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1℃
  • 맑음강릉 1.5℃
  • 맑음서울 -1.7℃
  • 맑음충주 -0.8℃
  • 구름조금서산 -1.8℃
  • 맑음청주 -0.3℃
  • 맑음대전 1.2℃
  • 맑음추풍령 -1.7℃
  • 맑음대구 2.1℃
  • 맑음울산 2.0℃
  • 광주 0.9℃
  • 맑음부산 4.1℃
  • 흐림고창 -1.5℃
  • 구름조금홍성(예) -0.5℃
  • 흐림제주 4.1℃
  • 구름많음고산 4.0℃
  • 맑음강화 -2.2℃
  • 맑음제천 -2.3℃
  • 맑음보은 -0.1℃
  • 맑음천안 -0.9℃
  • 구름많음보령 0.5℃
  • 맑음부여 1.5℃
  • 구름조금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2.0℃
  • 맑음경주시 2.7℃
  • 맑음거제 4.0℃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05.22 16:49:06
  • 최종수정2019.05.22 16:49:06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 수필가

낭성면 관정리에서 추정재라고 부르는 머구미고개를 넘어오면 도로 가에 큰 정자가 서 있는 아름다운 마을이 펼쳐지는데 자연지명으로는 가래울이라 부른다. 가래나무가 많이 있어서 '가래울'이라 하고 한자로는 '가래나무 추(楸)'자로 표기하고 있지만 다른 지역에 널리 산재해 있는 '가래울, 가래실' 등의 지명들이 모두 '갈라지는 길에 있는 마을'을 의미하고 있으므로 이곳 가래울도 아마 예전에 갈림길이 있었을 것으로 짐작이 된다. 가래울을 지나 산정말을 가기 전에 도로 우측 산능선에 전원주택이 들어서서 새로 생겨난 마을이 있는데 이 골짜기를 마을 주민들은 '썩은배미'라 불러 왔다. 지도에는 '작은 배미'라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 어떤 이유로 이러한 이름이 생겨나게 되었으며 어떤 의미를 가진 이름일까·

'썩은배미'라는 지명은 그 이미지가 별로 좋지 않은데 다른 지역의 지명에도 많이 나타난다. 경기도 파주시 하지석동의 '썩은배미'와 경북 울진군 근남면 수곡리의 썩은배미들을 비롯하여 청주시 흥덕구 오송읍 공북리의 '썩은다리' 들은 '썩다(腐)'라는 의미로 들리지만, 보은군 회인면 오동리의 '사근다리', 옥천군 동이면 세산리의 '사근다리', 옥천군 동이면 석탄리의 '사근절', 경북 문경시 영순면의 '사근리(沙斤里)', 경남 함양군 수동면의 옛이름인 '사근면(沙斤面)' 등에서는 '삭다(오래되어서 본바탕이 변해 썩은 것처럼 되다)'의 의미가 연상되며 한자로는 '사근(沙斤)'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다.

서울 성동구 사근동은 사근절(沙斤寺)이 있던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해온다. 이 절은 신라시대에 세워진 절로서 매우 낡았으므로 '삭은절'이라 불렀던 까닭에, 부근의 동네 이름을 사근동이라고 하게 되었다고 한다.

단양군 적성면 하진리의 사근절은 소리에서 연상되는 의미에 충실하다보니 옛날에 삭은 절이 있었는데 빈대가 많아서 폐사되었다는 유래를 만들어내기도 하였지만 강내면 사인리의 사근절은 샘골 남쪽의 들을 말하고 강내면 석화리의 사근절(謝恩寺)은 오정 마올 앞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 '절'은 '들'을 가리키는 말로 추정이 되며 '사근다리'의 '다리'가 '들(드르)'을 변이음인 것 처럼 '사근'은 농사짓는 농토인 '들'의 모양이나 크기를 나타내는 수식어인 것이다. 또 유사한 소리를 가진 지명에 경기 화성시 팔탄면 서근리와 천안시 병천면 봉황리에 있는 서근배미가 있는데 '썩은배미'의 원형임을 짐작할 수 있으며, 서근배미라고 하면 임 억준의 장편소설  '서근배미 사람들'이 생각난다. '서근배미 사람들'이라는 소설은 주인공 인수가 어린 나이에 겪은 6.25사변이라는 전쟁의 포화 속에 피난 길에서 겪었던 유년시절의 아픔과 이웃의 정을 찾아 아들을 데리고 다시 찾아간 지금의 성남시 분당구 율동에 있었던 옛 마을 '서근배미'의 피난시절 몸 담던 그 집과 그 이웃, 그 친구를 찾아 전쟁의 상처를 그리움과 추억으로 돌아보는 이야기를 잔잔히 그리고 있는 글이다.

여기에서 '서근'이란 무슨 의미일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율동(栗洞)의 자연지명에 그 단서가 보인다. 이 마을에는 밤나무가 많았는데 한 그루에서 서 근(斤)이나 되는 밤이 생산돼 '삼근율(三斤栗)'이라 했으며 이 지역을 서근배미, 서근바미 또는 취율리(取栗里)라 부르게 되었다고 하는 것을 보면 '서근'은 글자 그대로 '서근(三斤)'의 의미로 볼 수가 있으며 '배미'는 원래 '벼농사를 짓는 땅'을 가리키는 말이었는데 '밤'으로 변이되어 '밤(栗)'과 연관된 유래가 만들어 진 것으로 보인다.

옛날 우리 조상들은 '농사를 짓는 한덩어리 땅'의 크기를 말할 때 그 땅에 심는 씨앗의 양을 가지고 표현하였다. 즉 한섬지기 땅은 볍씨 한 섬을 심을 수 있는 크기의 땅(옛 단위로 4000평 정도)을 말하며 한 마지기는 한 말의 볍씨를 뿌릴 수 있는 크기의 땅(옛 단위로 200평)을 말하는 것처럼 '서근배미'는 씨앗 서 근(3 근 - 3 되 정도)밖에 심지 못하는 작은 땅을 가리키는 말로 보아도 무리가 없을 것이다.

이처럼 '서근배미'가 '썩은배미'로 변이되어 의미의 혼란을 만들었지만 '작은 배미'라고도 불리는 것은 '서근배미'의 원래의 의미가 이 속에 남아 전해지고 있는 것이니 얼마나 다행스러운 일인가· 따라서 지명에 쓰인 '썩은, 사근, 서근'들은 모두 '서근(三斤)'에서 온 것으로 '땅의 크기가 작다'는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