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0.1℃
  • 구름많음강릉 4.3℃
  • 박무서울 1.5℃
  • 흐림충주 1.1℃
  • 흐림서산 3.5℃
  • 구름조금청주 4.5℃
  • 대전 6.7℃
  • 구름많음추풍령 4.5℃
  • 구름많음대구 6.9℃
  • 맑음울산 7.5℃
  • 구름조금광주 7.0℃
  • 구름조금부산 7.9℃
  • 흐림고창 6.8℃
  • 홍성(예) 5.8℃
  • 구름조금제주 8.0℃
  • 구름조금고산 12.6℃
  • 구름조금강화 0.9℃
  • 흐림제천 0.6℃
  • 구름많음보은 4.1℃
  • 구름많음천안 2.1℃
  • 구름많음보령 8.2℃
  • 구름많음부여 7.9℃
  • 흐림금산 7.3℃
  • 흐림강진군 5.8℃
  • 맑음경주시 8.0℃
  • 구름많음거제 8.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홍성란

수필가

아무리 낡거나 명이 다한 살림이라도 휴지 버리듯 '휙' 내던질 수 없는 게 사물에 대한 사람의 정리다. 더구나 그것이 아끼는 경우 더 그렇다. 이번에 새 둥지로 옮기면서도 그랬다. 오래 망설였던 사물이 낡고 늙은 책장이었다. 왜냐면 책은 내놓거나 쌓을 수도 있지만 책장은 놓일 공간이 있어야 하는데 문제는 그들이 놓일 자리가 마땅치 않은 데 있다. 장난감블록처럼 쌓거나 덜어 낼 수 없는 굳어진 공간이니 어떻든 거기에 맞춰야 하는 한계가 있다.

아이들은 언제 적 책장이냐며 이참에 헌 책장도 버리고 책도 확 줄이자 한다. 책과 책장이 빠지면 그만큼 공간이 생기지 않느냐는 거다. 그 말도 틀린 건 아니다. 그렇지만 아직은 쓸 만한데 낡았다고, 좁다고 내놓는다는 건 아니지 싶었다. 게다가 고교 때부터 지금까지 만만치 않은 세월을 내 곁에 있었던 애틋한 사물이 아닌가. 아니 사물이라기보다 오랜 친구 같은 존재이다. 또한 내 놓을 책들도 책 자체에 문제가 있어서가 아니라 나빠진 시력으로 인한 불편함 때문이니 사실 꼭 버려야 할 이유에는 닿지 닿는다는 생각이 컸다.

아무튼 결정을 내렸고 실행되었다. 먼저 적지 않은 책들을 떠나보냈다. 반면 책장은 새 둥지의 작은 방과 거실로 나누어 모두 옮겨졌다. 6칸짜리 헌 책장은 작은방에 들여 놓았다. 간신히 한 사람 누울 자리만큼의 빠듯한 공간이다. 그런데 왠지 답답한 느낌이 들지 않는다. 책을 다 꽂고 나서야 그 이유를 알게 되었다. 늘 꽉 차 있던 때와 달리 책들이 빠진 자리에 빈 공간이 생긴 것이다. 십 년 만이다. 그런데 이상하다. 시간이 갈수록 개운하고 홀가분한 느낌마저 든다. 왜 여태 한 번도 느껴보지 못했을까. 채워야만 되는 줄, 그게 보이는 책장의 정석 인줄 아예 정하고 있었던 건 아니었나 싶다.

아주 어쩌다 빈틈없이 채워진 그 모습이 답답하다는 생각도 살짝 들기는 했다. 하지만 이내 그게 책에 대한 사랑이라 치부하기도 했던 것 같다. 그러다 보니 무작정 베스트 책이나 명작전집을 사서 꽂아두기도 하고 다 읽기도 전에 다시 새로운 책을 구입했다. 점점 늘어나는 책들에서 뿌듯함도 차올랐다. 그저 그가 내 곁에 있다는 것에만 의미를 두었던 것 같다. 사랑한다 생각했지만 어찌 보면 책에 내가 소유당한 시간이 많았을 거라는 생각이 든다. 소유했다고 착각했고 그 착각은 빡빡하게 채워진 책장에서 뿌듯함으로 이어져 내심 '척' 했을 것이고 '척'에 갇혀 있던 시간이 아니었을까 돌아본다.

책은 각자의 이론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괴테는 파우스트에서 메피스토펠레스의 입을 빌어 '모든 이론은 회색이다 그러나 살아있는 생명의 나무는 푸르다'고 했다. 그는 이론 즉 지식만을 최고의 가치라고 하는 데 대해 경계했다. 그러나 이 말에는 두 가지 의미가 담겨 있다고 생각한다. 하나는 생명이 푸르도록 받쳐 주는 뿌리 역할을 하는 게 책의 힘이라는 걸 부정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과 불확실성 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는 행동과 이론의 조화가 꼭 필수요인이란 걸 포함한다는 걸 강조하고 싶은 것이란 생각이다. 왜냐면 책은 이론은 산자에게 무한으로 열린 불확실성 지평 속에서 이 불확실성을 줄이기 위한 안간힘이다. 따라서 이론은 이 안간힘을 의미화 하려는 개념적 반성의 시도일 게다. 그러니까 감각과 이성, 경험주의와 지성주의를 대립적으로 간주 할 필요도 없는 것이다. 오히려 우리는 이 둘 사이를 왕래해야 할 것이다. 어느 것도 절대시는 없다. 그만큼 세상은 불확실성으로 가득하기 때문이다.

책장에 빈 공간이 생기니 책과 책 사이가 헐렁해졌다. 팽팽한 고무줄을 느슨하게 내린 그런 마음이랄까. 꼿꼿하게 서 있기만 했던 책들이 이제서 자유롭게 몸을 구부린다. 그렇다 그들에게도 '꼭'이라 거나 절대시라는 건 없는 것. 세상은 얼마나 많은 것들이 의문투성이고 얼마나 많은 것들이 여전히 어렵고 모호하며 불확실하던가. 빈 공간에서 퍼뜩 드는 생각이 있다. 사고(思考)의 운동은 중요하지만 사고가 유효하려면 움직이는 만큼 멈출 수 있어야 한다고.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정대철 헌정회장 "개헌 방향 '정쟁 해소'에 초점"

[충북일보] 대한민국헌정회(회장 정대철)는 27일 오후 2시 서울 여의도 국회박물관 대강당에서 '정치선진화를 위한 헌법 개정 대토론회'를 개최한다. 헌정회는 지난해 11월부터 헌법개정위원회를 구성해 개헌의 방향에 대한 연구를 통해 국가 100년 대계 차원의 조문을 만들었다. 이 연구에 이시종 전 충북지사도 참여했다. 정대철 회장은 "정쟁을 해소하는데 개헌의 방향의 초점을 맞췄다"고 설명했다. ◇헌정회가 개헌안 마련에 나서게 된 배경은. "헌정회는 오늘날 국민적 소망인 정치권의 소모적 정쟁 해소와 지방소멸·저출생 등 국가적 위기 상황에 적극 대처하는 것이 시급히 해결해야 할 국가적 과제라는데 인식을 같이했다. 그러나 우리나라 헌법에는 이러한 국가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구 유럽처럼 정쟁을 중단시키는 장치인 내각불신임·의회 해산제도 없고, 미국처럼, 정쟁을 중재·조정하는 장치인 국회 상원제도 없다보니, 대통령 임기 5년·국회의원 임기 4년 내내 헌법이 정쟁을 방치 내지 보장해주는 게 아닌가 하는 의심이 들 정도다. 따라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헌법개정이 불가피하다는 결론에서 헌정회가 헌법개정안을 추진하게 되었다." ◇그동안 헌법개정은 여러 차례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