 된다. 그래서 글로벌 마인드가 있고 이공계 출신인 저 이준석이 경쟁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양극화 문제와 지역균형발전의 해법은. "윤석열 정부 들어 재정이 굉장히 안 좋아진 건 사실이다. 특히 문재인 정부 시절부터 100조원대 재정 적자들이 나오기 시작하면서 이 문제가 고착화됐다. 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