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24.4℃
  • 맑음강릉 22.4℃
  • 맑음서울 23.7℃
  • 맑음충주 24.5℃
  • 맑음서산 20.9℃
  • 맑음청주 24.4℃
  • 맑음대전 25.8℃
  • 맑음추풍령 24.0℃
  • 맑음대구 24.7℃
  • 맑음울산 17.8℃
  • 맑음광주 24.7℃
  • 맑음부산 18.2℃
  • 맑음고창 21.0℃
  • 맑음홍성(예) 22.3℃
  • 구름조금제주 18.3℃
  • 구름많음고산 16.3℃
  • 맑음강화 15.9℃
  • 맑음제천 23.8℃
  • 맑음보은 23.7℃
  • 맑음천안 24.2℃
  • 맑음보령 19.5℃
  • 맑음부여 24.4℃
  • 맑음금산 24.9℃
  • 구름조금강진군 21.0℃
  • 맑음경주시 23.1℃
  • 맑음거제 19.6℃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대·교통대 통합신청서 제출… 통합대학 2027년 3월 출범

캠퍼스 총장제, 캠퍼스별 특성화 추진
대학통합실무단 구성 세부실행계획 마련

  • 웹출고시간2024.06.30 14:12:26
  • 최종수정2024.06.30 14:59:36

고창섭(앞줄 오른쪽 세번째) 충북대 총장과, 윤승조(앞줄 오른쪽 네번째) 국립한국교통대 총장이 지난 28일 대학 통합에 합의하고 악수를 하고 있다.

[충북일보]충북대학교와 국립한국교통대학교가 대학 통합에 합의하고 교육부에 통합신청서를 제출했다.

통합대학은 2027년 3월 출범 예정이다.

충북대와 교통대는 지난 28일 교통대 U-Edu센터에서 고창섭 충북대 총장, 윤승조 교통대 총장과 양 대학 주요 보직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통합 합의서에 서명하고 교환했다.

양 대학은 대학 통합 효과 극대화를 위해 캠퍼스 총장제, 캠퍼스별 특성화를 추진한다. 2027년 3월1일 통합하고 대학통합실무단 구성 등에 합의했다. 대학통합실무단은 대학 통합 신청서의 구체화, 실행화에 따른 통합 세부실행계획을 마련한다.

이번 통합 합의는 2023년 5월 '상생발전협약'을 시작으로 8월 '단계적 통합원칙 합의', 2024년 2월 '글로컬대학30 대도약 이행 협약' 등을 거쳐 통합 추진 과제를 완수하기 위한 첫걸음이다.

양 대학은 교직원, 학생이 참여하는 통합추진위원회와 통합기획위원회, 6개 실무 분과위원회를 구성·운영했다.

통합대학 교명 후보 선정 등 양 대학이 협의해야 할 과제는 구성원의 의견 수렴을 거쳐 풀어갈 계획이다.

고창섭 충북대 총장은 "충북대와 한국교통대의 통합 합의는 학령 인구 감소에 따른 지역 소멸에 대응하고 교육·연구 경쟁력을 강화해 상생 발전하는 출발점"이라며 "앞으로 지역 주력 산업 연계와 특성화를 통해 충북지역 산학협력 허브역할을 수행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2027년 3월 통합대학 출범에 도달할 수 있도록 양 대학이 적극 협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충북대와 교통대는 학교 간 통합을 전제로 지난해 11월 교육부의 '글로컬 대학 30' 사업에 선정됐다. 글로컬대학30은 급격한 학령인구 감소와 산업구조의 변화 속에서 경쟁력 있는 지역대학을 육성하기 위한 정부 정책사업이다. 지난해 10곳을 시작으로 2026년까지 총 30개 대학을 지정해 학교당 5년간 1천억 원을 지원한다. / 김금란·윤호노기자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을 아시아 최고 바이오 혁신 허브로"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