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01.16 16:17:45
  • 최종수정2019.01.16 16:17:45

이재준

역사칼럼니스트

삼국지의 조조(曹操)는 실지 치밀한 전략가요, 법을 지키는데 원칙을 어긴 적이 없는 통치자였다. 나관중의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가 유비의 덕을 미화한 나머지 조조를 간웅(奸雄)으로 그렸기 때문에 억울한 대우를 받고 있는 셈이다.

그는 자신의 잘못에는 매우 엄격했다. 재미난 고사가 있다. 조조가 어느 날 군사들을 데리고 출전하는데 보리밭 사이를 지나게 되었다. 조조는 다음과 같이 큰 소리로 엄명했다.

'보리를 밟지 말도록 하라. 만일 이를 어길 시는 목을 벨 것이다'

기병들은 모두 말에서 내려 조심스럽게 행군했다. 그런데 조조가 탄 말이 갑자기 보리밭 사이로 뛰어들었다. 조조는 곧 법령을 담당하는 자를 불러 자신의 죄를 물었다. 그런데 부하는 '춘추대의(春秋大義)에 따르면 최고의 존자(尊者)에게는 죄를 물을 수 없습니다'라고 대답했다.

조조는 '영을 내린 사람이 이를 어기면 어떻게 군사를 지휘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나는 군사들을 지휘하고 있는 탓에 자살할 수는 없으니 내 스스로 형벌을 내리겠다' 조조는 검을 뽑아 단 칼에 자신의 상투를 잘라 땅 위로 내던졌다.

퇴계 이황(退溪 李滉)은 자신에게 엄격한 잣대를 들이 댄 대표적인 유학자다. 단양군수로 있을 때 자신의 형이 충청관찰사로 부임했다. 이때 퇴계는 '형과 함께 한 고을을 다스릴 수 없다'고 군수 직을 사퇴하고 안동으로 낙향했다.

퇴계는 관아의 하인들이나 기생들에게도 춘풍처럼 온화하게 대했다. 군수가 머무는 관아 침소도 하인들을 생각하여 깨끗하게 사용했다. 퇴계가 단양을 떠날 때 하인들은 그 배려심에 눈물을 흘렸다.

퇴계와 쌍벽을 이루는 학자 남명 조식(南冥 曺植)은 지리산에 은거하여 평생 학문에만 전념한 이다. 그는 자신을 경계하기를 칼과 방울로 했다는 고사가 있다. 항상 방울을 차고 있었으며 욕심이 생길 때 소리로 억지했다는 것이다.

명기 황진이의 스승이자 정신적 연인이었던 화담 서경덕(花潭 徐敬德)은 벼슬에는 욕심이 없이 평생 송악산 기슭에서 살았다. 황진이가 거문고를 들고 매번 화담의 농막을 찾았지만 그는 눈빛마저 주지 않았다. 한 가지 집착하는 것도 욕심으로 정의한 화담은 이렇게 경계했다. '고요함에도 집착해서는 안 된다'

'춘풍추상(春風秋霜)'이 요즈음 유행하는 말이 되고 있다. 노영민 청와대 비서실장이 부임 일성으로 청와대에 걸린 '춘풍추상이란 액자를 상기 시킨 데서 비롯된 것 같다. '남을 대할 때는 봄바람처럼 부드럽고 자신에게는 가을 서리처럼 엄격해야 한다'는 '뜻이다.

채근담에는 '대인춘풍 지기추상(待人春風 持己秋霜)'의 줄인 말로 나오며 중국에서는 청나라 학자 장조재(张潮在)의 유몽영(幽梦影)에 나오는 한 구절 명언으로 회자된다. '스스로는 추풍처럼 대하고 남의 일에는 봄바람처럼 대 한다'는 뜻이다(律己宜带秋风,处事宜带春风' 幽梦影 一句名言).

'백성들을 가장 귀하게 대하고 지성을 다해 보살펴야 한다'는 것은 유가의 인치(仁治), 예치(禮治)의 기본이다. 그래야 천하를 얻는다는 것이다. 이 시대 정치인들도 반추해야 할 실천 덕목이 아닐까.

지금 집권층이 국민들로 비판을 받는 사안 하나가 '내로남불'이다. 잘못을 반성하지 못하고 자기변명으로 일관하는 일이 많다.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 막는 사건이 많아지고 있다.

'코드에게는 춘풍, 생각을 달리하는 국민들에겐 추상'이 돼서는 안 된다. 조조처럼 자신들에겐 엄격하며 잘못을 반성 할 줄 알고, 퇴계, 남명 같은 지혜와 아량도 있어야 한다. 그래야 잃은 신뢰를 회복 할 수 있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