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일본의 도시재생과 문화보전 - 가나자와

시민들 '전통문화' 숨쉬듯 접해

  • 웹출고시간2009.06.30 20:24:09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편집자 주

가나자와市는 일본 중부 호쿠리쿠(北陸) 지방의 최대도시이자 이시카와현(石川縣)의 현청 소재지다. 인구는 45만명으로 중소도시 규모다.
메이지유신 직후까지는 일본 5대 도시의 하나로 꼽혔으며 제2차 세계대전 중에도 전쟁의 피해를 거의 입지않아 옛 거리나 주택 등 문화유산이 잘 보존돼 있는 곳이다.
일본 내에서도 전통이 살아있는 도시로 평가받고 있다.

과거 방직공장이던 '시민예술촌'은 지역주민과 함께하는 문화공간으로 거듭났다.

오늘날 가나자와시의 전통문화예술의 맥이 지켜지는 배경에는 끊임없이 이를 계승·발전시켜온 주민들의 열정과 그들의 열정을 담아내는 공간이 있기에 가능했다.

가나자와 '시민예술촌'과 '창작의 숲', '21세기미술관' 등이 바로 그것이다.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은 운영이 중단된 방직공장을 시에서 사들여 지난 1996년 개관했다. 시민예술촌의 규모는 9만7천㎡. 시내에서 도보로 15분 정도 거리에 위치하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나며 지난 10여년간 300여만명이 이용할 정도로 시민들의 사랑을 받고 있는 곳이다.

'누구든, 언제든지 편안하게 이용할 수 있는 공간'이 시민예술촌의 컨셉트. 이같은 컨셉트에 따라 연중무휴 24시간 운영하고 있으며 드라마·뮤직·아트·멀티공방 등 4개의 공방과 오픈스페이스를 갖추고 있다. 각 공방마다 특성에 맞는 최첨단 시설이 들어서 있고 극장이나 공연장 등 창작 활동을 발표할 수 있는 무대가 마련돼 있다.

이용료 또한 매우 저렴하다. 6시간을 기준으로 525엔~1천50엔. 문화예술인과의 체험 교류의 장을 제공하고 있는 것도 시민예술촌이 스스로 꼽는 성공요인 중 하나이다.

시민예술촌안에 있는 직인(職人)대학은 일종의 전통장인을 양성하는 학교다. 이곳에서는 전통목조건물을 짓는데 필요한 기술자들을 지속적으로 길러내기 위해 매년 7∼8년 이상의 경험자 50여명을 교육시키고 있다. 이들은 수료후 전통목조건물 복원과 수리현장에 투입된다.

가나자와21세기 미술관

공예공방은 생활비를 지원받는 공예전문작가들의 공예활동과 시민들의 강습이 이뤄지는 곳이다. 35세 미만의 젊고 유망한 작가들에게 일정한 생활비를 지원하면서 목칠·금속·도자·염색유리 등을 가르치고 있다. 이곳 공방과 직인대학을 수료한 기능인들은 8백여명에 이르고 있다.

지난 2003년 문을 연 '창작의 숲'은 시민들이 제도교육과 문화교육과정에서 거의 체험하지 못한 판화와 염색 등을 중심으로 한 공방들로 전문작가들을 위한 과정과 시민체험 과정을 운영하고 있다.

가나자와 전통공예산업은 바로 이런 시스템속에서 양성된 전문작가와 기능인들에 끊임없이 계승·재창조되고 있다.

가나자와 시민예술촌 요시카와 촌장은 "시민예술촌은 시민예술의 거점으로 통한다"며 "주민의 문화향수권을 보호하는 지역문화예술의 창작공간이면서 시민과 함께하는 열린 문화공간"이라고 말했다.<끝>

/ 홍순철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

[충북일보] 정효진 충북도체육회 사무처장은 "충북체육회는 더 멀리보고 높게 생각해야한다"고 조언했다. 다음달 퇴임을 앞둔 정 사무처장은 26일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지방체육회의 현실을 직시해보면 자율성을 바탕으로 민선체제가 출범했지만 인적자원도 부족하고 재정·재산 등 물적자원은 더욱 빈약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완전한 체육자치 구현을 통해 재정자립기반을 확충하고 공공체육시설의 운영권을 확보하는 등의 노력이 수반되어야한다는 것이 정 사무처장의 복안이다. 학령인구 감소에 따른 학교운동부의 위기에 대한 대비도 강조했다. 정 사무처장은 "학교운동부의 감소는 선수양성의 문제만 아니라 은퇴선수의 취업문제와도 관련되어 스포츠 생태계가 흔들릴 수 있음으로 대학운동부, 일반 실업팀도 확대 방안을 찾아 스포츠생태계 선순환 구조를 정착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이를 위해선 행사성 등 현장업무는 회원종목단체에서 치르고 체육회는 도민들을 위해 필요한 시책이나 건강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등의 정책 지향적인 조직이 되어야한다는 것이다. 임기 동안의 성과로는 △조직정비 △재정자립 기반 마련 △전국체전 성적 향상 등을 꼽았다. 홍보팀을 새로 설치해 홍보부문을 강화했고 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