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13.3℃
  • 맑음강릉 14.8℃
  • 흐림서울 13.4℃
  • 구름조금충주 17.2℃
  • 흐림서산 12.3℃
  • 흐림청주 16.4℃
  • 구름조금대전 17.3℃
  • 맑음추풍령 15.7℃
  • 맑음대구 16.2℃
  • 맑음울산 13.5℃
  • 맑음광주 17.4℃
  • 맑음부산 13.7℃
  • 맑음고창 15.7℃
  • 구름많음홍성(예) 13.5℃
  • 맑음제주 15.4℃
  • 맑음고산 15.2℃
  • 흐림강화 10.6℃
  • 구름조금제천 16.3℃
  • 맑음보은 16.3℃
  • 구름많음천안 15.9℃
  • 구름많음보령 13.3℃
  • 구름많음부여 16.2℃
  • 구름조금금산 16.6℃
  • 맑음강진군 17.4℃
  • 맑음경주시 15.5℃
  • 맑음거제 15.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15.04.16 14:15:11
  • 최종수정2015.04.23 15:35:43

[충북일보] 우리는, 어떤 상황에 숙연해 지는가. 어떤 대상을 보고 숙연한 마음을 가지는가. 오후햇살 받으며 노란 이파리를 가득 달고 찰랑이는 아름드리 은행나무한그루, 고향마을을 닮은 한적한 동네를 지나다가 수백 년은 족히 됐을 느티나무를 보면 차에서 내려 숙연한 마음으로 구경한다. 또한 고산지대에서 세찬 바람 맞으며 늙을수록 아름답고 고고한 기개가 더해가는 소나무 한그루, 살아서 천년 죽어 천년의 긴 세월 땅에 뿌리를 내리고 서있는 고사목 한그루를 보면 절로 숙연한 마음이 든다.

전주 경기전에 갔을 적엔, 태조사진을 봉안한 어진까지 상거가 있음에도 품격 있는 이조시대 여인처럼 우아하고 숙연함 마음으로 조심조심 자분자분 걸었었다. 풍경소리 울리는 한적한 고찰을 대할 때 숙연해 지기도 했고, 언어는 알아들을 수 없어도 연풍성지 파란잔디밭에 모여, 야외미사 드리는 사람들을 보고 숙연해지기도 했다. 경기장에서금메달 애국가가 울려 퍼질 때, 일찍 나와 끝도 없이 바다를 향해 절을 해대던 중국산동성의 한 여인…. 섬기는 대상이나 종교는 알 수 없지만, 아침바닷가 산책길에 본 그 여인의 몸짓이 하도 진지해 쓸데없이 뭉클해지기도 했었다.

고대도시 로마에서 타임머신을 타고 2천 년 전으로 돌아가 과거예술인들이 남긴 작품들을 대했을 적엔, 반바지와 민소매슬리퍼를 삼가라 하지 않아도 절로 옷매무새를 살피며 숙연해졌었다. 웅혼한 고딕건축 걸작들, 가까이 갈수록 섬세하고 고아하기가 이를 데가 없어 마음을 빼앗겼는데, 거대하게 형성된 예술세계들은 역사라는 오랜 지층 속에 내려오며 현재사람들 속에 조밀하게 자리 잡고 숙연하게 했다.

그분들이 있었기에…. 노랑 노랑 잔디 위에 굳건히 박힌…. 조국을 위해 목숨을 내놓은 애국열사들 묘비 앞에 서면 그 어느 기하학적인 건축물이나 거대한 자연 앞에 선 것보다 숙연해진다. 세상엔 존경받을 만한 사람도 많고 업적을 남겨 인류에 공헌하는 사람도 많지만, 그분들이 단 하나 밖에 없는 목숨을 내놓진 못한다. 과연 나에게 그러한 절대적순간이 닥친다면 영광스럽게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을까….

그런가 하면 한권의 책을 덮고 숙연해서 한참을 앉아 있기도 한다. 또한 도서관이나 공원벤치에서 책에 빠진 이들을 보면 그가 어린아이일지라도 고요한 마음을 갖는다. 정신을 채우기보다 물질과 배를 채우기 급급하여 하악하악 하며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책에 몰두하는 모습은 흐뭇하기 이를 데 없다. 옷깃을 여미게 하는 무게감은 아니라 해도, 교훈이나 정보를 얻고 잠시 웃을 수 있는 여유를 갖고 팍팍한 일상을 환기시킬 수 있기를 바라며, 행여 깨울까 조심조심 돌아서 간다.

숙연

57*77cm Pigment Print on Paper

화제(畵題) '숙연'은 아이패드에 그린 판화로 피그먼트 프린트 기법을 사용했다고 손부남작가는 말한다. 설명할 수 없는 묘한 매력으로 사람을 숙연하게 하는 작품이다. 작품모델은 증평읍 남하리 마을 뒤 산에 있다. '남하리 삼층석탑'은 1984년 12월 31일 충청북도유형문화재 제141호로 지정됐다. 자연암반을 지대석과 기단으로 삼고 그 위에 사각형 받침돌 한 장을 놓은 후, 삼층의 몸돌을 올린 것이 이 탑의 특징이다. 탑신부는 육면체 모양과 팔작지붕처럼 생긴 옥개석을 번갈아가며 쌓아, 올라갈수록 작아져 안정감이 있다. 사학자들은 탑신석의 처리 양식수법으로 보아 건립 연대를 고려후기로 추정한다. 당시 석탑으로는 뛰어난 탑이라 할 수 있다.

혼이 흐르는 듯…. 마치 마을과 농지를 굽어 살피며 내려다보기라도 하듯…. 오랜 세월동안 변함없이 그 자리를 지키고 서있다. 아무런 무늬가 없이 단조롭고 고아한 삼층석탑은 절로 숙연해 지게 한다. 수백 년을 넘어 그저 묵묵히 서있는 석탑 앞에 서서 각종 숙연에 대한 물음을 끝없이 해본다. 연녹색 새순과 진달래가 부끄러운 듯 살짝 뒤에 드리운 것이 어여쁘다. 석탑을 봄볕이 쓰다듬는다.

/ 임미옥 기자

손부남 작가 프로필

-충북대학교 대학원 미술과 졸업

-개인전 / 제1회 개인전, 청탑화랑, - 2011 제22회 개인전, 유엠갤러리, 서울

-수상 및 레지던시

서울 2000 화랑미술제, 서울예술의전당, -

2006 버몬트 스튜디오 센터 프리맨 아시안 펠로우쉽,

존슨, 버몬트, 미국 등 다수.

-주요단체전

서울 2000 화랑미술제, 서울예술의전당-

2011 AHAF 아시아 탑 갤러리 호텔 아트페어까지 다수

-주요작품 소장처

전기공사공제조합(서울), 한국가스공사(성남), 한국석유공사(안양) SK텔레콤사옥(청주), 국민은행(청주), 조흥은행(청주), 충청북도교육청(청주) 라마다프라자호텔(청주), 부산광역시립미술관(부산), 로드랜드골프&빌리지(제주)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