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맑음동두천 15.1℃
  • 맑음강릉 11.8℃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충북 소비자 지갑 꽉 닫혔다

충청지방통계청, 2월 충청지역 산업활동동향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 72.9… 전년동월比 20.2%↓
대형마트 판매액지수 24.6% 줄어
도내 광공업 생산 전년동월比 3.8% 증가

  • 웹출고시간2025.03.31 17:32:43
  • 최종수정2025.03.31 17:32:43
[충북일보] 정국불안과 내수침체 등으로 촉발된 경기침체로 충북 소비자들이 허리띠를 졸라맸다.

이로인해 충북지역 대형소매점은 지난 2월 최악의 실적표를 받게 됐다.

31일 충청지방통계청이 발표한 '2025년 2월 충청지역 산업활동동향'에 따르면 2월 충북지역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2020년=100)는 72.9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20.2% 감소했다.

대형마트 판매액지수는 68.4로 전달 대비 24.8% 줄었다.

2월은 통상 유통업계 비수기 시즌으로 꼽힌다. 연말연초 직후인데다 짧은 일수와 추운 날씨 등이 영향을 미쳐서다.

충북은 지난해 내내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가 기준치인 100을 넘긴 적이 없다. 올해 1월 104.7로 급등했으나 2월 들어 최악의 매출 부진을 보여준 셈이다.

최근 5년간 동월 기준 최악의 감소율을 보였던 2022년 2월(-21.3%)과 비교하더라도, 당시 대형소매점 판매액지수가 82.0을 기록한 점을 고려하면 올해가 가장 부진했다고 볼 수 있다.

충청지역 내 4개 시도 판매동향을 살펴보면 △충북 -20.2% △충남 -14.5% △대전 -11.3% △세종 -7.6%다.

소비가 부진을 면치 못한 가운데 광공업 생산은 소폭 상승했다.

2월 충북 광공업 생산지수는 99.2(원계열 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달 대비 3.8% 증가했다.

업종별 증감을 보면 △전기·가스·증기업 110.3% △식료품 12.6% △의약품 5.5% 각각 상승했고, △전자부품·컴퓨터·영상 음향통신 -7.3% △전기장비 -3.4% △비금속광물 -9.3% 각각 감소했다.

생산이 늘면서 출하도 증가했다. 광공업 출하지수는 94.4로 지난해 같은달 보다 4.4% 늘었다.

이 기간 도내 제조업 재고는 지난해 같은달 보다 7.7% 감소했다.

고무·플라스틱(41.1%), 식료품(13.8%), 1차금속(13.1%)의 재고는 늘어난 반면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통신(-19.6%), 전기장비(-23.2%), 기계장비(-21.5%)는 줄었다.

/ 성지연기자

네티즌의견 0

Guest
0 / 300 자
선택된 파일 없음 파일 선택
등록하기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