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2℃
  • 맑음강릉 16.4℃
  • 연무서울 13.6℃
  • 맑음충주 11.5℃
  • 맑음서산 10.6℃
  • 맑음청주 12.2℃
  • 맑음대전 13.1℃
  • 맑음추풍령 14.6℃
  • 맑음대구 14.2℃
  • 맑음울산 16.3℃
  • 맑음광주 11.8℃
  • 맑음부산 17.8℃
  • 맑음고창 8.8℃
  • 맑음홍성(예) 12.6℃
  • 맑음제주 13.8℃
  • 구름많음고산 13.3℃
  • 맑음강화 11.6℃
  • 맑음제천 11.0℃
  • 맑음보은 10.5℃
  • 맑음천안 11.8℃
  • 구름조금보령 10.1℃
  • 맑음부여 10.0℃
  • 맑음금산 10.7℃
  • 맑음강진군 12.5℃
  • 맑음경주시 14.4℃
  • 맑음거제 15.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도·교육청 무상급식 '맞장토론' 예고

충북도의회 주관… 각 기관서 3명 참여
'국비포함 여부' 쟁점 예상

  • 웹출고시간2015.08.11 15:33:37
  • 최종수정2015.08.11 19:47:51
[충북일보] 파국을 치닫고 있는 무상급식 논란을 해결하기 위해 충북도와 도교육청이 맞장 토론에 나선다.

양 기관은 오는 13일 오후 2시 도청 대회의실에서 열리는 무상급식 토론회 준비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이번 토론회는 도의회가 주관하고 도와 교육청의 국장급 간부 1명과 전문가 2명 등 총 6명이 참여한다.

도에서는 박은상 정책기획관과 남기헌 충청대 교수, 주종혁 청주대 교수가 참여한다. 도교육청의 패널은 신경인 교육국장과 백종면 한국교통대 교수, 이유자 청주시의원이다.

토론회는 먼저 도와 도육청의 입장을 박 기획관과 신 국장이 각각 발표한 뒤 패널 4명이 종합 토론을 벌이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무상급식 합의문 △국비 포함 여부 △정부 질의자료 해석 등이 주요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일찌감치 패널을 결정한 도교육청은 현재 도의 주장을 반박할 논리 개발에 매진하고 있다.

백 교수와 이 의원은 '무상급식 재원에 국비가 포함되지 않는다'는 도교육청의 입장을 대변할 계획이다. 특히 백 교수는 무상급식 논란의 핵심인 '지방교육재정교부금'의 성격을 논리적으로 설명할 예정이다. 백 교수는 강원도 부교육감, 대전시 부교육감, 교육부 지방교육재정과장을 지냈다.

충북도 학교학부모연합회장인 이 의원은 학부모의 시각에서 무상급식 논쟁의 문제점을 짚을 것으로 예상된다.

도의 주장에 힘을 실어줄 남 교수는 무상급식은 '흥정'의 대상이 아니란 점을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주 교수는 이시종 지사의 무상급식 공약을 만드는 데 참여한 인물이다. 무상급식 아이디어를 발굴, 정책으로 입안했다.

도와 도교육청은 반년이 넘도록 무상급식 분담 비율을 놓고 힘겨루기를 하고 있다.

도는 무상급식비 항목 중 식품비(514억원의 70%(359억원)만 부담하겠다는 입장인 반면, 도교육청은 무상급식비 총액(914억원)을 양 기관이 50대 50으로 분담해야 한다고 맞서고 있다.

/ 최범규기자 calguksu@naver.com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