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4.09.19 19:28:01
  • 최종수정2024.09.19 19:28:01
[충북일보] 12대 충북도의회가 후반기 임기를 시작한 지 두 달이 넘었다. 그런데도 의장단 선출 후유증이 계속되고 있다. 의원 다수가 공동 발의한 조례 안마저 스스로 부결시켰을 정도로 내홍이 심하다. 특별위원회 구성을 둘러싼 불만도 표출됐다. 급기야 이양섭 의장의 리더십마저 의심을 받고 있다. 갈등 봉합에 나서지 못한 탓이다. 다시 말해 총괄적인 컨트롤타워 역할을 못하기 때문이다.

충북도의회의 낯부끄러운 모습은 계속되고 있다. 점입가경의 사태가 심상찮아 보인다. 파행은 이미 오래전부터 예고됐다. 의장 선출을 비롯한 원 구성 과정에서 당내 분란이 예상됐다. 도의회는 이제 바뀌어야 한다. 전문적으로 상시 일하는 지방의회로 변모해야 한다. 일하는 지방의회야말로 지방자치 성공의 필수조건이다. 의원 개인 및 의회 조직 양 측면에서 전문적 역량을 갖춰야 한다. 충북도의회는 상반기 의정활동에 대한 진솔한 분석부터 해야 한다. 그래야 하반기 비전을 구체적으로 정해 행동할 수 있다. 지방의회 본질적인 기능은 주민의 의견을 대변하는 대의에 방점이 찍힌다. 도의회라고 다를 수 없다. 민의에 방점을 찍고 조례 제정에 능동적이어야 한다. 사소한 개인감정으로 지방의회 역할의 본질을 그르쳐선 안 된다. 합리적인 정책도출이 많아지면 위상은 올라가게 마련이다. 반대로 민의를 제대로 대변하지 못하면 무능해질 수밖에 없다. 그 피해는 주민에게 그대로 돌아오게 된다. 궁극적으로 지방의회 무용론을 만들어내는 근본 원인이 된다. 도의회는 앞으로 전문성 강화에 더 힘써야 한다. 논리에 근거하지 않고 주장만 일삼아선 아무도 설득할 수 없다. 다시 말해 실효성 없는 지방의회로 전락할 수밖에 없다.

지방의회는 그동안 지방자치제 연착륙에 기여했다. 지역발전을 이끄는 한 축으로 자리 잡았다. 풀뿌리 민주주의의 대명사 역할도 했다. 충북도의회도 결코 다르지 않다. 기여한 바가 크다. 하지만 여전히 주민들의 불신을 받는 것도 사실이다. 지방의회는 이제 존재만으로는 의미가 없다. 충북도의회는 좌표를 다시 설정해야 한다. 견제와 균형, 정치와 정책이라는 2차원의 단순 좌표만으로는 안 된다. 다시 살 길은 하나다. 바뀌어야 한다. 시대와 사회의 흐름에 맞게 몸과 마음을 바꿔야 한다. 소통을 해야 주민들에게 중요한 존재로 다시 태어날 수 있다. 지방의원에게 가장 필요한 자질은 학력도, 막연한 전문성도 아니다. 정책과 행정의 박식함도 아니다. 어떤 누구와도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지방의원들도 정당 소속이기에 정치적인 고려를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의회의 근본적인 역할마저 스스로 부정해서는 안 된다. 도의회 내홍은 감투 욕심에서 기인했다. 특정 정당이 집행부와 의회 권력을 독점하고 있는 상황에서 불거졌다. 그래서 더 심각하다. 현 상황은 이 의장의 무능을 여과 없이 보여주는 단면이 아닐 수 없다. 지방의회 수장으로서 지방의원들을 관리·감독해야 하는 책임을 방기한 탓이다. 이래선 안 된다.

이 의장은 한층 강화된 권리와 의무를 바탕으로 도의회를 끌어가야 한다. 전문적인 역량과 책임감을 키우는 노력도 게을리 해서도 안 된다. 축적된 역량은 훗날 더 큰 미래 지도자로 뻗어나갈 자산이다. 이 의장은 자신의 역할이 무엇인지 근원적인 고민을 해야 한다. 지금 상태가 계속되면 왜 도의회가 필요하냐는 말을 하지 않을 수 없다. 도의회 무용론이 다시 나오면 곤란하다.
배너
배너

랭킹 뉴스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thumbnail 308*171

"나눔의 문화에 모두가 함께 할 수 있기를"

[충북일보] 오곡이 풍성한 추석이 다가왔다. 누구나 풍요로울 것 같지만 세상은 그렇지 못하다. 아직도 우리 주변엔 손을 잡아야 주어야 할 이웃이 많다. 이런 이웃을 위해 추석 연휴에도 나눔과 봉사를 말없이 실천해 온 '키다리아저씨'가 있다. 30여년간 일상의 나눔을 이어오고 있는 최종길(48) LG에너지솔루션 오창2 업무지원팀 책임이 바로 그 주인공이다. 그는 중학생때인 15세부터 일찌감치 나눔의 의미를 알고 몸소 봉사를 실천해오고 있다. 최 책임은 "당시 롤러장에서 아르바이트를 하던 중 보육원에서 체험활동을 온 5살짜리 아이를 케어했던 적이 있다. 스케이트를 가르쳐주고, 쉬는 시간에 품에 안겨 잠든 모습을 보며 아이의 인생을 바라보게 됐다"며 "당시에 아르바이트 해서 번 돈으로 옷을 사서 아이들에게 선물했던 기억이 있다"고 회상했다. 5살 아이와의 만남 이후 그의 시선은 달라졌다고 한다. 성인이 돼 원료 공장에 입사했던 그는 아동 후원을 시작했다. 단순히 돈만 후원하는 것이 아닌 직접 찾아가 아이를 만나고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을 선택했다고 한다. 그는 "할머니와 손주 두 명이 사는 조손가정이었다. 당시 할머님을 설득해 아이들과 하루종일 놀이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