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2.2℃
  • 맑음강릉 16.4℃
  • 연무서울 13.6℃
  • 맑음충주 11.5℃
  • 맑음서산 10.6℃
  • 맑음청주 12.2℃
  • 맑음대전 13.1℃
  • 맑음추풍령 14.6℃
  • 맑음대구 14.2℃
  • 맑음울산 16.3℃
  • 맑음광주 11.8℃
  • 맑음부산 17.8℃
  • 맑음고창 8.8℃
  • 맑음홍성(예) 12.6℃
  • 맑음제주 13.8℃
  • 구름많음고산 13.3℃
  • 맑음강화 11.6℃
  • 맑음제천 11.0℃
  • 맑음보은 10.5℃
  • 맑음천안 11.8℃
  • 구름조금보령 10.1℃
  • 맑음부여 10.0℃
  • 맑음금산 10.7℃
  • 맑음강진군 12.5℃
  • 맑음경주시 14.4℃
  • 맑음거제 15.9℃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무상급식·누리과정 내년 '동시파행' 운명

도교육청 본예산 2조608억 편성… 무상급식비 91억원 부족
어린이집은 한 푼도 반영 안해

  • 웹출고시간2015.11.11 19:37:02
  • 최종수정2015.11.11 20:38:20
[충북일보] 내년 충북지역 초·중학생 무상급식과 어린이집 누리과정(3~5세 무상보육)의 '동시 파행'을 피할 수 없게 됐다.
11일 충북도교육청은 내년도 본예산 2조608억원을 편성해 충북도의회에 제출했다고 밝혔다.

지난해 당초예산 2조452억원보다 156억원(0.76%) 증가한 규모다.

이 가운데 인건비·교육복지비·학교신증설비·기관기본운영비·지방채(BTL 포함) 상환 등에 투여할 경직성 경비는 1조8천678억원(90.6%)이다.

사업비 예산은 1천930억원(9.4%)에 불과하다. 가용재원이 10%도 안된다는 뜻이다. 수업료 징수 등으로 조성할 자체수입은 고작 439억원이다.

전국적으론 지방교육재정교부금 총액이 41조2천716억원으로 올해보다 4.7% 증가했지만, 충북에 배분될 보통교부금은 0.41% 줄어든 1조5천815억원으로 확정됐다.

정부가 학생수 비중을 높게 매기는 방식으로 교부금 산정 기준을 바꾼 결과다.

교육청은 누리과정 1년치 예산 1천284억원 중 공·사립 유치원 지원금 460억원만 본예산에 반영했다.

어린이집 누리과정(2만3천673명) 예산 824억원을 한 푼도 반영하지 않음으로써 당장 내년 초부터 어린이집 보육료 지원은 끊어지게 됐다.

내년 1월은 '아이행복카드' 운영사(한국보건복지정보개발원)가 보육료를 먼저 대납하는 방식으로 넘길 수 있다고는 하지만, 2월부터 상황은 최악으로 치닫게 된다.
무상급식도 비슷한 상황이다. 도교육청은 내년도 무상급식비 총액 964억원(식품비 501억원+인건비 393억원+운영비 70억원) 중 91억원 적은 874억원만 본예산에 반영했다.

충북도가 무상급식비 전출금을 줄인데 따른 대응조처다. 도는 내년도 당초예산에 무상급식 예산을 379억원만 편성했다.

무상급식 총액과 비교하면 지자체 분담액은 39%에 불과하다. 이 가운데 도가 40%(152억원)를, 11개 시·군은 60%(229억원)를 분담하겠다는 얘기인데 이로써 지자체 대 교육청의 50대 50 분담원칙은 깨졌다.

총액에서 100억원 가까운 돈이 빠짐으로써 내년 추경에서 부족분을 채우지 않으면 도내 초·중학교에선 약 한달간 무상급식이 중단되는 상황을 맞게 된다.

도의회는 12일부터 내달 21일까지 이어질 344회 정례회 기간에 도교육청이 제출한 예산안을 심의한다.

/ 성홍규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이 기사 주변 소식 더 자세히 보기
현재위치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