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0.07.27 18:17:07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조혁연 대기자

우리나라의 3대 악성으로는 고구려 왕산악, 신라 우륵, 조선시대 박연 등이 꼽힌다. 이중 박연(朴堧·1378~1458)은 영동에서 생과 몰을 함께 했다. 세종대에 활약한 박연은 악보 편찬, 악기 제작 등 한국 음악사에서 다방면의 공헌을 남겼다. 그는 대금을 잘 부는 등 그 스스로 빼어난 연주가이기도 했다.

박연은 3남 4녀를 뒀다. 이중 맏아들 맹우(孟愚)는 현령, 둘째아들 중우(仲愚)는 군수를 지냈다. 3남인 계우(季愚)는 문과에 합격하여 한림학사에 역임되는 등 장래가 가장 촉망됐다. 조선시대 과거제도로는 소과와 대과(문과)가 존재했다. 생원과 진사를 뽑는 것이 소과이고, 여기서 합격한 사람에게는만 대과에 응시할 기회가 주어졌다. 박계우는 수양대군 세조가 왕권 찬탈을 도모하는 시기에 순절했다. 그의 나이 41세였다.

'하교(下敎)하기를, "내가 종사(宗社)의 대계를 위하여 사(私)를 버리고 마지못해 대신과 대간의 청을 따르니, 부처(付處)한 이용의 아들 이우직과 황보석의 아들 황보가마·황보경근, 김종서의 아들 김목대, 이징옥의 아들 이성동, (...) 그리고 정분·이석정·조완규·조순생·정효강·박계우(朴季愚) 등을 법에 의하여 처치하라. 이제부터 간당의 근본이 영원히 근절되었으니, 만약 또 다시 역당(逆黨)의 옛일을 말하는 자가 있으면, 내 마땅히 용서하지 않겠다. 이것을 중외(中外)에 효유(曉諭)하라" 하였다'.- <단종실록>

박계우가 순절함에 따라 그의 부인 고성이씨도 연좌제에 의해 천민으로 강등, 홍윤성(洪允成·1425∼1475) 가문에 노비로 지급됐다. 이후 성종대에는 다시 권준 가문으로 팔려갔다. 곧 다루겠지만 홍윤성은 우리고장과 관련이 있는 인물이고, 권준은 권근의 아들이다. 연좌제는 아버지 박연에게도 적용됐다. 관례대로라면 박연도 극형에 처해질 수 밖에 없었다. 그러나 세 임금을 모셨고 또 음악 발전에 큰 공헌을 했던 그를 참작했다.

'봉교(奉敎)하기를, "박계우의 아비 박연(朴堧)은 자원에 따라 외방(外方)에 안치하고, 정원석의 아우 정막금(鄭莫今)은 나이가 차기를 기다려 원방(遠方)에 안치하고, 그 어미와 출가하지 않은 누이는 논(論)하지 말라" 하였다'.- <단종실록> 본문 중 '자원에 따른 외방 안치'는 지방의 원하는 곳으로 귀양가는 것을 말한다. 사실상 귀양이 아닌 것으로 볼 수 있다. 봉교는 임금의 말을 받드는 것을 의미한다.

정조대에 이르러 단종복위운동의 희생자를 추모하는 의식이 마련됐다. 이때 264인이 이른바 단종충신어정배식록(端宗忠臣御定配食錄)에 올려졌다. 그 기록에 박계우의 이름도 올라 있어, 그가 단종복위와 관련해 순절한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다만 당시 그가 어떤 행동을 했는지는 사료에 잘 나타나지 않는다. 정조는 그의 벼슬이 궁금했던 모양이다.

'또 전교하기를, "이제 장릉의 일로 인해 생각해보니, 고 충신 박계우는 바로 대제학 박연(朴堧)의 아들인데, 연이 악(樂)을 제작한 것은 허 문경공(許文敬公)이 예를 제작한 공과 백중을 이루는 것이다. 문경공의 아들 허후는 계우와 동시에 순절했으나 후는 시호가 있고 계우만 유독 빠졌으니, 혹시 벼슬하지 않았다는 이유로 그랬는지 모르겠다"하였다'.-<정조실록> 그의 위패는 영동 화암서원에 봉안돼 있다.
배너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