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1℃
  • 맑음강릉 1.5℃
  • 맑음서울 -1.7℃
  • 맑음충주 -0.8℃
  • 구름조금서산 -1.8℃
  • 맑음청주 -0.3℃
  • 맑음대전 1.2℃
  • 맑음추풍령 -1.7℃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2.0℃
  • 광주 0.9℃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5℃
  • 구름조금홍성(예) -0.5℃
  • 흐림제주 4.1℃
  • 구름많음고산 4.0℃
  • 맑음강화 -2.2℃
  • 맑음제천 -2.3℃
  • 맑음보은 -0.1℃
  • 맑음천안 -0.9℃
  • 구름많음보령 0.5℃
  • 맑음부여 1.5℃
  • 구름조금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2.0℃
  • 맑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4.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0.01.15 17:42:26
  • 최종수정2020.01.15 19:37:10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 수필가

영동군 상촌면 흥덕리에 '날근터'라 부르는 마을이 있다. '낡은'을 연음하여 소리내면 '날근'이 되므로 '날근터'라고 하면 '오래 되어서 못쓰게 된 땅'이란 의미로 생각되어 마을의 이름으로 삼기에 좋은 이름이라고 할 수는 없다. 그래서 이 마을은 한자로 '낙은동(樂隱洞)'이라 표기하고 있다.

'날근'은 '낡은'이 연음된 것으로 보면 결국 같은 말이므로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의 '날근이', 괴산군 불정면 앵천리의 '날근터(捺根垈)', 충남 청양군 청양읍 장승리의 '날근터', 전남 해남군 황산면 원호리의 '날근터', 보은군 수한면 동정리의 '날근터들', 보은군 수한면 오정리의 '날근터골', 보은군 속리산면 구병리의 '날근터골', 충주시 주덕읍 대곡리의 '날근터골', 보은군 속리산면 하판리의 '낡은텃골', 괴산군 청천면 여사왕리의 '낡은직골', 옥천군 안내면 답양리의 '낡은터들', 음성군 원남면 주봉리의 '낡은터들', 충남 아산시 탕정면 용두리의 '낡은터들'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 대서리의 '낡은터들', 경기도 여주시 강천면 부평리의 '낡은절골', 충남 공주시 동현동의 '낡은터지', 영동군 심천면의 '날근 소나무 밭' 등의 지명들은 모두 '낡다'는 의미를 지닌 지명들인 것이다. 이렇게 좋지 않은 이미지를 가지고 있는 이름의 지명이 전국에 많이 분포되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영동군 심천면 고당리의 날근이 마을은 한자로 '노은(老隱), 일근(日近)'으로 표기하는 것으로 보아 대전 유성구의 노은동(老隱洞)과 충주시 노은면(老隱面)의 '노은(老隱)'도 '날근'을 한자의 음과 훈을 이용하여 우리 말소리를 표기하는 향찰식 표기임을 짐작할 수가 있다. 그렇다면 6.25 전쟁 중에 미군에 의한 양민 학살사건으로 알려진 영동군 황간면 '노근리(老斤里)'도 같은 유형의 지명일 것이며 같은 맥락에서 '날근'에서 온 말로 추정할 수가 있겠다.

그렇다면 이와같이 많은 지역에 분포되어 지명으로 즐겨 쓰이고 있는 '날근'이라는 요소가 지명을 처음 만들 당시에는 좋지 않은 의미를 지닌 말이 아니었을 것이다. 아마도 세월이 흐르면서 그 의미가 변화된 것이라고 한다면 원래의 의미는 무엇이었을까?

현재 쓰이는 '낡다'의 사전적 의미는 '물건 따위가 오래되어 헐고 너절하게 되다'이지만 그 어원을 살펴보면 '(품질이) 내려가다'의 의미라고 한다.

'낡다'의 어원적 의미를 생각하면서 괴산군 불정면 앵천리의 '날근터'라는 지명의 지형을 살펴보니

대곡산과 무등산의 골짜기에서 흐르는 물을 막아서 만든 대곡 저수지에서 한참 아래쪽에 음성천 가까이 낮고 넓은 들판을 가리키고 있었다. 따라서 '날근터'란 '내려간 터' 다시말하면 '내려가서 있는 낮은 지역의 땅'을 의미하는 말로 볼 수가 있다. 지역 주민들도 '날근터'를 '늘 응달이 지는 땅'으로 알고 있는 것으로 보아 이러한 의미가 맞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낡다'라는 말이 현재 쓰이는 의미로 보면 품사가 형용사인 것처럼 보이지만 동사로 분류되는 것은 '내려가다'라는 동사에서 의미가 변화된 말이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이와같은 품사의 혼란은 '늙다'의 품사를 어떻게 분류할 것인지에 대한 논란이 있었다는 사실에서 알 수가 있다. 이는 '늙다'가 '늙는다'와 같이 동사의 활용 양상을 보이고 있고, 일반적으로 형용사는 '-었-'을 쓰면 과거의 의미를 나타내는 데에 반하여 '늙었다'는 동사처럼 현재의 상황을 나타내는 데 쓰일 수 있다는 점 등이 논란거리였던 것이다.

이와같이 '낡다'와 '늙다'가 품사 분류에 혼란을 일으키는 상태가 같다는 것은 그 말이 형성되어온 과정이 비슷할 것이라는 짐작이 가능하다. 즉 '늙다'는 '늘어 가다(나이, 세월 등이)'라는 복합동사에서 온 말이고, '낡다'도 '나려 가다(내려 가다)'에서 온 말이 아닐까?

2017년에 국립국어원에서 3분기 표준국어대사전 정보 수정 내용을 공개하였는데 '잘생기다, 잘나다, 못나다, 못생기다, 낡다' 등을 그동안 형용사로 분류해왔는데 동사로 바꾸었다. 이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자 국립국어원에서는 '늙다'라는 말을 예로 들어 설명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지명에서 '날근-'은 지형적으로 '아래로 내려가 있는 땅'을 가리키는 의미로 해석해 본다면

현재의 '낡은'의 부정적인 의미에서 벗어나게 되고 지명의 유연성도 충분하다고 할 것이며 이 지명들이 생기게 된 이유와 의미가 또렷해지지 않는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