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시·수필과 함께하는 겨울연가 - 성탄제(聖誕祭)

함기석의 생각하는 시-22

  • 웹출고시간2016.12.15 15:14:46
  • 최종수정2016.12.15 15:14:46
오장환은 암담한 식민지 현실에서 치열한 현실인식과 생명의 세계관을 보여준 리얼리스트 시인이다. 또한 서울의 병든 모습을 현대적 감각의 언어로 포착해낸 모더니스트 시인이기도 하다. 그의 시에는 세 가지 세계가 공존한다. 척박한 향토적 삶을 배경으로 하는 순수서정과 생명의 세계, 계급의식을 바탕으로 하는 프롤레타리아 문학의 세계, 근대 도시의 비애와 퇴폐적 정서를 그린 모더니즘의 세계 등이다.
오장환은 제국주의 침략전쟁에 대한 비판, 봉건적 인습에 대한 비판, 당대 농촌현실에 대한 통찰을 통해 1930년대 식민지 지배하의 농촌과 농민들의 비극적인 삶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또한 근대도시 서울의 부패한 모습과 항구를 배회하는 보헤미안의 퇴폐적 모습도 사실적으로 그려냈다.

1945년까지 오장환은 한 편의 친일시도 쓰지 않고 어둡고 궁핍한 시대를 견디다가 병상에서 해방을 맞는다. 그때 그는 신장병을 앓고 있었다. 해방의 감격과 혼란, 새로운 국가건설에 대한 꿈과 열정, 부끄러운 심정 등을 오장환은 5개월에 걸쳐 매일매일 일기처럼 기록해나간다. 이 기록을 정리해 묶은 것이 그의 대표시집 '병든 서울'이다. 19편이 묶여 있는 이 시집에는 남쪽에 홀로 두고 온 어머니에 대한 죄책감과 그리움, 고향에 대한 향수가 애절하게 묻어 있다.

시 '성탄제(聖誕祭)'에는 생명을 유린하는 문명에 대한 시인의 비판적 시선이 깔려 있다. 흰 눈과 그 위에 흘러내리는 사슴의 붉은 피가 강렬하게 대비되면서, 총에 맞은 채 사냥개에게 쫓기며 점점 죽음의 문턱에 다가서는 사슴을 통해 시인은 인간의 광기와 잔혹함을 폭로한다. 죽어가는 어미사슴을 샘물과 약초로 살려내고자 안타까워하는 어린 사슴이 생명의 순수성을 나타낸다면, 사냥꾼은 생명을 유린하고 살육하는 인간의 야만적 파괴본성을 나타낸다.

참혹한 생명의 멸절을 긴장감 높게 제시하여 역설적으로 생명의 존귀함을 부각시키려는 시인의 의도가 숨어 있는 시인데, 주목되는 것은 '죽은 이로 하여금 /죽는 이를 묻게 하라'고 말하는 부분이다. 죽은 이가 어미사슴이라면 죽는 이는 어린 새끼사슴이다. 죽은 어미처럼 곧 죽게 될 어린 새끼의 비극적 운명, 어미가 새끼를 장사지내야만 하는 반윤리적 절망감이 역설적으로 내포되어 있다. 무자비한 생명 살생에 대한 시인의 날카로운 질타가 들어 있다. 이런 역설적 관점에서 보면 성탄제에 거리거리 울리는 아름다운 종소리는 인간의 야만적 살생과 폭력을 용서하라는 그리스도의 뼈아픈 사랑의 울음이기도 하다.

/함기석 시인

성탄제(聖誕祭) - 오장환(吳章煥 1918~1951)

산 밑까지 내려온 어두운 숲에

몰이꾼의 날카로운 소리는 들려오고,

쫓기는 사슴이

눈 위에 흘린 따뜻한 핏방울.

골짜기와 비탈을 따라 내리며

넓은 언덕에

밤 이슥히 횃불은 꺼지지 않는다.

뭇 짐승들의 등 뒤를 쫓아

며칠씩 산속에 잠자는 포수와 사냥개,

나어린 사슴은 보았다

오늘도 몰이꾼이 메고 오는

표범과 늑대.

어미의 상처를 입에 대고 핥으며

어린 사슴이 생각하는 것

그는

어두운 골짝에 밤에도 잠들 줄 모르며 솟는 샘과

깊은 골을 넘어 눈 속에 하얀 꽃 피는 약초.

아슬한 참으로 아슬한 곳에서 쇠북 소리 울린다.

죽은 이로 하여금

죽은 이를 묻게 하라.

길이 돌아가는 사슴의

두 뺨에는

맑은 이슬이 내리고

눈 위엔 아직도 따뜻한 핏방울……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