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이 인간보다 훨씬 더 진화되고 똑똑하다 한다. 어렸을 적 시골에서 보았던 개울가에서 수북이 자라던 '고마리'는 시시한 풀로만 기억이 난다. 얼마 전 숲을 지나다 별사탕처럼 빨갛고 하얗게 핀 고마리 꽃 무리를 마주한 순간, 그 순수하고 영롱한 귀여움에 감탄이 절로 터졌다. 세월 갈수록 왜 들에 핀 작은 꽃들에 더 정감이 가는지, 소박하게 모여 이룬 은은한 향기의 편안함 때문인가.
물가에 사는 고마리는 더러운 물을 깨끗하게 하는 능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그래서 사람들이 고마워, 고마워하다가 고마리가 되었다는 재미있는 이야기도 있지만, 물고기들에겐 더없이 좋은 산란처를 제공한단다. 그뿐인가, 고마리는 지상에서도 꽃을 피우지만, 땅속에서도 꽃을 피우는 것은 물론 땅속줄기로도 뻗어 가며 번식을 한다니 놀라운 일이다.
아마도 고마리는 지상에 보이는 모든 잎과 줄기를 잃어도 살아남을 수 있는 준비를 해 놓은 모양인가 보다. 한낱 여린 풀 같기만 한 그 작은 식물의 생존 전략은 나의 게으른 안일함에 정신이 번쩍 나게 한다. 그 나름의 질긴 생명력과 다양한 삶의 방식이 경이롭다. 인간보다 훨씬 더 많은 시간, 수억 년을 살아온 식물 앞에서 섣불리 잘난 체하며 산다는 건 무의미한 일처럼 여겨진다.
식물의 겨울눈은 무더운 여름부터 만들기 시작하여 늦가을에 완성한다고 한다. 겨울이 오면 나무들은 겨울눈을 남겨두고 잎을 떨구는데, 겨울눈은 여러 겹의 비늘잎으로 싸여 있단다. 또 그 비늘잎 위에 솜털이나 진액이 덮여 있어 추위로부터 보호된다 하니 신기한 자연의 섭리에 절로 고개가 숙인다.
새봄, 찬란한 꽃 피울 희망 안고 자연의 법칙에 순응하며 양지에서도 음지에서도 묵묵히 제자리를 지키는 식물의 겨울나기를 보며 준비하면 극복하기 쉽다는 또 하나의 진리를 배운다.
땅에 뿌리를 내리고 하늘을 우러러 사는 나무들은 어찌 보면 우리 사람들보다 더 풍성한 삶을 사는 건 아닐까. 사람들은 상대의 전체를 보지 못하고 그 일부의 판단으로 소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갈등이 좀 빚어지는가. 근시안의 복닥거림 속 우리네 삶이 갑갑할 때가 많다.
임정숙 약력

△청주문인협회·충북수필문학회 총무 역임
△청주·청원 1인1책 펴내기 운동 팀장
△저서 수필집'흔드는 것은 바람이다'(2009년)
△문학공간 수필부문 신인상. 2007청주예술공로상 수상
△limjs60@hanmail.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