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4.7℃
  • 구름조금강릉 -0.8℃
  • 맑음서울 -3.1℃
  • 맑음충주 -3.7℃
  • 맑음서산 -2.0℃
  • 맑음청주 -1.9℃
  • 맑음대전 -2.4℃
  • 맑음추풍령 -3.5℃
  • 맑음대구 -0.5℃
  • 맑음울산 0.1℃
  • 맑음광주 -1.2℃
  • 맑음부산 1.1℃
  • 맑음고창 -4.5℃
  • 맑음홍성(예) -1.8℃
  • 구름조금제주 2.6℃
  • 맑음고산 2.4℃
  • 맑음강화 -4.7℃
  • 맑음제천 -4.1℃
  • 맑음보은 -3.5℃
  • 맑음천안 -1.8℃
  • 맑음보령 -2.0℃
  • 맑음부여 -4.0℃
  • 맑음금산 -2.8℃
  • 맑음강진군 -0.6℃
  • 맑음경주시 -0.6℃
  • 맑음거제 0.3℃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박천호

영동 황간초 교장

중국 하나라의 우왕(禹王)은 치산치수(治山治水)를 잘해서 요나라 순(舜) 임금으로부터 천자 자리를 물려받았으며, 태평성대를 구가한 성왕으로 칭송 받았다. 예로부터 존경받는 지도자들은 통치의 근간으로 산과 물의 관리를 아주 중요하게 여겼다. 나라를 다스리는 근본 원리는 자연을 잘 관리하여 백성들이 얼마나 편안하게 생활하느냐에 달려 있었기 때문이었다.

조선 역시 전형적인 농업 국가였기에 농사철을 앞두고 내리는 비의 양에 대한 관심이 높았다. 조선왕조실록에 의하면, 민간에서 모내기 철에 오는 비를 '태종우'(太宗雨)라고 불렀다고 한다. 이는 태종이 죽기 직전에 날이 가문 것을 걱정하여 "지금 가뭄이 심하니 내가 죽어 영혼이 있다면 이 날 비가 오게 하겠다."라고 했는데, 그 뒤 태종의 기일엔 어김없이 비가 왔다는데서 유래한 말이다.

세종의 아들인 문종도 강수량에 대해 관심이 많았다. 세종 23년(1441년) 실록에는 '근년 이래로 세자가 가뭄을 근심하여, 비가 올 때마다 젖어 들어간 깊이를 땅을 파고 살펴보았다. 그러나 정확하게 비가 온 양을 알지 못하였으므로, 구리로 그릇을 만들어 빗물이 고인 깊이를 조사하였다.' 라고 적어 놓았다. 그리고 그해 8월 세종실록에 '측우기'라는 명칭이 나오고, '쇠로 그릇을 부어 만들어 대 위에 올려놓고 비를 받았다'라고 했다.

청주기상대에 의하면 올해 5~6월에 우리 지역에 내린 강수량이 평년의 40% 수준이라고 한다. 백 년만의 가뭄 앞에서 간이상수도를 사용하는 고지대 마을들은 식수 문제가 심각하여 급수지원을 받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히 머지않아 장마전선이 북상하여 가뭄이 해소될 전망이라고 한다. 그러나 일각에선 가뭄 뒤에 장마로 인한 홍수의 피해를 걱정하고 있으니, 참으로 자연의 이치는 인간의 힘으로 극복하기엔 한계가 있는 것 같다.

우리 고장 제천에 현존하는 국내 최고(最古)의 저수지인 의림지는 그런 면에서 우리 조상들의 물 관리에 대한 지혜를 엿볼 수 있는 수리시설이다. 요즘 전국적으로 가뭄 피해가 잇따르고 있지만, 의림지 덕분에 제천지역엔 가뭄 피해가 거의 없다고 한다. 수천 년 전에 축조한 수리시설이 후손들에게 그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는 것이다.

몇 년 만에 고향에 돌아와 큰 맘 먹고 텃밭을 일구었다. 시장에 나가 상치며 쑥갓 씨앗을 사다 뿌리고, 토마토, 오이 모종도 심었다. 텃밭 가장자리 거친 땅에는 옥수수 씨앗도 몇 알씩 넣었다. 초보 농사꾼이기에 아침저녁으로 노심초사 물을 주고 풀을 매며 가꾸었다. 시간이 지나자 신기하게도 땅에서 싹이 나오고, 줄기가 자라더니 하나 둘 열매도 맺기 시작했다. 그런데 주말에 그만 청주를 다녀오느라 이삼일 물을 주지 않았더니 채소들이 금세 누렇게 시들어버렸다. 한 달 넘게 공들여 키운 채소들이 그만 말라 죽은 것이다. 일순간의 게으름으로 초보 농사꾼의 노력이 헛수고가 되고 말았다. 하찮은 채소 하나 가꾸는데도 농사꾼의 정성과 노력이 필요함을 새삼 깨달았다.

논어(論語) 선진편(先進篇)에 과유불급(過猶不及)이란 말이 있다. 정도가 지나치면 미치지 못한 것과 같다는 말이다. 비가 너무 안 오면 가뭄이 걱정이고, 너무 많이 오면 홍수가 걱정이다. 어쩌면 '태종우'(太宗雨)도 자연의 이치에 순응할 수밖에 없던 임금의 정성 어린 마음의 표현 아니었을까?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최복수 충북경제자유구역청장 "제2의 도약에 모든 역량 쏟겠다"

[충북일보] 충북경제자유구역청은 2025년 을사년(乙巳年)을 제2의 도약의 해로 삼았다. 주요 현안은 결실을 맺도록 차질 없이 추진하고 혁신 사업 모델을 발굴하는 데 힘쓴다. 지속적인 변화와 발전을 통해 지역경제 성장을 이끄는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며 경자구역이 경쟁력을 갖추는데 모든 역량을 쏟아 붓는다. 새해 첫 날 최복수 4대 충북경자청장이 취임 일성으로 '도약'을 강조한 것도 이 같은 과업을 실현하기 위해서다. 최 청장으로부터 경자구역이 새로운 성장과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비전과 나아갈 방향, 미래 전략 사업 등에 대해 들어봤다. ◇취임한 지 한 달 반이 지났는데 소감은. "지난 1월 1일 청장으로 취임한 후 한 달이 빠르게 지나버렸다. 먼저 공무원으로 다시 일할 수 있는 기회를 준 충북과 고향에 깊이 감사하는 마음으로 업무에 임하고 있다. 그동안 내부 조직과 주요 현안 사업들을 꼼꼼히 점검하고, 길었던 청장 부재 기간을 겪은 조직의 안정과 대외 신뢰 회복에 중점을 뒀다. 이를 위해 직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청렴 서약식도 개최했다. 경제자유구역청의 기본적인 역할은 지역 경제를 발전시키려는 꿈과 희망을 품고 이를 하나하나 실현해 나가는 데 있다고 생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