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흐림동두천 6.3℃
  • 흐림강릉 12.0℃
  • 흐림서울 8.4℃
  • 흐림충주 6.2℃
  • 흐림서산 7.4℃
  • 흐림청주 8.6℃
  • 흐림대전 7.9℃
  • 흐림추풍령 4.5℃
  • 흐림대구 8.0℃
  • 흐림울산 7.4℃
  • 흐림광주 10.6℃
  • 흐림부산 10.1℃
  • 흐림고창 8.5℃
  • 박무홍성(예) 7.2℃
  • 흐림제주 10.2℃
  • 흐림고산 11.9℃
  • 흐림강화 6.0℃
  • 흐림제천 4.2℃
  • 흐림보은 6.9℃
  • 흐림천안 6.0℃
  • 흐림보령 8.3℃
  • 흐림부여 6.6℃
  • 흐림금산 7.1℃
  • 흐림강진군 10.2℃
  • 흐림경주시 4.3℃
  • 흐림거제 7.5℃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D-1 운명의 날…지선 승패 가를 3대 포인트

북미회담 희망 메시지에 요동
부동층 향배 압승 Vs 반전
경제 활성화 적임자를 찾아라

  • 웹출고시간2018.06.11 21:00:48
  • 최종수정2018.06.12 10:34:55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충북 최대 선거구인 충북지사 선거에서 누가 당선의 영예를 안을지 주목된다. 왼쪽부터 민주당 이시종, 한국당 박경국, 바른미래당 신용한 후보. / 특별취재팀

ⓒ 특별취재팀
[충북일보] 결전의 날이 하루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2월 6·13지방선거 예비후보자 등록부터 4개월 여 남짓 숨 가쁜 날이 지났다.

유권자들 입장에서는 각종 대외적인 이슈가 봇물처럼 터져 나온 탓에 지역 일꾼을 검증하기가 쉽지 않았다.

그럼에도 유권자 5명 중 1명이 지난 8~9일 사전투표를 통해 한 표를 행사했다.

나머지 80%에 가까운 유권자의 선택에 따라 당락이 갈린다.

민심의 향배를 결정지을 3대 변수는 무엇일까.

◇북미정상회담 '촉각'

전세계의 이목이 한반도에 집중됐다.

북핵의 존폐가 걸려 있는 세기의 담판이 선거를 하루 앞둔 12일 열린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싱가포르에 도착해 역사적인 만남을 갖는다.

지난 4월 27일 남북정상회담 이후 진일보한 성과가 나올지 전국민의 관심이 뜨겁다.

앞서 남북정상회담에서 남북은 포괄적인 의미에서 한반도의 평화를 재차 확인했다.

이후 남북교류협력 사업에 대한 논의가 속도를 내고 있다.

이번 북미정상회담의 핵심은 단연 북한의 비핵화다.

북한의 체제보장과 비핵화를 놓고 북미 양 정상 간 심층적인 대화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른 종전 선언에 대한 기대도 커지고 있다.

한반도는 1953년 7월 한국전쟁 휴전협정 체결 이후 65년 동안 지속돼 온 정전체제가 종식될 수 있을 것이란 기대에 부풀어 있다.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희망적인 메시지가 날아든다면 지방선거를 앞둔 민심은 크게 요동칠 것으로 보인다.

◇부동층 선택은

지난해 대선을 전후로 보수 정당은 쇠락의 길을 걷고 있다. 샤이(shy) 보수는 더욱 숨어 버렸다.

반대로 진보의 세(勢) 결집은 더욱 확연해지고 있다.

이번 지방선거에서 사전투표에 나선 충북 유권자는 총 131만8천186명 중 27만3천562명(20.75%)이다.

지난 2014년 지방선거(13.31%)와 2016년 20대 총선(12.85%) 때보다는 높지만 지난해 대선(25.45%)에는 못 미쳤다.

특히 충북 유권자의 절반이 몰린 청주의 사전투표율이 저조했다.

반면 고령층 유권자가 많은 군(郡) 단위 지역은 30% 안팎의 사전투표율을 기록했다.

부동층의 막판 고심이 당락을 결정지을 변수가 되고 있다.

실제 투표장에 찾는 부동층이 얼마나 될지도 관심사다.

12일 북미정상회담 등 대형 이슈에 온통 이목이 쏠려있는데다 '밴드왜건(bandwagon)' 혹은 '언더독(underdog)' 효과가 발현될지 예단키 어렵다.

◇서민 경제 누가 살릴까

서민 경제가 침체기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지방선거 주자들 사이에서는 통계의 함정에 매몰된 각종 슬로건만 난무하고 있다.

서로 자신이 경제를 살릴 적임자라고 목청을 높이고 있지만, 지역 경제를 견인할 대책은 대동소이하다.

현재 거시적인 경제 지표는 대체로 좋아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서민들이 체감하는 경제적인 삶에 대한 평가는 반신반의다.

특히 최저임금의 대폭 상향으로 노동계와 경제계의 명암은 엇갈린다.

휘발윳값을 비롯한 서민 장바구니 물가는 천정부지 치솟고 있다.

저출산·고령화가 가속화된데 따른 생산가능인구 감소와 부양대상자 증가는 경제 활력에 발목을 잡고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에 대한 구상도 선거용 구호에만 그치고 있는 실정이다.

/ 특별취재팀
이 기사에 대해 좀 더 자세히...

관련어 선택

관련기사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