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1℃
  • 맑음강릉 1.5℃
  • 맑음서울 -1.7℃
  • 맑음충주 -0.8℃
  • 구름조금서산 -1.8℃
  • 맑음청주 -0.3℃
  • 맑음대전 1.2℃
  • 맑음추풍령 -1.7℃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2.0℃
  • 광주 0.9℃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5℃
  • 구름조금홍성(예) -0.5℃
  • 흐림제주 4.1℃
  • 구름많음고산 4.0℃
  • 맑음강화 -2.2℃
  • 맑음제천 -2.3℃
  • 맑음보은 -0.1℃
  • 맑음천안 -0.9℃
  • 구름많음보령 0.5℃
  • 맑음부여 1.5℃
  • 구름조금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2.0℃
  • 맑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4.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9.06 15:35:57
  • 최종수정2015.08.31 16:01:56

이상준

전 음성교육지원청 교육장·수필가

산이 많은 우리나라에서 길을 가다보면 고갯길이 정말로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은 장비가 발달하여 웬만한 언덕이나 고개는 중장비로 밀어붙이고 농경지로 또는 주택지로 개발하지만 옛날에는 생활의 큰 장애물이 아닐 수 없을 것이다. 따라서 고개는 자연스럽게 구역을 나누는 경계 역할을 하게 되고 지역 위치를 말할 때에는 고개를 중심으로 방향을 말하게 되므로 지명으로 정착된 곳이 많은데 고개를 의미하는 말이 너무도 다양하여 혼란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원래 고개를 뜻하는 말은 '잣'이었다, 꽃작골(내수 주중), 부처작골(오창 탑리), 황새적골(옥산 장동), 부처직골(현도 시동), 복숭아나무직골(현도 시동), 황청이직골(현도 시동), 새작골(오창 성산) 등에서 보이는 '작' '적' '직' 은 '잣'이며 일반적으로 고개를 '잣'으로 불러온 것이다.

그런데 지명에서 끝말을 '잣, 작, 적, 직'으로 부르기에는 불편하고 실제 지명에서 그런 예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다 보니 지명의 끝말에서는 자연적으로 음운변이가 일어나 '잣'이 '재'로 쓰이지 않았는가 유추해 볼 수가 있다.

청주시 가경동의 '꽃재'와 주성동의 '수름재'를 예로 들지 않더라도 유명한 '문경 새재', '박달재'를 비롯하여 전국의 지명에서 많이 발견되고 있다.

'잣'과 '재'가 혼용되어 쓰여 오다가 한자가 들어오면서 '성(城)'의 훈(訓)을 '재' 또는 '잣'으로 설명하다 보니 의미상의 혼란이 일어나고 말았다. '적을 막기 위하여 인간이 쌓은 큰 규모의 건축물'을 성(城)이라고 하게 되매 지명에서의 '잣'과 '재'는 '고개'의 의미가 점차 소멸되면서 의미 전달이 되지 않게 됨에 따라 '고개'라는 말을 첨가해야 할 필요성이 생기게 되어 '잣'+'고개" > '잣고개', '재'+'고개'> '재고개"라는 지명 형태소가 생겨나게 된 것이다. '잣고개'(보은 내송 백현, 진천 사석), '매작고개'(옥산 후기), '꽃재고개'(보은 회북 부수) 등이 그 좋은 예라고 할 것이다.

특히 '잣고개'를 한자로 표기하는 과정에서 '잣'이 '고개'라는 의미를 상실하였으므로 '잣나무'를 의미하는 '백(栢)'으로 표기하고 보니 지명의 의미를 잣나무가 많은 고개로 만들어 갈 수밖에 없게 된 것이다. 청주시 옥산면 장남리의 '잣고개'가 백현(栢峴 - 잣나무고개)으로 표기된 것이 그 예라고 할 것이다.

청주시 미원면에 인접해 있는 보은 내북 산성리(山城里)의 '잣미'는 '재미'라고도 하고, 영동 용산 천작리의 '자작동'을 '재재기'라고도 하는 것은 '잣'과 '재'가 혼용되고 있는 예이며, 보은 내북 산성리(山城里)의 '잣미'는 이곳 지명이 원래 '성산(城山)'이었음을 나타내고 있어 1914년 행정구역 폐합시에 '산성리'라고 한 것은 문제가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면 '장고개'란 무엇을 뜻하는 말일까·

'장고개'라는 지명은 전국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는 지명인데 한결같이 '장터로 넘어가는 고개'라고 해석하고 있다. 그러나 옛날에는 장이 서는 저자거리가 마을마다 있는 것이 아니라 먼 거리에 있어서 여러 고개를 넘고 넘어서 가야 하므로 어떤 고개를 장터로 가는 고개라고 구분지어 지명으로 성립되기에는 부족함이 있다. 그리고 고개란 오가는 양면성이 있기 때문에 모든 고개가 넘어가면 장터를 향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반드시 이 고개를 넘어야만 장터로 갈 수 있다는 지명으로서의 필연적 연관성을 가지기가 어렵다. 또한 장고개라는 지명이 폭넓게 분포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고유 명사라고 보기 보다는 일반 명사로 쓰이던 말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음성읍의 향교에서 한벌리로 넘어가는 '잣고개'는 '장고개'와 혼용되고 있는데, 옛문헌에 '백치(栢峙)'로 기록되어 있어 '잣고개'라 불리어오던 지명이 '장고개'로 변해온 것을 여실히 알 수가 있다. 따라서 여러 지명에서 쓰이고 있는 '장고개'는 '장(저자)'과의 연관성을 찾기가 어렵고 그보다는 '잣고개 〉장고개'의 변화로 유추해 보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잣고개'와 '장고개'는 결국 어원이 같은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