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3.6℃
  • 맑음강릉 9.7℃
  • 맑음서울 12.8℃
  • 맑음충주 14.6℃
  • 맑음서산 9.9℃
  • 구름조금청주 15.6℃
  • 구름많음대전 14.9℃
  • 구름많음추풍령 12.8℃
  • 구름많음대구 13.2℃
  • 맑음울산 9.3℃
  • 구름조금광주 12.2℃
  • 맑음부산 10.9℃
  • 맑음고창 9.2℃
  • 맑음홍성(예) 12.2℃
  • 흐림제주 10.2℃
  • 구름많음고산 8.9℃
  • 맑음강화 10.3℃
  • 구름조금제천 13.2℃
  • 구름많음보은 14.0℃
  • 맑음천안 12.4℃
  • 맑음보령 9.3℃
  • 맑음부여 13.1℃
  • 구름많음금산 14.2℃
  • 구름많음강진군 11.8℃
  • 구름많음경주시 10.7℃
  • 맑음거제 10.6℃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2.10.13 15:14:21
  • 최종수정2022.10.13 15:14:21

2창수

artist

지역은 지역에 맞는 축제를 해야 한다. 대규모 도시의 대규모 행사와 지역의 축제는 다르다. 그리고 당연히 달라야 한다. 대도시는 물이 모여 큰 강이 되듯 다양한 문화 혼성이 어루러진 축제가 돼야 하고 지역은 문화의 독특성이 남아있는 소규모 문화 중심의 졸보기(먼 곳은 확실히 보이지 않지만 가까운 곳은 잘 보는 시력)의 방식이 돼야 한다.

축제는 예술행사가 주된 중심으로 고대 로마에서는 성스러운 날은 일하지 않고 쉬게 했다는 것에서 유래가 됐다. 그러므로 축제일은 신성한 날임에도 어원은 정반대의 뜻을 지닌다. 신성하지 않은 날이므로 한가한 날이라는 뜻의 디에스 바칸테스(dies vacantes)는 일을 하는 날인데, 오늘날의 휴가(vacation)는 디에스 바칸테스에서 유래했으므로 오히려 반대의 의미로써 지금 통용되고 있다.

축제의 중심은 공연에 있다. 공연은 자신의 기능을 다른 공연자와 이야기를 구성해 만들어 내는 것으로 오랜 시간 조율과정을 거쳐 숙달된 결과를 만들어 낸다. 플라톤이 예술을 정의할 때 모방으로 정의 내린 것처럼 공연은 개개별 모방의 집합체이다. 그러나 플라톤의 모방은 완전한 재현이 아닌 것을 말한다. 예술의 지향점 역시 완벽한 재현이 아닌 진짜처럼 보이는 가상을 논한 것이다.

모방에 치우쳐 모든 예술을 평가하는 것은 바보 같은 해석이겠으나 즐거움에 예술의 본질이 있다는 쾌(快)만으로 축제를 정리할 수는 없다. 예술 축제는 숙달된 예술가의 이야기를 구성한 모방을 넘어 시민참여를 유도하는 모두가 즐거운 축제의 시도가 돼야 한다. 이 시작은 분명 지역 역사에 기인해 기획이 돼야 각 지역에서 무분별하게 동일한 축제가 생겨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좋은 대안이 될 것이다.

지역예술은 늘 팍팍하고 모든 것에 어려움이 있으며 여유보다는 부족함에 대해 토의를 할 만큼 어렵고 아쉬운 것투성이다. 이런 지역예술의 불만은, 현실에 대한 자신의 기대치보다 보상이 미치지 못하거나, 미래의 기대치도 해결해주지 못한다는 불안한 마음에서 나오는 표현이다. 지역예술은 대도시와 달리 대규모 자본과 기회가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므로 지역예술가는 적은 기회를 주는 지역에 대해 푸념하며 지역을 벗어나고 싶어 한다. 사회적 현상으로 젊은 연령층이 군소 도시를 버리고 대도시로 가는 기저(基底)에 이런 현실적 요인이 자리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축제는 지역예술가들에게 지속적 일자리 제공의 역할을 할 수 있는 행정 지원의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문화는 하나의 방법으로 정해지지 않으며 한쪽 방향으로 성장하지 않는다. 문화 중의 꽃이라는 예술 역시도 하나의 기술을 발전시키는 기예의 방법만으로 경지가 될 수는 없다. 인간 감정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공자는 시경(詩經)을 통해 인간의 순수한 감정을 나타내길 가르쳤다. 공자가 만년에 특히 시를 중요시 했는데 이는 시가 인간의 순수한 감정을 우려낸 것이라 믿었으며 사물의 인식을 잘 깨우치고 감정을 나타내는데 중요한 방법이라 느낀 것이다. 그래서 아들 백어(伯魚)에게는 "『시경』의 주남(周南)과 소남(召南)을 공부하지 않으면 마치 담벼락을 마주하고 서있는 것과 같다."라고 하면서 시 공부를 권했다. 오늘날, 예술을 모르면 담벼락 앞에서 삶을 살고 있다 생각해도 무방할 것이며 그만큼 문화와 예술은 삶의 중요한 일부이다.

하나의 꽃을 피우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 지역토양과 어우러지고 그곳의 해충, 균과 싸우며 생존을 위한 처절한 사투를 벌여야 한다. 그리고 그 끝에 만들어지는 것이 꽃이고, 내일을 향한 희망을 씨앗으로 만들어 낸다. 늘 좋고 편안함을 준다고 씨앗이 씨앗의 역할을 하는 것은 아니다. 지역문화의 씨앗도 발아를 하려면 다양한 협력과 양분이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