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름많음동두천 22.4℃
  • 구름많음강릉 23.7℃
  • 맑음서울 24.0℃
  • 구름많음충주 23.8℃
  • 구름조금서산 26.0℃
  • 구름조금청주 25.2℃
  • 구름많음대전 24.7℃
  • 구름많음추풍령 23.4℃
  • 구름많음대구 23.5℃
  • 구름조금울산 24.7℃
  • 구름많음광주 25.8℃
  • 구름조금부산 27.9℃
  • 구름조금고창 26.8℃
  • 구름조금홍성(예) 26.0℃
  • 구름조금제주 27.7℃
  • 구름많음고산 25.8℃
  • 구름조금강화 23.1℃
  • 구름많음제천 22.2℃
  • 구름많음보은 23.4℃
  • 구름많음천안 24.0℃
  • 구름조금보령 26.1℃
  • 흐림부여 22.9℃
  • 구름많음금산 24.8℃
  • 구름많음강진군 25.9℃
  • 구름많음경주시 24.7℃
  • 맑음거제 25.1℃
기상청 제공

최근기사

이 기사는 0번 공유됐고 0개의 댓글이 있습니다.

  • 웹출고시간2008.07.01 21:18:56
  • 최종수정2013.08.04 00:44:01
말머리에 ‘향토’라는 말이 들어가기만 하면 왠지 모르게 촌스럽게 느껴진다. ‘향토작가’ ‘향토문화’ ‘향토 사학자‘하면 서울을 중심무대로 하는 중앙작가나 서울문화, 대학에 몸담고 있는 전공 사학자보다 훨씬 못하게 평가되기 일쑤다.

’향토‘라는 단어 속에는 고향을 지킨다는 사명감, 애착심, 등의 내재되어 자긍심으로 표출돼야 마땅한데 그런 감정보다는 중앙보다 한 등급 낮은 저급의 문화로 인식되는 예가 더 많다.

지방 분권화가 가속화 되는 시기가 왔음에도 불구하고 ‘향토’에 대한 일반인들의 체감 적 평가는 야박하기만 하다. 지방화 시대라는 말도 잘못된 표현이다.

지방이란 중앙에 대응하는 말로 종속적 이미지를 풍기고 있다. ‘지방화’라는 말 대신 ‘지역화’라는 말을 쓰는 게 합당하다. 서울과 지방은 종속적 관계에서 조망될 것이 아니라 수평적 관계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반대로 지역에서 보면 서울이 중앙이라기보다 ‘서울지역’에 불과하다. 지방과 지역은 그게 그거인 것 같아도 말뜻을 곰 새겨 보면 엄청나게 다르다.

중앙-지방은 수직적인 관계설정에서 나온 말이고 서울지역-청주지역은 수평적 관점에서 나온 말이다. 앞으로는 ‘지방’이라는 말 대신 ‘지역’이란 말을 써야 지역 분권화를 앞당길 수 있다.

이처럼 종속적인 관계가 등장한 것은 우리의 뇌리 속에 중앙 우월주의가 똬리를 틀고 있기 때문이다. 조선시대, 서울은 임금이 사는 곳이라 해서 지방에서는 북향사배(北向四拜)를 하였다. 그 찌꺼기가 지금까지 내려와 청주에서 서울을 간다고 하면 상경(上京)이라고 하고 서울에서 청주를 간다고 하면 하청(下淸)이란 말을 쓰고 있다. 민주화 시대에 서울과 청주가 왜 상하 관계로 설정이 되는지 알 수가 없다.

‘너는 상행선, 나는 하행선’이란 대중가요 노랫말이 있듯 기찻길에도 서울로 가는 선은 상행선, 지방으로 가는 선은 하행선이라고 일반적으로 부른다. 미국의 기찻길은 남행선(south lane), 북행선(north lane)이라고 부른다. ‘비 내리는 호남선 남행열차에...’라고 부른 노래는 지역분권 시대에 적절한 표현이다.

작가에 있어 중앙작가, 향토작가라고 부르는 것은 아주 잘못된 표현이다. 이를 분류하는 기준은 어디에 있는가. 서울이 아닌 지역에 거주하면 무조건 향토작가인가. 운보 김기창 화백은 청원군 형동리에 거주하다 돌아가시었다. 그렇다면 운보가 향토작가인가. 아니다. 다만 향토에 거주하고 있을 뿐이다.

시집 ‘접시꽃 당신’의 작가인 도종환 씨는 현재 회인에 거주하고 있고 섬진강의 시인 김용택 씨는 섬진강 강가에 살고 있다. 이들도 향토작가인가. 그들은 향토에 거주하고 있을 뿐이지 지명도나 작품세계는 중앙작가의 반열에 오르고도 남는다. 굳이 분류하자면 ‘향토 거주작가’이지 ‘향토작가’는 아니다. 전국이 1일 생활권 시대에 접어들면서도 중앙작가, 향토작가를 구분한다는 자체부터가 우습다.

유명세를 타지 못하는 지역작가들의 작품집 발간은 참으로 눈물겹다. 책을 발간할 경우, 지명도가 뒤떨어지기 때문에 거의가 자비출판을 해야 한다. 책 한권을 낼 때 작게는 200~300만원, 많게는 400~500만원의 출판 비를 자비로 부담해야 한다. 유명작가는 원고료에다 인세계약까지 하지만 이 반열에 오른 지역 작가는 손으로 꼽을 정도다. 대다수의 지역작가는 자비출판을 해야 한다.

어렵게 책을 냈어도 판매량은 신통치 않다. 그저 서점 책꽂이에 몇 번 선을 보였다가 사라지는 신세다. 20여 년 전, 시내 모 서점에는 ‘향토작가 코너’가 있었는데 판매가 시원치 않자 얼마 안가 그 코너를 접었다. 대부분의 작가들은 자비출판을 하고도 판로가 막혀 작품집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고 있다.

이렇게 어려운 사정을 간파하였으면 관계당국에서 조금씩 구매를 해주어야 하지 않을까. 창작의욕을 북돋아 주지는 못할망정 쪽박은 깨지 말아야 하는데 청주시립도서관 등지에서 ‘책 기증해 주세요’라는 공문을 받고 보면 슬며시 부아가 치민다.

어렵게 낸 지역작가 책은 도서관 등지에서 가능한 한 구입해주어야 하는 게 아닌가. 흙 파다 책을 만드는 것도 아니고… 피 땀 흘려 책을 펴내고 나면 관에서 조차 기증해 달라니 이래가지고서 어찌 지역작가가 창작의욕이 나겠는가. 솔직히 출판기념회를 하면 책값은 빠지나 특정인이 이를 되풀이 하면 지역사회의 눈총을 산다.

지역작가치고 글쓰기를 전업으로 하는 작가는 가뭄에 콩 나기다. 지역문화의 발전은 지역작가를 대우해 주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중앙작가의 책은 구입하고 지역작가의 책은 거저 먹는 식이 되어서는 안 된다. 지역작가를 푸대접하는 것은 지역문화를 스스로 폄하하는 것과 같다. 문화선진도를 지향하려면 지역작가부터 우대해야 한다.

주요뉴스 on 충북일보

thumbnail 148*82

청원署 '병영문화 개선' 시대흐름 역행

청주청원경찰서 방범순찰대원들의 불만이 높아지고 있다.운동장으로 사용하던 경찰서 내 1천21㎡ 규모의 테니스장이 사라질 위기에 놓였기 때문이다.청원서는 예산 19억원을 들여 내달 3일부터 오는 4월(예정)까지 민원실 이전 공사에 들어간다.민원인의 원활한 업무처리 등을 위해서다.문제는 민원실 신축 예정 부지인 테니스장을 방범대원들이 체육공간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다.현재 청원서에서 생활하고 있는 의무경찰은 모두 123명(방순대 107명·타격대 16명).복무 특성상 활동이 제한적일 수밖에 없는 대원들에게 작은 공간이지만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중요 시설이다.하지만 민원실이 이전할 경우 체육활동 공간이 사라지게 되고 청원서는 청주지역 3개 경찰서 중 외부 운동공간이 없는 유일한 경찰서가 된다.일각에서는 문화·체육 시설을 확충하는 등 병영문화를 개선하려는 시대적 흐름에 역행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경찰 관계자는 "경찰서에 체력 단련실이 있긴 하지만 민원실 이전 공사가 시작되면 외부 운동장은 이용이 어려울 것"이라며 "외부 운동장 등에서 주 1회 정도 대원들이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라고 설명했다.운동장을 이용할 때 마다 외부기관의 협조를 얻어 사용한다는 얘기다.이 때문에 일부 대원들은 평일 체육활동 등 자유로운 체육활동을 할 수 없다며 불만을 토로했다.한 방순대원은 "복무 중이기 때문에 활동이 제약될 수밖에 없는데 체육공간까지 사라진다니 아쉬울 따름"이라며 "경찰서 외부 운동장을 사용한다는 얘기가 있지만 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없지 않겠느냐"고 토로했다. / 박태성기자 ts_news@naver.com

배너

배너


Hot & Why & Only

실시간 댓글


배너