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봄의 향연 -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함기석의 생각하는 시

  • 웹출고시간2019.04.18 17:51:55
  • 최종수정2019.04.18 17:51:55
[충북일보] 황인숙의 시는 재기발랄한 감각과 상큼한 감성, 무겁지 않은 경쾌한 언어운용을 주요 특징으로 한다. 그녀는 현실에 얽매이지 않는 유연한 상상력을 펼쳐 탄력적인 비상(飛翔)의 언어를 구사한다. 아이다운 깔깔거림과 소곤거림으로 대상들에게 접근하여 대상의 상황과 입장을 따뜻한 시선으로 풀어낸다. 대상의 아름다운 외관과 아픔, 자아의 희열과 고독을 잘 짚어낸다. 그녀는 또한 고통을 적극적으로 끌어안음으로써 고통을 넘어서는 사랑의 태도를 취하는데 이런 태도 때문에 사물들은 대립이 아닌 상생의 관계로 그려진다. 이 부분에서 시인 특유의 체온이 느껴지고 사랑의 포용력이 전달된다.

'벌판 한군데 눈이 꿈틀거리더니/ 새가 움터 날아오른다./ 그 자리가 뻥 뚫린다./ 또 한군데 눈이 꿈틀거리더니/ 또 새 한 마리가 날아오른다./ 그 자리가 뻥 뚫린다./ 벌판 여기저기서/ 새가 자꾸 날아올라/ 뻥/ 뻥/ 뻥/ 뚫린다. (시 '봄' 부분)'

초기의 이런 상큼발랄한 감각과 상상, 자유로운 세계대면 태도는 이후에도 일관되지만, 네 번째 시집 '나의 침울한, 소중한 이여'(1998)부터는 고통의 이미지들이 조금씩 범람하기 시작한다. 자신이 몸담고 있는 현실을 늪으로 받아들이면서 늪지에서 뿜어져 나오는 습기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이러한 변화는 시의 주제와 소재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이전의 시들보다 시적 자의식을 강화시키는데, 그녀의 자의식을 반영하는 중요 소재 중 하나가 고양이다.

고양이는 그녀의 초기 시부터 지속적으로 나타나는 매혹의 심상이다. 그녀에게 고양이는 야생의 상징이면서도 인간으로부터 버려진 소외와 슬픔의 대상이다. 시인 자신의 내면과 인간 본성이 투영된 상징적 대상이기에 고양이가 사라진 동네를 그녀는 인간의 영혼이 사라진 동네라고 생각한다. 고양이에 대한 시인의 집착은 생래적이고 무의식적인 호감과 동질감 때문이며, 오래전 전부터 그녀가 버려진 길고양이들을 돌보고 있다는 사실과도 관련이 있을 것이다.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 황인숙(黃仁淑 1958∼ )

이 다음에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윤기 잘잘 흐르는 까망 얼룩고양이로
태어나리라.
사뿐사뿐 뛸 때면 커다란 까치 같고
공처럼 둥글릴 줄도 아는
작은 고양이로 태어나리라
나는 뒷마루에서 졸지 않으리라
가시덤불 속을 누벼 누벼
너른 들판으로 나가리라
거기서 들쥐와 뛰어놀리라
배가 고프면 살금살금
참새 떼를 덮치리라
그들은 놀라 후다닥 달아나겠지
아 하 하 하
폴짝폴짝 뒤따르리라
푸드득 푸드드득
꼬마 참새는 잡지 않으리라
할딱거리는 고놈을 앞발로 툭 건드려
놀래주기만 하리라
그리고 곧장 내달아
제일 큰 참새를 잡으리라.
이윽고 해는 기울어
바람은 스산해지겠지
들쥐도 참새도 가버리고
어둔 벌판에 홀로 남겠지
나는 돌아가지 않으리라
어둠을 핥으며 낟가리를 찾으리라
그 속은 아늑하고 짚단 냄새 훈훈하겠지
훌쩍 뛰어올라 깊이 웅크리리라
내 잠자리는 달빛을 받아
은근히 빛나겠지
혹은 거센 바람과 함께 찬비가
빈 벌판을 쏘다닐지도 모르지
그래도 난 털끝 하나 적시지 않을걸.
나는 꿈을 꾸리라놓친 참새를 쫓아
밝은 들판을 내닫는 꿈을.
죽은 다음 도래할 다음 생에 윤기 잘잘 흐르는 까망 얼룩고양이로 태어나고 싶다는 고백은 시인의 자의식을 그대로 드러낸다. '나는 고양이로 태어나리라'는 재기발랄한 감각적 표현과 동작이 인상적인 시다. 1980년대의 우리 시단에 결핍되었던 감각의 문체와 발랄한 정서, 정치적 투쟁의식이나 이데올로기로부터 벗어난 경쾌한 상상력을 수혈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함기석 시인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