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4.8℃
  • 흐림강릉 15.6℃
  • 구름많음서울 16.7℃
  • 구름많음충주 17.7℃
  • 구름많음서산 18.5℃
  • 구름많음청주 17.2℃
  • 구름조금대전 17.9℃
  • 구름조금추풍령 15.8℃
  • 구름많음대구 14.4℃
  • 박무울산 13.6℃
  • 구름많음광주 18.1℃
  • 흐림부산 14.2℃
  • 구름많음고창 17.8℃
  • 구름조금홍성(예) 16.8℃
  • 흐림제주 16.2℃
  • 흐림고산 17.3℃
  • 구름많음강화 15.0℃
  • 흐림제천 14.9℃
  • 구름조금보은 16.3℃
  • 구름많음천안 16.9℃
  • 구름많음보령 20.8℃
  • 구름조금부여 16.1℃
  • 맑음금산 16.0℃
  • 구름많음강진군 15.7℃
  • 구름조금경주시 13.3℃
  • 흐림거제 14.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이장섭 "광역철도 청주도심 통과 관철 가능성 있어"

청주권 노선 도시철도 아닌 광역철도 개념
靑·국토부 고위 관계자 면담서 긍정 답변
충북 민관정 힘 모아 6월 재조정 이뤄내야

  • 웹출고시간2021.04.29 17:52:01
  • 최종수정2021.04.29 17:52:01
[충북일보] 더불어민주당 충북도당 위원장인 이장섭(청주 서원) 의원은 29일 "충청광역철도 청주도심 통과 미반영과 관련해 오는 6월 최종안에서 재조정 가능성이 희박하다는 일각의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고 말했다.

이 의원은 이날 오후 국회 의원회관에서 기자와 만나 최근 충북지역 최대 이슈인 충청광역철도 청주도심 통과 미반영에 대한 청와대와 국토교통부 등의 주요 반응에 대해 피력했다.

이 의원은 "국토부가 지난 공청회에서 청주노선을 반영하지 않은 이유를 보면 인구 100만 명 이하 도시에 지하철이 들어선 사례가 없다는 것과 지하철이 들어서도 수요확보가 되지 않을 것이라는 이유를 들고 있다"고 전제했다.

그러면서 "인구 100만 명 이하 도시에 지하철이 들어선 사례가 없다는 것은 국토부가 청주 노선을 도시철도로 보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며 "만약 오송~청주도심~청주공항 간 청주권에서만 진행되는 사업이라면 맞는 얘기로 볼 수 있지만, 충청광역철도는 대전~세종~오송~청주도심~청주공항을 연결하는 광역철도 개념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국토부 논리는 이치에 맞지 않는 것"이라고 밝혔다.

이 의원은 이어 "충청권 광역철도는 특히 향후 '3+1' 또는 '2+1'의 충청권 메가시티 발전전략과 맞아 떨어진다"며 "오는 6월 최종안 발표에서 반드시 관철되도록 충북 민·관·정이 힘을 모아야 한다"고도 했다.

이 의원은 "최근 청와대를 방문해 고위 관계자들과 이 문제에 대해 깊은 얘기를 나눴고, 고위 관계자들도 공감을 표시했다"며 "국토부에도 이 같은 내용을 전하면서 오는 6월 최종안에 청주도심 노선이 반영되도록 강력히 요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서울 / 김동민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