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7.6℃
  • 맑음강릉 8.0℃
  • 구름조금서울 9.7℃
  • 맑음충주 6.0℃
  • 구름많음서산 4.2℃
  • 구름조금청주 10.0℃
  • 구름조금대전 7.9℃
  • 맑음추풍령 4.4℃
  • 맑음대구 9.8℃
  • 맑음울산 8.0℃
  • 구름많음광주 9.7℃
  • 맑음부산 11.2℃
  • 구름많음고창 3.3℃
  • 구름조금홍성(예) 4.6℃
  • 구름조금제주 11.4℃
  • 구름많음고산 12.4℃
  • 구름많음강화 5.5℃
  • 맑음제천 4.0℃
  • 맑음보은 3.8℃
  • 구름많음천안 4.3℃
  • 구름많음보령 4.5℃
  • 구름많음부여 4.3℃
  • 맑음금산 4.7℃
  • 구름많음강진군 6.4℃
  • 맑음경주시 5.5℃
  • 맑음거제 9.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9.04.17 17:59:15
  • 최종수정2019.04.17 17:59:15

윤기윤

작가

“바둑 한 판에 6개월 두던 시절이 그립다.”

얼마 전, 모 일간지에서 조훈현 9단이 인터뷰를 통해 한 말이다. 어린 시절 10년 동안 일본에서 바둑을 공부한 그는 담담하게 그 시절의 바둑이야기를 풀어놓았다. 그가 스승 세고에 겐사쿠를 만난 인연부터, 스승이 자살하게 된 동기, 그리고 그 스승과 함께 죽은 강아지‘깽깽이’소식까지 바둑의 전설과도 같은 이야기가 선연히 되살아났다.

본가에 가면 50여년의 나이를 먹으며 낡아가는 책장이 있다. 연로하신 부모님은 우리 형제들이 즐겨 읽던 책들을 아직 버리지 못하고 계시는데, 거기에는 70년대 나왔던 한자투성이 <위기명인기성전> 시리즈가 지금도 꽂혀 있다. 노르스름한 반상 위에 희고 검은 바둑돌의 그림과 그에 대한 해설은 어린 내게 감칠 맛 나는 무협지처럼 흥미진진했다.

<위기명인기성전>은 일본의 바둑기성전을 해마다 엮어낸 바둑기보였다. 고등학생이었던 형이 바둑에 빠져 해마다 출시되는 기성전시리즈를 모아놓았던 것이다. 일본의 3대 기전인 명인전, 본인방, 기성전 시리즈가 횟수별로 책장에 나란히 꽂혀 있었다. 형은 기보를 통해 바둑공부에 여념이 없었지만, 난 바둑을 두기 전 풍경이나, 바둑에 얽힌 사람들의 소소한 에피소드에 더욱 흥미를 느꼈다. 바둑을 통한 고수들의 인간적 풍모에 매료되었다고 할까.

조 9단은“시대에 따라 바둑이 달라지는 것에 대해서는 할 말이 없다. 다만, 요즘은 바둑을 너무 승부로만 본다. 이기기 위해서는 못할 게 없다고 생각하는 선수들이 있는데, 이는 과거의 바둑과는 너무나도 다른 점”이라고 설명했다.

바둑은 분명 게임이고 스포츠다. 그러니 승자와 패자가 존재한다. 일본의 바둑은 예와 도를 기본으로 임한다. 그러면서 바둑은 철저하게 상대방과 싸움 혹은 경계를 통해 집을 많이 확보하는 자가 이기는 게임이다. 공평하게 서로 한 수씩 나눠두고, 시간도 똑같이 배분을 받는다. 널따란 바둑판은 온전한 땅이다. 처음에는 그 땅을 조금씩 서로 공평하게 나눠가면서 삶이 시작된다. 그러다 정해진 땅을 나눠가지면서 조금씩 탐욕이 싹트며 전쟁을 시작한다. 상대편의 땅에 침범하기도 하고, 미리 공격에 대비해 튼튼한 담을 쌓기도 한다. 때론 더 큰 땅을 얻기 위해 작은 땅은 과감하게 버릴 줄도 알아야 한다.

이렇듯 바둑으로 인생을 관조할 수 있었기에 바둑을 두는 풍경은 삶의 격조와 아취가 느껴지는 모습이었다. 그러나 요즘 바둑은 오로지 승부에만 집착하는 인상을 준다. 일례로 지난 2019 하세배 결승경기에서 중국의 커제가 어이없는 자신의 실수로 바둑에서 패하자, 바둑돌을 바닥에 던져버리는 대국의 태도는 적이 실망스러웠다.

‘햇빛과 옅은 안개가 어우러진 아침 공기는 담백했다. 향긋한 차 한 잔을 머금는 순간, 돌의 거처가 머릿속에서 그려진다. 손을 들어 돌을 살며시 내려놓을 때, 창밖 대숲 속에 머물던 바람도 슬쩍 방안을 건너와 손끝에 일순 머문다. 손끝이 미세하게 떨린다. 햇빛과 어우러진 잔바람이 반상 위로 고요한 그림자를 던진다. 자연의 무심한 시선이 반상과 바둑 두는 이들을 어루만진다. 도전자 오오다케 9단이 미학을 중시하는 기풍이라면, 사카다 9단은 그야말로 면도날이라는 별명답게 날카롭다. 사카다는 오오다케의 견고하면서도 아름다운 집을 정교하게 흠집을 내면서 파괴하리라. 오늘 기성전이 열리기 전날, 사카다는 늦은 밤까지 이 마을의 전통주 사케를 마신 탓인지 조금 피곤한 기색이었지만, 눈빛은 형형했다. 그에 비해 오오다케 9단은 예의 그 사람 좋은 미소를 지으며 한여름의 열기를 물리치려는 듯 부채를 조심스럽게 흔들었다. 마침내 흑을 잡은 오오다케 9단이 바둑판에 바둑알을 올려놓았다. 마치 고요 속에 담갔다 뺀 손끝으로 놓은 듯 청량한 소리가 대기를 헹구었다.’

당시 기성전이 열리던 방안의 풍경이 그림처럼 마음에 펼쳐진다. 이제 바둑을 통해 선인(仙人)들이 지상의 삶을 연출하던 광경을 기대한다는 것은 정녕 어려운 일일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더 나은 건강한 미래를 위해"

[충북일보]"설립 초기 바이오산업 기반 조성과 인력양성에 집중하고, 이후 창업과 경영지원, 연구개발, 글로벌 협력 등으로 사업을 확대해 지역 바이오산업 핵심 지원기관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지난 2011년 충북도가 바이오산업 발전을 위한 산·학·연·관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산업과 인력을 연결하기 위해 설립한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 올해로 설립 14년을 맞아 제2 도약의 발판을 마련하고 있는 충북바이오산학융합원의 사령탑 이장희 원장은 충북바이오산업의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바이오산학융합원의 과거의 현재의 모습을 소개하면서 야심찬 미래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 원장은 "바이오 산업 산학협력과 연구개발 정보를 연결하는 허브기능을 수행하는 바이오통합정보플랫폼 '바이오션(BIOTION)'을 운영하며 청주 오송을 중심으로 한 바이오클러스터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며 "크게 기업지원과 인력양성 두 가지 축으로 운영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좀 더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산학융합원의 고유 목적인 산학융합촉진지원사업을 통해 오송바이오캠퍼스와 바이오기업간 협업을 위한 프로젝트LAB, 산학융합 R&D 지원, 시제품 제작지원 등 다양한 기업지원을 수행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