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박영균

진천교육지원청 행정과장

전국 유명 빵집을 찾아다니는 것을 종교인들의 성지순례에 빗대어'빵지순례'라고 한다. 맛있는 빵집을 찾아가고 그것을 SNS에 올리고 공유하는 빵집투어가 트렌드가 된 지 오래다. 빵순이, 빵돌이가 인기 유튜버가 된 지도 한참이다. 빵지순례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곳이 부산, 군산, 인천, 강릉, 전주, 제주 등의 도시다. 과거 청주가 유명 빵지순례지로 될 기회가 있었다. 청주에서 촬영하여 2010년에 방영된 드라마'제빵왕 김탁구'가 시청률이 최고조였을 때다. 그때 청주가 지역빵에 대해서 특화하여 개발하고, 스토리텔링화하는 등의 홍보 노력을 좀 더 하였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크다.

유명 빵집들의 인기는 불황이 없다. 최근 빵 가격이 오르고 있음에도 빵을 사기 위한 줄은 줄지 않고 늘어나니 경제 논리로는 설명이 불가하다. 빵을 사기 위해 많은 시간을 투자해서 찾아가고, 또 몇 시간을 줄을 서서 기다려 사는 빵 맛에 보람과 행복을 그것도 진하게 느끼니 말이다. 우리나라 전국 빵집은 1만7천여 개라고 통계청은 집계한다. 이중, 오늘 폐업하는 빵집도 있고, 개업하는 빵집도 상존하고 있다. 이 많은 빵집 중 70%는 프랜차이즈 빵집이라는 사실에 놀랍다. 동네 빵집을 외면한 탓일 것이다.

빵의 역사는 곧 인류의 역사다. 성경에도 '사람은 빵으로만 살 수 없다.'라고 하였듯이 빵은 성서 이전부터 존재하여 왔다는 증거다. 빵은 6천 년 전 이집트에서 시작되었다. 빵이 여러 나라를 거치면서 다양한 모습과 풍미로 변화되었다. 인도 요리와 찰떡궁합인 난(naan)이라는 빵이 있다. 난은 약 6천 년 전 중앙아시아 메소포타미아인들에 의해 유래됐다고 한다. 세계의 문명은 농경이 이루어지는 곳에서 발생되었고, 그곳에서 빵도 함께 발전해왔기 때문이다. 빵이 처음 만들어졌을 당시만 하더라도 끼니를 위한 생존의 수단이었지만, 지금은 다양한 맛과 향을 가미한 빵들이 쏟아져 나오고 있다.

특히, 이러한 빵들은 각 나라별 지역별 기후와 문화의 영향을 받아 독특하게 변모하게 되었다. 빵은 당연 서양 음식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다. 아니다. 인도의 난이나 중국의 화쥐안(꽃빵)이 이를 증명하고 있다. 한국에도 지역 특색을 담은 빵들이 많다. 안흥찐빵, 속초 단풍빵, 강릉 오징어빵, 인제 황태빵, 청주 직지빵, 충주 사과빵, 공주 밤빵, 대구 야프리카빵, 마약빵, 경주 찰보리빵, 황남빵, 진주 유등빵, 통영 꿀빵, 진해 벚꽃빵, 완도 장보고빵, 천안 호두과자, 울산 고래빵, 광주 공룡빵, 부산 자갈치빵, 제주 보리빵. 갈치빵 등이 바로 그것이다.

빵은 밀가루와 소금, 물과 열로 빚어낸다. 빵은 재료와 공정, 발효 방식에 따라 수천 가지의 종류의 빵으로 탄생된다. 대표적인 빵으로 식빵, 모닝빵, 바게트, 베이글, 호밀빵, 크루아상이 있고, 특정재료로 속을 넣어 크림빵, 단팥빵, 멜론빵, 부추빵 등이 되며, 디저트로 즐기는 티라미수, 케이크, 카스텔라, 도넛, 추로스, 꽈배기 등이 있다.

80년대 고등학교 시절 빵집만 생각하면 지금도 입가에 미소가 저절로 생긴다. 친구들과 맛있게 나누어 먹었던 찐빵집, 이쁜 교생선생님이 사주던 빵집, 이웃 학교 여고생들과 미팅하던 빵집, 그 빵집들이 아직도 눈에 선하다. 당시 청주에서 유명했던 쟝글제과, 공원당, 푸론네제과점, 청원제과, 고려당, 맥아당, 서문제과, 정훈제과, 오성당 같은 빵집들이 그립다. 그곳으로 타임머신을 타고 빵지순례를 가고 싶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