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7.6℃
  • 맑음강릉 10.0℃
  • 구름조금서울 9.8℃
  • 맑음충주 8.5℃
  • 맑음서산 8.3℃
  • 맑음청주 8.6℃
  • 맑음대전 9.0℃
  • 맑음추풍령 8.6℃
  • 맑음대구 7.9℃
  • 맑음울산 9.7℃
  • 맑음광주 8.3℃
  • 맑음부산 12.2℃
  • 맑음고창 6.6℃
  • 맑음홍성(예) 8.0℃
  • 맑음제주 12.7℃
  • 맑음고산 11.7℃
  • 구름많음강화 7.6℃
  • 맑음제천 7.8℃
  • 맑음보은 6.7℃
  • 맑음천안 7.2℃
  • 맑음보령 10.9℃
  • 맑음부여 6.7℃
  • 맑음금산 6.6℃
  • 맑음강진군 9.1℃
  • 맑음경주시 8.1℃
  • 맑음거제 10.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07.05 17:03:51
  • 최종수정2023.07.05 17:03:51

최한식

수필가

-준수한 체격과 용모를 가지신 용사가 찾아주셨네요. 자신을 소개해 주시죠?

"스파르타쿠스라고 합니다. 이름만 대도 아실 분들은 다 아시드라구요."

-혹시, 노예 검투사였다 반란을 일으키고 전사한 그 분인가요?

"그렇습니다. 본의 아니게 유명해졌어요."

-단도직입적이긴 합니다만 어떻게 검투사가 되셨나요?

"운명이라 생각해요. 구태여 그 과정을 절절히 설명하고 싶진 않아요. 분명한 사실은 검투사가 되었다는 것이었지요."

-검투사가 되는 훈련과정이나 검투사의 삶은 어땠나요?

"훈련과정은 소속에 따라 달랐어요, 내가 속한 곳은 혹독한 과정을 거치는 것으로 유명했어요. 그런 과정을 거쳐 어느 정도 유능한 검투사로 인정받을 수 있었지요. 더 중요한 것은 타고난 신체적 재능이었어요."

-인기를 얻고 잘 나갈 수 있었을 때에 반란을 일으켜요. 반란은 성공하기 어렵고 대부분 비참하게 목숨을 잃잖아요, 왜 반란을 일으켰나요?

"사람으로 대우받고 싶었어요. 군중들에게 오락을 제공하는 기계처럼 살기 싫었다고 할까요. 검투사의 삶이 비참하기도 했고요."

-반란이 성공하리라고 생각했나요?

"어차피 한 번 죽는 것, 의미 있게 죽자 했지요. 나는 너무 깊이 생각하지는 않아요. 옳고 그른 것은 그리 복잡하지 않다고 생각해요."

-시작은 검투사들의 탈주였어요. 며칠 안에 끝나리라 예상했는데 아니었지요?

"생존방식을 찾았으니까요. 유리한 신체조건으로 베수비오 산에 들어가 산적 생활로 살았네요, 그 때가 행복했어요."

-지방 정부에서 토벌대를 보냈는데, 그들을 물리치고 더 강해졌지요?

"우리를 과소평가한 덕이었어요. 우리는 긴장하고 온 힘을 다했으니 안일했던 토벌대가 당한 셈이지요. 그 덕에 우리 무기가 좋아지고 사기도 올랐지요. 뜻밖에 억울함을 당하고 불만을 가진 노예와 불량배, 부랑자 같은 이들이 많이 우리에게 찾아와 합류했어요."

-두 번에 걸쳐 정부 진압군이 파견됐어요. 이번에도 그들을 물리쳐요.

"행운이 우리 편이었어요. 정부군은 우리를 쉽게 생각했고 우리는 목숨 걸고 싸웠으니까요. 정부군은 질 수 없는 싸움에서 진 것이지요. 우리 무기는 더 좋아졌고 합류하는 이들도 더 늘어났어요. 이때 양치기들과 하층민들이 밀물처럼 합류했어요. 사기는 올랐지만 나는 식량이나 군수품이 걱정이었지요."

-이제 로마 정규군이 진압을 위해 투입돼요, 지휘관들도 대단하고 반란군을 얕보지도 않고요. 그런데도 또 이기잖아요?

"적들 앞에서 우리 편 중에 의견차이로 갈라져 나간 이들이 대패했지요. 그게 또 우리 편을 뭉치게 하고 물러설 곳이 없음을 모두가 알았지요. 사즉생(死則 生) 정신이라 할까요."

-선생과 반란군은 북상하다가 갑자기 남하해요, 이해가 안돼요. 그 후로 패배 의 길로 들어서게 되는데 남하의 이유가 뭔가요?

"우리 중 다수가 로마를 벗어나고 싶어 하지 않았어요. 나도 믿고 따라준 그 들을 떠나 혼자 살기를 원하지 않았고요. 여기까지다 싶었어요, 그래도 물론 행복했어요."

-선생은 죽은 후에도 신원이 알려지지 않아 로마 군사들이 시신을 찾지 못했어요. 끝까지 자유를 갈망한 노예로 남으려 한 것인가요?

"사람답게 살고픈 한 사람이길 바랐어요. 충분히 만족하고 행복했지요."

-포로로 잡힌 반란군 6천 명을 법정 최고형인 십자가처형으로 아피아가도에 매달아 죽였어요. 그들은 모두 의연했으며 오히려 로마군을 조롱하기도 했다고해요. 어떻게 그것이 가능했을까요?

"후회하지 않는다는 것 아닐까요? 할 일을 했다. 자신이 원하는 일을 했다는 것이겠지요."

-인류사에서 19세기 후반에야 노예해방이 이루어져요. 근 이천년 전에 그 같은 요구를 했으니 엄청나게 선구적인 삶을 사신 거예요.

"난 그런 것 잘 모르고 큰 관심도 없어요. 단순히 사람답게 살고 싶었어요."

-거의 이천년쯤 지나 "무릎 꿇고 살기보다 서서 죽기를 원한다"고 한 사람이 있잖아요.

"시대를 넘어 나와 같은 생각을 한 사람이지요. 쿠바의 체게바라였다지요."

-영원한 자유인, 스파르타쿠스를 만났습니다. 자유를 만끽하며 삽시다.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