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5℃
  • 맑음강릉 0.9℃
  • 맑음서울 -2.6℃
  • 맑음충주 -2.1℃
  • 구름많음서산 -1.2℃
  • 맑음청주 -0.8℃
  • 구름조금대전 0.0℃
  • 맑음추풍령 -2.2℃
  • 맑음대구 0.2℃
  • 맑음울산 0.9℃
  • 구름조금광주 1.8℃
  • 맑음부산 2.4℃
  • 구름많음고창 -1.5℃
  • 구름많음홍성(예) -1.0℃
  • 흐림제주 4.0℃
  • 구름많음고산 4.2℃
  • 맑음강화 -3.2℃
  • 맑음제천 -3.7℃
  • 구름조금보은 -0.8℃
  • 구름조금천안 -1.0℃
  • 구름조금보령 1.0℃
  • 구름많음부여 0.9℃
  • 구름조금금산 0.3℃
  • 구름많음강진군 1.3℃
  • 맑음경주시 0.8℃
  • 맑음거제 2.8℃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12.28 15:20:12
  • 최종수정2016.12.28 15:20:12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 수필가

전국의 지명에 '두산(斗山)'이라는 이름이 많이 있는데 두산(斗山)이라 하면 먼저 두산그룹을 떠올리게 된다. 농촌에서 도시로 진출하여 작은 상점을 개점할 때 고향의 지명으로 상호를 짓는 경우를 많이 보게 되는데 두산그룹은 '두산상회'에서 시작하여 대기업으로 성장했다고 하는 것으로 보아 '두산(斗山)'이라는 작은 고을의 지명이 대기업의 이름으로 발전(·)한 것으로 짐작이 된다.

그런데 '두산(斗山)'이라는 지명의 어원을 찾다보니 '두산(斗山)'은 지명의 변천 과정에서 잘못 표기하여 생겨난 지명이라는 견해를 가지게 되었다.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두산리(斗山里)는 본래 청주군 남일상면(南一上面)의 지역으로서 말처럼 생긴 산이 많으므로 '말미' 또는 '두산(斗山)'이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신대리(新垈里)와 회인군 북면의 지경리(地境里), 문의군 동면의 인차리(仁次里) 일부를 병합하여 두산리(斗山里)라 하여 남일면에 편입된 것이다. 산의 모양이 곡식을 계량하는 용기인 말(斗)을 닮았다고 하여 한자로 '두산(斗山)'이라고 표기하였는데 이것은 '말'의 원 의미를 잃어버린 결과 그 의미를 잘못 해석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서울시 금천구 독산제2동에 있던 '두산(斗山)'이라는 마을은 마을 근처의 산이 말(馬)처럼 생겨서 '말미'라 붙여진 이름이나, 훗날에 도량형의 하나인 말(斗)로 변한 데서 마을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전하고 있으며, 대구광역시 수성구 두산동(斗山洞)을 비롯하여 경기도 파주시 문산읍의 두산리(斗山里), 경북 영주시 봉현면 두산리(斗山里),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두산리(斗山里), 전북 장수군 장수읍 두산리(斗山里), 울산광역시 울주군 범서읍 두산리(斗山里) 등이 모두 '말'을 '말(斗)'로 표기를 한 지명들인 것이다.

전국의 지명에서 '말미'라는 지명을 한자로 표기한 것을 살펴보면 '말'을 '말(馬)'과 '말(斗)'의 두가지 표기로 나누어지는 것을 볼 수가 있다. 아마도 산의 모양을 묘사하기에 말(馬)처럼 생겼다고 보기보다는 말(斗)을 엎어놓은 모양이라고 설명하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어서 '말(斗)' 로 바꾸어 표기한 곳이 많아졌으리라고 생각된다.

'말(馬)'로 표기된 지명의 대표적인 곳으로 '마산(馬山)'을 들 수가 있다. 마산(馬山)은 순우리말 지명 '말재'를 한자로 그렇게 표기한 것이며 마산에 회원구 두척동에는 '마재'라는 지명이 있다. '말재'라는 순우리말 지명을 한자로 표기한 것이 두척(斗尺)이다. 한자 斗(말 두)와 尺(자 척)으로 [말+자]를 표기한 것인데 [자]는 [잣]을 말하며 [ㅣ]모음이 붙어 [재]로 바뀌게 된다. '말재'란 지명은 고개(재)가 말처럼 생겨서 그렇게 불린 것이 아니고, '아주 높은 고개'란 뜻에서 그렇게 불린 것이다.

그렇다면 '말'의 원 의미가 '크다, 높다'임을 알 수가 있다. '말'은 예로부터 '크다'의 의미로 쓰여온 말이다. 따라서 지명에서 지형지물의 크기를 나타내기 위하여 '말'이 붙어 쓰이는 이름이 많은데 세월이 지나면서 점차 '말'의 의미를 잃게 되자 자연스럽게 '말(馬)'을 떠올려 연관짓게 된 것이다.

'큰 산'이라는 의미의 '말미'를 청주시 청원구 내수읍 마산리(馬山里)는 마산(馬山)으로 표기하였고, 단양군 가곡면 여천리의 말미봉, 청주시 서원구 문의면 문덕리의 '말봉', 흥덕구 강내면 사곡리의 말봉산, 보은군 회인면 쌍암리의 '말봉산', 보은 속리산 줄기의 유명한 '말티고개'를 비롯하여 남이면 사당리의 '말티고개' 등은 '말이 넘은 봉우리, 말을 타고 넘은 고개' 등의 의미로 유래가 만들어져 전해오고 있으나 실은 '큰 봉우리, 높은 봉우리, 큰 고개, 높은 고개'라는 의미로 쓰인 것이다.

청주시 서원구 내수읍 우산리의 말무덤, 문의면 상장리와 품곡리의 말무덤, 현도면 매봉리와 중척리의 말무덤, 옥산면 국사리의 말무덤 등 청주시 지역에만 해도 '말무덤'이 많은데 한결같이 예전에 말을 묻었다는 전설을 간직하고 있다. 그러나 역사상 우리나라 농촌에는 말을 거의 사육하지 않았으므로 '큰 무덤'이라는 의미가 잘못 전해진 것을 알 수가 있다. 그밖에도 단양군 단성면 가산리의 말바위, 단양군 단성면 직티리의 말바위, 청주시 상당구 남일면 화당리의 말바위, 보은군 회인면 중앙리의 말무덤산, 말구렁, 보은군 회인면 용촌리의 말구리, 현도면 시동리의 말둠벙 등도 역시 같은 맥락에서 '큰바위, 큰 골짜기, 큰 둠벙' 등의 의미임을 쉽게 짐작할 수가 있는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