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8.2℃
  • 구름많음강릉 14.9℃
  • 흐림서울 19.3℃
  • 구름많음충주 24.6℃
  • 흐림서산 16.4℃
  • 구름조금청주 25.9℃
  • 구름많음대전 25.6℃
  • 구름많음추풍령 23.4℃
  • 구름많음대구 25.3℃
  • 구름많음울산 23.7℃
  • 구름많음광주 23.6℃
  • 흐림부산 20.1℃
  • 구름많음고창 22.5℃
  • 흐림홍성(예) 20.4℃
  • 구름많음제주 18.9℃
  • 구름많음고산 20.5℃
  • 흐림강화 14.7℃
  • 구름많음제천 22.0℃
  • 구름조금보은 24.5℃
  • 구름많음천안 24.3℃
  • 구름많음보령 19.7℃
  • 구름많음부여 24.4℃
  • 구름많음금산 26.1℃
  • 구름조금강진군 21.6℃
  • 구름많음경주시 26.4℃
  • 구름많음거제 18.4℃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6.07.20 14:53:17
  • 최종수정2016.08.03 14:10:43

박연수

충북지속가능발전협의회 사무처장

미호천에는 평사마을(平沙里)이 있다. 평사리는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이사리(梨峙里), 통산리(通山里)와 병합해 문백면 평산리에 병합되었다. 평사리는 중국 샤오샹팔경(瀟湘八景)의 하나인 평사낙안(平沙落雁)에 비유하여 붙인 이름이다. 평사리는 인터넷 검색을 하면 약 일곱 개의 마을이 나타난다. 공통점은 마을을 감싸는 천(川)과 모래사장이 마을 농토와 어우러진 풍광을 자랑한다. 진천 문백면 평사마을 또한 마을을 휘감아 도는 미호천과 10km나 이어지는 금빛 모래사장, 그 위로 솟구쳐 오른 청벽이 일품이다. 모래 위 안개가 피어오를 때 기러기가 떼를 지어 앉은 모습을 보고 '평사낙안'을 노래했으니 장관은 미루어 짐작 할 수 있다.

이곳에 선촌서당(仙村書堂)이 터를 잡았다. 선촌서당은 선비가 있는 마을의 서당이란 의미로 청학동(淸鶴洞) 훈장으로 알려진 김봉곤(金鳳坤)씨가 터를 잡아 예절학교를 운영하고 있다. 김 훈장은 메스미디어를 통해 많이 알려진 인물로 회초리 전도사이기도 하다. 김훈장이 말하는 회초리(回初理)는 돌아올 회(回) 처음 초(初) 다스릴 리(理)로 '인간 본연의 순수하고 맑고 천진난만한 본성으로 돌아가라'는 의미를 지닌다. 회초리에는 무형과 유형의 의미를 담고 있다. 무형의 의미는 깨우침과 지혜의 말씀을 통해 참 나를 찾아주는 것이다. 유형의 회초리는 말로 안 되는 제자와 자식의 잘못 된 습관과 버릇을 고치기 위해 회초리를 내려치는 것이다. 이 또한 회초리를 가져오는 동안 스스로 깨우치고 반성하기를 바라는 마음이 담겨져 있다. 옛 훈장들이 회초리를 교탁위에 두지 않고 선반이나 장롱 속에 넣어 두었던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작금의 사회현실은 회초리를 폭력이나 놀이, 체험의 수단으로 변질됐다. 사랑의 매로 바뀐 회초리는 말을 듣지 않는 어린 학생들은 매로 다스려야 한다고 생각하는 어른들에게 당위성을 안겨 주었다. 폭력은 유치원 초·중·고를 가리지 않고 사회적 약자에게 나타난다. 말 못하고 의사 표시가 불분명한 어린이를 학대하는가 하면 초등학생을 왕따 시키는 교사도 보도 된다. 중·고생들이 '사랑의 매'라 불리는 몽둥이에 노출된 지는 오래다. 대학생마저 군기와 규율을 잡는다고 몽둥이를 들고 군대서는 구타 사망까지 사회적 폭력은 하루가 멀다 않고 지면을 장식한다. 작년에 준비물을 전달해 주러 간 모 고등학교에서는 몽둥이를 든 교사에게 약 12명의 학생들이(실장 부실장급으로 보임) 사회에서도 쓰지 않는 욕설을 들으며 공포감을 느끼며 서있는 것을 보았다. 어떤 관리자도 지나가는 교사들도 제지하는 사람이 없었다.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무·유형의 회초리를 든 어른은 많아야 된다. 하지만 유형의 회초리가 희화화 되면서 사랑이란 이름에 덧씌워 훈계의 몽둥이로 탈바꿈한다. 평사리에서 약 1km를 내려서면 충북학생종합수련원이 나타난다. 수련원은 진취적이고 창의적인 인재 육성을 위해 1986년 설립되었다. 몽둥이와 획일적 교육은 창의적 청소년으로 성장시킬 수 없다.

미호천 또한 마찬가지다. 더울 때 헤엄을 치고, 농작물에 생명수를 공급해주고, 먹거리인 물고기까지 제공해준 하천은 산업 발전과 더불어 죽은 하천으로 변해 버렸다. 누구나 깨끗한 미호천을 갈구하지만 생활쓰레기를 버리고 축산 폐수를 방류하는 주위 사람들에게 무형의 회초리를 들지 못한다. 덧 부쳐 하천에 대한 폭력은 누구나 동참하는 집단폭력으로 변했다. 쓰레기 뒤처리장이 된 하천은 사람이 내리치는 몽둥이에 시커멓게 멍들었다. 평사십리 최고의 절경 평사마을 선촌서당 앞을 흐르는 미호천이 회초리를 몽둥이로 둔갑시켜 흐르지 않길 기대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충북일보·KLJC 대선 주자 공동인터뷰③김동연 경기도지사

[충북일보] 김동연 경기지사는 "'당당한 경제 대통령'으로 불리고 싶다"고 말했다. 더불어민주당이 기울어진 경선 룰을 확정했지만 국민과 당원만 바라보고 당당히 경쟁에 임하겠다고 밝혔다.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아닌 '어대국'(어차피 대통령은 국민)을 강조했다.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국회·입법·사법부를 세종·충청으로 이전하고 대통령 임기 단축의 지방분권형 개헌과 50조 슈퍼 추경을 통해 국민통합을 이뤄야 한다고도 했다. ◇6·3 대선에서 가장 중요한 의제는. "지금 국민들이 요구하는 시대정신은 '경제'와 '통합'이라고 생각한다. 민생경제의 위기에 더해 정치권에서 촉발된 분열과 적대의 골은 점차 깊어지고 있다. 내란과 탄핵으로 인한 정치적 불안을 해소하고 국민을 하나로 통합하는 일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다. 이념에 휘둘리지 않는 정책과 확고한 비전, 실행력으로 경제위기 속에서 중심을 잡고 재도약을 이룰 리더십이 절실하다. 국민통합을 위해서는 정치개혁이 필수다. 다음 대통령은 임기 단축이라는 희생을 결단하고, 동시에 일관된 비전과 정책으로 대통령직을 수행해 국민통합의 마중물이 되고, 새로운 대한민국의 문을 열어야 한다." ◇김동연 후보의 강점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