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6.9℃
  • 구름많음강릉 9.7℃
  • 구름많음서울 8.8℃
  • 구름많음충주 5.5℃
  • 구름많음서산 3.2℃
  • 구름조금청주 7.6℃
  • 구름조금대전 6.2℃
  • 구름조금추풍령 4.6℃
  • 박무대구 6.7℃
  • 박무울산 7.9℃
  • 맑음광주 7.1℃
  • 맑음부산 11.2℃
  • 맑음고창 1.4℃
  • 구름조금홍성(예) 4.0℃
  • 맑음제주 10.3℃
  • 맑음고산 11.2℃
  • 구름많음강화 6.5℃
  • 구름조금제천 3.5℃
  • 맑음보은 1.9℃
  • 맑음천안 3.5℃
  • 구름조금보령 4.6℃
  • 구름조금부여 3.0℃
  • 구름조금금산 2.4℃
  • 맑음강진군 4.4℃
  • 맑음경주시 4.3℃
  • 맑음거제 8.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정균

시사평론가

법치국가라 말하기 부끄럽다. 입법부·사법부·행정부가 몽땅 불신 대상이다. 국민에게 믿음을 주는 국가기관, 헌법기관이 없다. 법기술 전성시대가 법치를 농락한다.

행정수반인 대통령은 군부독재 시대로 착각한 듯 비상계엄이라는 희대의 사고를 저질러 입법부로부터 탄핵소추 당했다. 헌법재판소가 탄핵심판 절차를 시작했는데 대통령, 국회, 헌재가 정도를 걷지 않고 각자 편법과 꼼수를 부려 지탄 받는다.

***당당하지 못한 대통령

가장 큰 비판은 대통령답지 못한 처신이다. 대통령은 헌재가 수차례 보낸 송달서류를 수령하지 않는 등 재판지연 전략을 공공연히 구사해 구차스런 모습을 보여줬다. 실패 할 수밖에 없는 비상계엄이었지만 헌재 심판 절차에 당당하게 응하는 태도가 필요하다, 당당하지 못한 대통령이 비상계엄의 정당성을 어찌 강변하겠는가.

공수처에는 내란 혐의 수사권이 없다는 이유를 들어 체포영장 집행에 응하지 않고 있는 대통령의 주장을 감안하더라도 헌재의 탄핵심리 절차에 시간을 끌어본들 떳떳하지 않게 비칠 뿐이다. 탄핵심판을 받는 대통령이 헌법정신을 중심으로 법리논쟁을 벌여 이기든 지든 결과에 승복하는 걸 국민이 원한다. 헌재의 절차에 잔기술로 대응하는 대통령은 국민에게 거부감만 준다.

여야 정당과 국회의 낯 뜨거운 술수 경쟁은 탄핵 정국을 맞아 극에 달하는 중이다. 대통령 탄핵심판 청구인인 국회 탄핵소추 대리인단이 "탄핵소추안에서 '형법상 내란죄'부분을 철회하겠다"고 밝혀 논란에 불을 붙였다. 대통령 측은 "탄핵소추 사유에서 내란죄를 철회한다는 것은 80%에 해당하는 탄핵소추서의 내용이 철회되는 것이므로 각하돼야 한다"고 날을 세웠다. 국민의힘은 '형법상 내란죄' 부분이 빠지면 탄핵소추 자체가 잘못된 것이라며 반발했다. 파장이 커지자 국회 탄핵소추단 법률대리인단은 "12·3 비상계엄의 내란행위 자체는 헌법재판소에서 모두 판단 받을 것"이라고 반박했다.

법기술자들이 법률 용어를 아무리 이리저리 굴려 표현해도 본질은 이재명 대표 재판 결과가 나오기 전에 대선을 치를 수 있도록 탄핵심판을 속도전으로 끝내려는 계산이다. 국민적 동의를 얻을 수 없는 비상계엄이었다 하더라도 일국의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을 빨리 끝내는데 초점을 맞출 일인가.

헌법재판소는 탄핵 청구인과 피청구인, 그리고 국민이 모두 납득할 수 있는 결론을 내리기 위해 충분한 심리 절차를 밟아야 한다. 헌법재판소가 다섯 차례 변론기일을 일괄지정 하면서 피청구인(대통령) 측의 의견을 듣지 않는 등 신속한 심리에 지나치게 치중한다는 의구심을 받고 있다. 고도의 공정성이 생명인 헌재가 비판을 자초하는 이유가 무엇인가.

대통령을 내란혐의로 수사하겠다고 체포영장을 발부받은 공수처의 행태는 수준 미달이다. 내란죄 성립 여하는 수사와 재판을 거쳐 가려질 것이나 현행법에 의하면 내란죄 수사권이 경찰에만 있다. 내란죄 수사권한도 없는 공수처가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에 실패하고는 사전 협의도 없이 경찰에 영장 집행을 떠넘겼다가 경찰의 거부로 무산됐다. 내란죄 수사권을 가진 경찰이 수사 주체가 되면 대통령 경호처의 영장집행 거부에 국민적 질타가 이어질 것이다. 왜 수사권도, 능력도, 의지도 없고 법규도 모르는 공수처가 굳이 나서 혼선을 거듭하는가.

***법치 농락하는 꼼수

비상계엄 선포, 대통령 탄핵, 헌재 탄핵심판, 내란 혐의 수사 등 일련의 과정에서 당사자와 기관들이 합법을 빙자한 법기술로 혼란한 시국을 부채질 한다. 법기술에 의해 법치가 도전받는 혼돈의 시대다. 무엇을 위한 법기술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