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7.6℃
  • 맑음강릉 8.0℃
  • 구름조금서울 9.7℃
  • 맑음충주 6.0℃
  • 구름많음서산 4.2℃
  • 구름조금청주 10.0℃
  • 구름조금대전 7.9℃
  • 맑음추풍령 4.4℃
  • 맑음대구 9.8℃
  • 맑음울산 8.0℃
  • 구름많음광주 9.7℃
  • 맑음부산 11.2℃
  • 구름많음고창 3.3℃
  • 구름조금홍성(예) 4.6℃
  • 구름조금제주 11.4℃
  • 구름많음고산 12.4℃
  • 구름많음강화 5.5℃
  • 맑음제천 4.0℃
  • 맑음보은 3.8℃
  • 구름많음천안 4.3℃
  • 구름많음보령 4.5℃
  • 구름많음부여 4.3℃
  • 맑음금산 4.7℃
  • 구름많음강진군 6.4℃
  • 맑음경주시 5.5℃
  • 맑음거제 9.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10.16 16:58:29
  • 최종수정2019.10.16 16:58:29

윤기윤

작가

산사(山寺)에 오르는 길 갈피마다 얼핏 적멸(寂滅)의 그림자가 어른거린다. 여름의 정념(情念)이 스러진 가을 초입의 산은 곱게 나이든 중년의 여인처럼 맑다. 짙푸르게 달구어졌던 소란과 번잡의 시간을 지나 이제 옷 벗을 준비에 든 나무들은 고즈넉이 햇빛에 몸을 헹구고 있다.

산길에 성급히 떨어진 이른 낙엽들로 발밑이 부드럽다. 바스락 소리에 도토리를 주워 먹던 청솔모 한 마리가 순식간에 굴참나무 가지 위로 솟구치듯 올라간다. 인간이 저렇게 나무를 탈 수 있다면 신기(神技)에 가까운 기예라 하겠다. 이렇듯 경이로운 자연 속에서 인간은 겸허함을 배운다.

산을 내려와, 허기진 배를 채워 줄 음식점을 고르던 중 어쩐지 동그란 시선이 느껴져 발길을 멈추고 돌아다 봤다. 시선의 주인공은 커다란 징(鉦)이었다. 시골 마을의 오래된 유물처럼 집 담벼락에 홀로 걸려 있었다. 평상에 구부정하게 앉아 있는 노인과 한 쌍의 그림으로 풍경을 이루고 있는 모습이 유난히 눈길을 붙들었다. 나의 시선이 동그란 징에 닿자, 징은 제 몸을 부르르 떨더니 한순간'쩡!'하고 소리를 냈다. 아니, 그렇게 느껴졌다.

무슨 질풍노도 무슨 잔치를 꿈꾸는가.

걸려있는 징

이어, 고은의 시(詩)가 정수리에 박혔다. 지금 징은 고요하지만 그가 울렸던 그때 세상은 온통 잔치였으리라. 그 소리로 사람들은 흥을 돋우어 춤을 추고 노래를 불렀을 것이다. 떠들썩한 잔치를 이끌고 고무하던 징은 지금 그 공명의 역사를 끌어안고 그저 고요의 빛을 반사해내고 있다. 평상에 걸터앉은 노인도 가을 햇살 아래 졸고 있다. 그러고 보니 노인도 하나의 징이었다. 그를 관통해갔을 수많은 명멸의 시간들, 그 시간들을 풀어내면 징보다 더 큰 음향이 울려나오지 않을까.

며칠 전, 조국 법무부장관이 사임했다. 근래 몇 달 동안 그는 대한민국의 '징'이었다. 나라의 입 있는 자마다 그를 두드리지 않은 사람이 없었을 것이다. 그의 사퇴의 변은 이러했다.

"내 역할은 검찰개혁을 위한 불쏘시개에 불과했습니다. 상처받은 젊은이들에게 정말 미안합니다."

그가 울린 징소리의 파장은 나라를 흔들었다. 온 국민이 양분되어 거리로 나섰다. 나서지 않은 사람들도 분열되어 제각각 다른 목소리를 냈다. 그러다 어느 한 순간, 그는 물러났고, 징소리는 멈추었다.

노를 젓다가

노를 놓쳐버렸다

비로소 넓은 물을 돌아다보았다

다시, 고은의 시(詩)다. 우리가 희망을 젓다가 한순간 놓쳤다면, 이제 비로소 넓은 세상을 볼 수 있는 눈을 얻은 것이다. 노를 젓기만 하다 놓친 풍경을 이제라도 제대로 볼 수 있다면 다행인 것이다. 그나마 풍경을 볼 수 있는 것은 멈추지 않고 노를 저어왔기 때문이다. 그만큼 물살을 거슬러 왔기에 가능한 일이었다. 우리는 노를 놓았지만, 이제 양안의 제대로 풍경을 볼 수 있는 곳까지 왔다고 믿는다. 조국이란 '징소리'는 좌우를 더 잘 살필 수 있는 균형추가 되었다.

이제 조국 장관의 퇴임사처럼 그간의 언(言)과 행(行)이 불쏘시개가 되어 함께 하얗게 불타 바른 길이 보다 환해지기를 소망한다. 그 불빛으로'기회는 평등하고 과정은 공정하며 결과는 정의로운 사회'로 가는 길을 밝혀주기를 기대하는 것이다.

점점 깊어가는 가을 산이다. 소란했던 여름 산은 소멸되고 무르익어 겨울을 대비해야 한다. 분열된 소리를 하나로 모아야한다. 그 울림의 힘으로 추운 겨울을 이겨내고 다시 봄을 맞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더 나은 건강한 미래를 위해"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