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8.11.22 17:32:15
  • 최종수정2018.11.22 17:32:14

이재준

역사칼럼니스트

 어제가 첫눈이 내린다는 소설(小雪). 이미 지난달 중순 설악산에서 첫눈 소식이 있더니 엊그제는 전국에 눈발이 날렸다. 소록소록 추억을 상기시켜주는 첫눈. 자주 만나지 못하는 문우(文友)들이 술 한 잔하자고 극성이다.

 예부터 눈은 시인들의 단골 소재가 됐다. 한 때 청주목에 갇혀 형고를 치르던 고려 말 목은 이색(牧隱 李穡)은 송도의 겨울 설경을 차가운 은빛바다로 노래했다.

 기울어져 가는 고려국의 운명을 걱정한 것인가.

 송악산 푸르름에 저녁 구름 물들더니(松山蒼翠暮雲黃) / 눈발 흩날리자 이미 해는 저물었네(飛雪初來已夕陽) / 밤들면 혹시나 눈이 그치려나(入夜不知晴了未) / 새벽 은 바다에 눈 빛이 차갑겠지(曉來銀海冷搖光)

 주로 이별의 정한을 노래한 개경 명기 황진이도 눈을 보며 망한 고려의 모습을 그렸다. 비록 기생이었지만 그녀의 가슴 속에는 강한 역사의식이 넘친다.

 눈 오는 날은 전조의 모습이요(雪中前朝色) / 차가운 종은 고국의 소리(寒鐘故國聲) / 시름에 젖어 남루에 혼자 섰으니(南樓愁獨立) / 남은 성터엔 저녁 연기 그윽하네(殘廓暮烟香)

 일제강점기 쓴 김진섭의 '백설부'는 순백의 눈을 예찬한 명문장이다. 교과서에 까지 실린 이 글을 기억하는 중년들이 많을 것 같다.

 시인은 세상의 모든 것을 하얗게 덮어 순결하고 아름다운 모습으로 정화시키는 백설의 미학을 유아한 필치로 담아냈다.

 함박눈이 대지를 덮으면 이 백설부가 생각난다.

 눈을 사랑한 시인이 한 둘이 아니지만 충남 강경이 고향인 고(故) 박용래 시인은 특별했다.

 박 시인은 필자의 중학교 국어교사였다. 선생은 학생들에게 수업시간에 들어와 한 번도 반말을 쓰지 않았다. 회초리를 들고 교실에 들어서 험한 말로 훈육하던 다른 교사들과는 다른 모습이어서 다들 좋아했다.

 성년이 돼 우연히 시인을 대전의 한 대포집에서 만날 수 있었다.

 첫눈이 내리던 겨울이었는데 목에는 예쁜 털목도리를 두르고 나오셨다. 명문 대학에 다니는 딸이 정성스럽게 짜준 것이라고 애지중지 했다.

 박 시인은 눈물이 많았다. 술을 한잔하면 금방 눈가가 젖는다. 만나고 싶었던 문우나 제자를 만나니 즐거워 눈물을 흘린 것이다.

 대전의 한 시인은 '그의 눈물은 가난과 애달픔, 외로움 등 때문이 아니었다. 세상의 아름다운 것들은 언제나 그의 눈물을 불렀다. 갸륵하고 어여쁜 것, 소박하고 조촐한 것, 아무렇게나 버려진 것…'이라는 글을 쓰기도 했다.

 시인의 술 친구였던 미당 서정주가 집을 찾아 왔을 때는 맨발로 나가 반기기도 했다.

 많은 시우들이 착한 시인을 사랑했고 그가 세상을 떠나자 슬퍼했다.

 '싸락눈', '겨울밤'은 대표적인 시다. 오늘 날 많은 시인들이 있지만 박용래 시인처럼 맑은 심성을 가진 시인들은 얼마나 될까.

 지금 미투로 얼룩진 문단은 인간적인 교감마저 끊기고 경계와 적막만이 흐른다. 시인이 살아계셨다면 어떤 눈물을 흘렸을까.

 가난한 시기에 서민들은 함박눈을 보면서 하얀 쌀이 펑펑 내렸으면 했다. 올 소설의 눈은 국민들의 어려움을 위무하고 극복하는 서설(瑞雪)이었으면 좋겠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