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7.18 14:24:09
  • 최종수정2024.07.18 14:24:09

한송이

세명대학교 교양대학 교수

시대와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교육의 모습도 변화하고 있다. 수업 시간에 태블릿이나 노트북을 사용하는 것은 흔한 일이 되었으며, VR, AR, 메타버스 등 다양한 매체의 발달은 교육 현장을 더욱 풍부하게 만들어 주고 있다. 수업 내용이나 방법 외에도 교육이 이루어지는 장(場)을 확장하기 위한 정책적, 제도적 변화도 이루어지고 있다. 바로 '지역 협력' 혹은 '지역 참여'가 변화의 핵심이다. 초·중등 단계에서는 자유학기제 혹은 고교학점제를 통해, 대학 단계에서는 RISE체계와 글로컬대학30 등을 통해 지역과 학교가 함께 협력하는 교육을 추진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교육은 한 개인의 성장과 변화를 추구하는 활동이다. 인간다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소양을 기르기 위해 또는 사회인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한 직업 기술을 습득하기 위해 우리는 배우고 익힌다. 전통적으로 교육은 학교와 교사의 영역이었다. 물론 지금도 교육의 전문가이자 근간을 담당해야 하는 곳은 분명 학교와 교사여야 한다. 그러나 점차 복잡해지는 사회를 살아가기 위해서 개개인들에게 필요한 역량이나 기술이 다양해지고 있으며, 각자가 무엇을 배우고 경험했는지가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제도화된 학교는 이 모든 것들을 다루기에는 제한이 크다. 이러한 점에서 더욱 '지역'의 역할과 책임이강조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미 우리는 방과후학교나 마을학교 등을 통해 지역사회가 함께하는 교육의 효과와 가능성을 경험한 바 있다.

교육은 지역을 지탱하는 근간이다. 교육 현장에서 만들어지는 창의적인 아이디어들은 지역의 활력이 되며, 교육을 통해 길러낸 인재들은 지역의 일원이 된다. 또한 교육 기관은 지역 경제 발전의 견인책이다. 한 대학이 폐교한 후 지역이 쇠퇴한 사례는 이를 방증한다. 교육은 지역을 살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그러나 지역 또한 교육의 근간이다. 지역에 있는 다양한 자원들은 교육의 중요한 교재이자 재료가 된다. 우리는 자연에서 박물관에서, 그리고 도서관에서 많은 것들을 배우고 경험한다. 지역사회는 교육의 주제가 되며 이를 탐색,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자들은 성장한다.

지역 협력 혹은 지역 참여는 학교가 해야 하는 역할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는 학교와 지역 모두가 교육의 적극적 주체가 되어야 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학교가 지역을 위한 인재를 양성해 낼 수 있듯이, 지역 또한 학생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무엇을 해야 할지를 고민하고 실행해야 한다. 지역 내 학습자들을 위해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하거나 지역의 여러 공간들을 제공해주어야 한다. 유아부터 초·중등단계의 학생, 대학생에 이르기까지 모든 학습자들의 성장과 발전을 도와주는 지역이 되어야 한다. 지금 지역은 무엇을 준비하고 있는지, 무엇을 얼마나 하고자 하는 의지가 있는지, 학교와 얼마나 함께 협력하고자 하는지 질문을 던져보자. 지역과 함께하는 교육의 미래는 바로 이러한 질문을 통해 시작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이연희민주당 오송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TF단장

[충북일보] "버티면 잊혀진다는 나쁜 선례가 생기지 않도록 유가족과 피해자와 끝까지 함께 하겠다." 오송참사 1주기를 맞는 더불어민주당 오송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TF단장을 맡고 있는 이연희(청주 흥덕) 국회의원의 입장은 여전히 단호했다. ◇오송참사 1주기를 맞아 더불어민주당 '오송 참사 진상규명과 책임자 처벌 TF' 단장으로서 소회는. "안타까움을 넘어 참담함을 느낀다. 지난 달 19일 유가족분들과 함께 궁평2지하차도에 다녀왔다. 자동진입차단시설이 설치되긴 했지만, 미호강 범람 시 지하차도에 물이 들어오는 걸 막을 수 있는 차수벽이 설치되지 않았고, 관련 정비가 좀 더 필요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당시 충북도는 장마를 앞두고 궁평2지하차도를 급하게 재개통하려 했다. 유가족과 시민사회의 반대로 개통이 연기되긴 했지만, 충북도가 벌써 오송참사로 수많은 시민이 희생되었던 아픔을 잊은 것 같아서 화가 많이 났다. 유가족과 피해자의 시간은 아직 23년 7월 15일에 멈춰있는데, 충북도는 참사를 서둘러 무마하려는 것 같아서 마음이 참담했다. 지자체에서 책임을 회피하고 정부에서 진상규명을 외면하는 사이, 유가족과 생존자분들은 여전히 거리에서 진상규명과 책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