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구름조금충주 17.0℃
  • 맑음서산 18.6℃
  • 맑음청주 18.1℃
  • 맑음대전 18.5℃
  • 구름조금추풍령 19.0℃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홍성(예) 18.0℃
  • 맑음제주 21.3℃
  • 맑음고산 18.8℃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제천 17.2℃
  • 구름조금보은 17.3℃
  • 구름조금천안 17.8℃
  • 맑음보령 18.9℃
  • 맑음부여 18.7℃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23.01.31 18:03:56
  • 최종수정2023.01.31 18:03:56

박주영

시인·수필가

우리 집 마당가 자목련 나무가 겨울 세찬 바람이 머문 빈 가지에서 맨몸으로 햇살을 받아내더니, 멋진 자태를 애써 감추고 있다.

7년 전 봉전리 마을로 이사 왔던 그 해 겨울이 생각난다. 도심에서 넓은 아파트에 살던 평수를 줄여 이 집시골로 오게 된 것은 사업의 실패로 형편이 어렵게 되어서였다. 이미 각오한 터였는데도 막상 짐을 풀고 나니 왜 그리 비좁고 답답하던지, 넓은 집에서 쓰던 가구들이 한낱 장식품에 불과했다는 것을 알고 지난 일을 후회했다.

널브러진 짐들을 과감히 정리하기로 마음먹었다. 아직 쓸만한 물건들은 이웃에게 나눠주고, 아끼던 책들과 옷장, 아이 침대는 중고품 센터에 고물 값으로 팔았다. 없으면 안 될 것 같던 살림들을 정리하고 나니 서운함보다 개운한 마음이 앞섰다.

어느 날 서울에 사는 친구 집들이에 가게 되었다. 상당히 넓은 집인데도 왜 그런지 답답한 느낌이 들었다. 그 이유는 각종 가구들로 가득했기 때문이었는데, 친구는 어렵게 평수를 키워 온 집이라 새집에 어울리는 고급스런 가구로 장식했다며 재산을 늘린 것처럼 자랑했다. 마치 지난날 내 모습을 보는 것 같아 안타까운 생각이 들었다.

작은 평수에 사는 것을 창피하고 능력 없는 것으로 여겼던 젊은시절, 평수 늘려 가는 재미로 살았던 때가 있었다. 그때 열심히 아끼고 저축한 덕분에 일찌감치 집 장만을 할 수 있어서 주위 사람들의 부러움을 샀지만, 그것에 만족하지 않고 더 늘려가려고 바둥거렸다.

그러던 어는 날, 아파트보다 넓은 단독주택을 새로 짓기로 했다. 헌 집을 부수면서 세 들어 살던 사람들을 이사 가게 하는 과정도 어려웠지만, 비가 온다든지 인부들에게 사정이 생긴다든지 해서 공사가 지연되는 바람에 예상보다 건축비가 많아졌다. 결국 돈을 빌려 써야 했고 그 이자 때문에 새 집으로 입주한 행복보다 어려운 생활고에 시달려야 했다.

내 능력에 부친 끝없는 허욕은 계속 이어졌다. 재산을 늘리고 싶은 욕심에 다른 아파트를 분양받아 세를 놓았다가 손해를 보았고, 땅을 잘못 샀다가 묶여 버리기도 했다. 그렇게 어리석은 짓을 반복하면서 눈에 보이지 않는 이익을 얻기 위해 귀한 시간을 낭비하며 살았다. 그런 것들이 알뜰하게 모아 살림을 늘려 가는 행복 설계인 줄 알았으나 허영이었음을 이 집에 이사 와서야 비로소 깨닫게 되었다. 가진 것이 많으면 잃을 것도 많다는 것을 그때는 왜 몰랐을까?

어느 날 나처럼 분수를 모르고 허황된 꿈을 꾸었던 이웃의 이야기를 전해 들었다. 자기 처지에 맞지 않는 넓은 아파트를 분양 받았는데, 중도금까지 빚을 얻어 간신히 입주했다고 한다. 무리해서라도 넓은 집을 고집한 이유는 형제들에 비해 자기 집 평수가 작기 때문이었단다.

그런데 남편이 큰 병이나서 드러눕는 바람에 빚은 눈덩이처럼 커졌고, 아주머니는 온갖 일을 하며 근근히 생활을 이어 갔다고 한다. 그뿐인가! 아주머니까지 병들어 눕게 되었고 지병(持病)이 악화되어 결국 세상을 떠났다는 소식이었다. 그런 삶이 얼마나 어리석은지….

연잎은 자신이 감당할 만큼의 빗방울만 몸에 얹고 더 이상 고이면 '또르르' 비워 버린다. 모이면 모일수록 무거워지는 고통을 잘 알기 때문인데, 지금 내가 가지고 있는 모든 소유물도 일정한 시간이 지나면 연잎이 빗방울을 털어내 듯, 사라지고 말 것이다.

며칠 지나자 바람이 일 때마다 이파리를 출렁이던 자목련나무가 추운 바람을 견디지못하고 이파리를 떨군다. 목련은 꽃의 아름다움만 보여주지 않고 떨어지는 꽃잎을 보는 마음의 여유도 갖게 해주었다. 또한 충만한 것만이 값진 것이 아니요, 빈곳을 채우려는 욕심만이 삶을 풍요롭게 하는 것이 아니라는 것도 알게 해주었다. 나는 땅에 떨어지는 꽃잎을 바라보며 지난날의 쓸데없는 욕심까지 함께 빗자루로 쓸어냈다.

목련은 지고 나면 빈 가지인 듯 싶지만 봄에는 어느새 푸른 싹을 다시 틔우겠지?

그 돋아나는 새 순이 꽃을 보는 기쁨만큼의 행복을 내게 가져다주리라. 그 잎은 점점 푸르게 자라 우리 집 창문을 기웃거리다가 떨어지면서 빈가지의 슬기를 또 가르쳐 주리라.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

매거진 in 충북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세종충북지회장 인터뷰

[충북일보] 지난 1961년 출범한 사단법인 대한가족계획협회가 시초인 인구보건복지협회는 우리나라 가족계획, 인구정책의 변화에 대응해오며 '함께하는 건강가족, 지속가능한 행복한 세상'을 위해 힘써오고 있다. 5월 가정의 달을 맞아 조경순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장을 만나 지회가 도민의 건강한 삶과 행복한 가족을 지원하기 위해 하고 있는 활동, 지회장의 역할, 앞으로의 포부 등에 대한 이야기를 들어 봤다. 조경순 지회장은 "인구보건복지협회 충북세종지회는 지역의 특성에 맞춘 인구변화 대응, 일 가정 양립·가족친화적 문화 조성, 성 생식 건강 증진 등의 활동에 앞장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자신의 33년 공직 경험이 협회와 지역사회의 협력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일에 도움이 될 것으로 내다봤다. 충북도 첫 여성 공보관을 역임한 조 지회장은 도 투자유치국장, 여성정책관실 팀장 등으로도 활약하고 지난 연말 퇴직했다. 투자유치국장으로 근무하면서 지역의 경제와 성장에 기여했던 그는 사람 중심의 정책을 통해 충북과 세종 주민들의 행복한 삶과 건강한 공동체를 만드는 일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 비상임 명예직인 현재 자리로의 이동을 결심했다고 한다. 조 지회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