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조금동두천 0.8℃
  • 흐림강릉 3.7℃
  • 맑음서울 1.1℃
  • 구름많음충주 -0.8℃
  • 맑음서산 3.2℃
  • 구름조금청주 2.2℃
  • 맑음대전 4.6℃
  • 구름많음추풍령 2.3℃
  • 구름조금대구 3.8℃
  • 맑음울산 4.2℃
  • 맑음광주 4.2℃
  • 맑음부산 4.7℃
  • 맑음고창 5.4℃
  • 맑음홍성(예) 4.1℃
  • 구름조금제주 8.5℃
  • 구름많음고산 7.4℃
  • 구름많음강화 1.1℃
  • 구름많음제천 -3.6℃
  • 맑음보은 1.3℃
  • 구름많음천안 1.1℃
  • 맑음보령 4.8℃
  • 맑음부여 1.4℃
  • 맑음금산 4.2℃
  • 맑음강진군 5.8℃
  • 맑음경주시 4.2℃
  • 맑음거제 4.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3.16 15:01:37
  • 최종수정2016.03.16 15:01:43

이상준

전 음성교육장 수필가

단양에는 대가리가 있고 제천에는 월굴리가 있으며, 괴산에 목도리가 있다면 보은에는 장갑리라는 곳이 있다. 장갑(長甲)은 원래 보은군 산외면 지역의 자연마을인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남악(南岳), 벌말, 적말, 안말, 새말을 병합하여 장갑리라 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면 장갑이란 무슨 의미일까· 추위를 막기 위하여 손에 끼는 장갑은 예전에는 오로지 추위를 막기 위한 용도의 벙어리 장갑이 대부분이었다, 손가락마다 갈라진 장갑은 추위를 막는 데는 벙어리 장갑보다 못하지만 물건을 집거나 일을 하는 데는 매우 편리하며 미관상 아름답게 보인다.

사전적 의미를 보면 장갑(掌匣)은 방한이나 장식을 위해 털실, 천, 가죽 따위로 만들어 손에 끼는 물건을 가리키는 한자어이지만 고유어 '장갑'은 무슨 의미를 지닌 말일까· 지명에 쓰인 이름이므로 땅의 모양(지형)을 가리키는 말임이 분명할 것으로 추정하고 그 의미를 살펴보고자 한다.

지명에서 지형적 특징을 달리하는 곳의 형태가 돌출된 경우 곶(串)이란 글자를 붙여 부른다. 일반적으로 바다의 경우는 규모상으로 보면 반도보다 다소 작다. 해안 지역에 주로 나타나는 지형적 의미를 갖는 지명이다. 침수 해안의 경우는 물에 잠기지 않은 산줄기 부분이 곶으로 발달하여 아름다운 경관인 해식애를 볼 수 있기도 하며, 그곳에 등대 등을 설치하여 항해에 도움을 주기도 한다. 또는 일반적으로 사취가 발달하여 바다의 돌출부로 자리잡는 경우도 있다.

어원상으로 보면 '곶'이란 돌출은 의미하며, '곧'에서 변하였다. 이러한 의미를 갖는 지명으로 널리 알려진 곳에는 '장산곶, 호미곶' 등이 있다. 이 지역들은 반도의 끝 부분인 곳에 남아 있으며, 한자에서 곶(串)이라고 차용하고 있다. 본래 우리나라에서는 반도라는 말이 없었고 육지가 바다로 튀어나간 곳이면 '곶(串)'이나 '갑(岬)'같은 한자를 사용하였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단(端), 각(角), 취(嘴), 말(末)' 등을 쓰기도 하였다. 옛 지명에서 곶의 뜻이 들어간 곳이 많이 나타나고 있으며 갈곶 또는 갈고지(갈구지)라 불리던 마을이 '갈곶리(葛串里), 갈곶리(乫串里), 갈화리(葛花里)' 등의 행정지명으로 그 흔적이 남아 있는 것을 볼 수가 있으며 '꽃'의 어원인 '곶'과 음이 같아 한자식 지명으로는 '화(花)'로 변하기도 하였다.

전라남도 장성군을 백제 때에는 고시리(古尸里)라고 불렀으며, 신라 때에는 갑성(岬城)이라 한 것으로 보아 '곶(串)'과 '갑(岬:산허리 갑)'은 예전에 같은 의미로 쓰였음을 알 수가 있다.

지명에서 '갑'이 쓰인 대표적인 예로 대전의 갑천이 있다. 갑천 지역을 중심으로 다음과 같은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삼한 시대에 진한의 마지막 왕이었던 태기왕이 경상도 삼량진에서 신라의 박혁거세에게 대패한 후 친위병 소수만을 이끌고 실지 회복을 꿈꾸며 재기의 터전을 세우기 위해 덕고산으로 자리를 옮겨 난공불락의 성터를 구축하고 정예 병사를 육성하였다. 그 후부터 덕고산은 태기왕의 이름을 따서 태기산으로 불리우게 되었으며 갑천이라는 지명은 태기왕의 병사들이 개천에서 갑옷을 씻었다 하여 그 후부터 갑천이라고 불리어졌다고 한다. 보은읍 성족리의 갑봉(甲捧)은 소라리 동쪽에 있는 산으로 부락에서 볼때 갑방(甲方)에 있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전해지며 청주시 상당구 가덕면 노동리 두겁바위(頭鉀)는 새터말에서 상대리로 가는 모링이에 있으며 투구 같이 생겨서 두갑바위라 하는데 인차리에서 남일면 고은리까지 도로 확포장으로 지금은 없어졌다.

모두가 '갑'의 한자 훈(訓)을 풀이한 것에 불과하지만 지명으로서의 유연성을 지니고 있는 곳으로 는 청주시 가덕면 상야리의 '사갑들'을 들 수가 있다. 한배미 남서쪽에 있는 들의 이름인데 앞에서 언급한 '곶(串)'과 '갑(岬)의 의미와 상통한다고 볼 수가 있다.

그렇다면 '장갑'의 '장'은 무슨 의미인가?

지명에서 '장자골, 장자마을'이 부자인 장자(壯者)와 연관지어 그 유래가 전해오고 있으나 일반적으로 '장자'는 '작은 잣→잔잣→장잣→장재→장자'의 변화 과정을 유추하여 '작은 고개, 또는 작은 산 언덕에 있는 골짜기나 마을'을 의미한다고 보는 것이 정설이며 그밖에도 '장'은 지명에서 '작은, 잔'의 의미로 쓰인 예를 많이 볼 수가 있으므로 '장갑'이란 지명의 의미도 '산 언덕이 작게 돌출된 지형'을 가리키는 말로 해석하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할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